psychology'25 13/365: The Hidden Psychology of Workplace Violence
The Hidden Psychology of Workplace Violence
What drives workplace violence? Understanding how perceived grievances can escalate into aggression can help leaders prevent violence before it starts.
www.psychologytoday.com
“I refuse to be singled out for mistreatment,” he told me.
"나는 부당한 대우를 받기 위해 따로 지목당하는 걸 거부합니다." 그가 내게 말했다.
singled out: 특정 대상으로 지목되다
- He felt singled out by his teacher for being late.
그는 지각했다는 이유로 선생님에게 지목당했다고 느꼈다. - The employee was singled out for special recognition.
그 직원은 특별한 인정을 받기 위해 지목되었다.
mistreatment: 부당한 대우
- The animal shelter works to prevent the mistreatment of pets.
그 동물 보호소는 반려동물의 부당한 대우를 막기 위해 노력한다. - He sued his employer for mistreatment at work.
그는 직장에서의 부당한 대우로 고소했다.
I was sitting in the backroom of a maximum-security facility that housed violent offenders, doing my best to understand where my client was coming from.
나는 폭력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최고 보안 시설의 뒷방에 앉아, 내 의뢰인이 어떤 입장인지 최대한 이해하려 애쓰고 있었다.
maximum-security facility: 최고 보안 시설
- The prisoner was transferred to a maximum-security facility.
그 죄수는 최고 보안 시설로 이송되었다. - The government increased security measures in the maximum-security facility.
정부는 최고 보안 시설의 보안 조치를 강화했다.
violent offender: 폭력 범죄자
- The violent offender was sentenced to life in prison.
그 폭력 범죄자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Many violent offenders undergo rehabilitation programs.
많은 폭력 범죄자들이 갱생 프로그램을 거친다.
“Help me understand. Who exactly is singling you out?” I asked.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정확히 누가 당신을 지목하고 있나요?" 내가 물었다.
help (someone) understand: (누군가가) 이해하도록 돕다
- He tried to help his friend understand the new policy.
그는 친구가 새로운 정책을 이해하도록 도우려 했다. - The teacher used examples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선생님은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도록 예시를 사용했다.
심리학적 개념: 피해의식 (Persecution Complex)
이 문장에서 보이는 감정은 '피해의식'과 관련이 있다. 피해의식은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부당하게 대우받고 있다고 믿으며, 이를 과장하는 경향이 있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종종 현실과 동떨어진 해석을 초래할 수 있다. 피해의식이 심할 경우 분노가 공격성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특히 고립된 환경(예: 교도소, 직장)에서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Everyone. They’re enjoying my humiliation.” His voice trembled and he wrung his hands.
"모두가 그래요. 그들은 내 굴욕을 즐기고 있어요." 그의 목소리는 떨렸고, 그는 손을 비틀어 쥐었다.
humiliation: 굴욕, 창피함
- He felt deep humiliation after being scolded in front of everyone.
그는 모두 앞에서 꾸지람을 들은 후 깊은 굴욕감을 느꼈다. - The athlete suffered public humiliation after failing the drug test.
그 운동선수는 약물 검사에서 실패한 후 공개적인 굴욕을 당했다.
wring (one's) hands: 손을 비틀며 걱정하다
- She wrung her hands nervously before the interview.
그녀는 인터뷰 전에 초조하게 손을 비볐다. - He sat there wringing his hands, unsure of what to do.
그는 어쩔 줄 몰라 손을 비틀며 앉아 있었다.
심리적 개념: 과민한 해석 (Hypervigilance)
이 문장에서 클라이언트는 단순한 상호작용을 개인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과민한 해석(hypervigilance)'의 특징으로, 외부 자극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피해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불안과 공격성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As a violent offender specialist, I prided myself in my ability to understand these clients, but I was stumped. I’d witnessed the interaction that led my client to react, and he wasn’t singled out. He was addressed as part of a group, and the corrections officer had spoken with respect and friendliness.
폭력 범죄자 전문가로서, 나는 이런 의뢰인들을 이해하는 능력을 자랑스러워했지만, 이번에는 난감했다. 나는 그가 반응한 상호작용을 직접 봤지만, 그는 따로 지목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집단의 일부로서 다뤄졌으며, 교도관은 존중과 친절함을 갖고 이야기했다.
pride oneself in: ~에 자부심을 가지다
- She prides herself in her ability to stay calm under pressure.
그녀는 압박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는 능력에 자부심을 가진다. - He prides himself in being a fair and just manager.
그는 공정하고 올바른 관리자가 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stumped: 난감한, 어찌할 바를 모르는
- I was stumped by his unexpected question.
나는 그의 예상치 못한 질문에 난감했다. - She looked stumped when she saw the complex math problem.
그녀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보고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심리적 개념: 인지적 왜곡 (Cognitive Distortion)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개인화(personalization)'라는 인지적 왜곡을 보이고 있다. 이는 어떤 사건이 실제로는 자신과 관계없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공격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왜곡된 사고방식은 종종 피해의식을 강화하고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다.
My sense was that my client was adding significance to the interaction. There wasn’t anybody enjoying his difficulty; in fact, I was the only person who knew he was upset.
내가 보기에는 내 의뢰인이 그 상호작용에 의미를 과장해 부여하고 있었다. 그의 어려움을 즐기는 사람은 없었다. 사실, 그가 화가 났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나뿐이었다.
add significance to: ~에 의미를 부여하다, 과장하다
- She tends to add significance to small comments.
그녀는 작은 말에도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 He added too much significance to a simple misunderstanding.
그는 단순한 오해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했다.
심리적 개념: 확대 해석 (Magnification)
이는 '확대 해석(magnification)'의 전형적인 예로, 사소한 일이나 중립적인 사건을 극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불안과 분노를 증폭시키고, 상대적으로 무해한 상황을 위협적인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I wasn’t sure how to proceed. My instincts told me I needed to show that I understood him, but I didn’t want to agree with his deepening grievances. I carefully stepped back into the conversation, “If I felt intentionally humiliated, that would anger me.”
나는 어떻게 해야 할지 확신이 없었다. 본능적으로 그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의 심화되는 불만에 동조하고 싶지는 않았다. 나는 조심스럽게 대화를 다시 이어갔다. "만약 내가 의도적으로 굴욕을 당했다고 느꼈다면, 나도 화가 났을 거예요."
instincts: 본능, 직감
- My instincts told me something was wrong.
내 직감이 뭔가 잘못됐다고 말했다. - He followed his instincts and made the right choice.
그는 본능을 따라 올바른 선택을 했다.
deepening grievances: 심화되는 불만
- The employee’s deepening grievances led to his resignation.
그 직원의 심화되는 불만이 그의 사직으로 이어졌다. - Deepening grievances can escalate workplace conflicts.
심화되는 불만은 직장 내 갈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심리적 개념: 공감적 반응 (Empathic Response)
이 문장에서 화자는 클라이언트에게 공감하면서도 그의 왜곡된 사고를 강화하지 않으려 한다. 이는 '공감적 반응(empathic response)'의 중요한 요소로, 상대의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문제 해결을 위한 균형 잡힌 접근을 유지하는 기술이다.
“It’s whatever.” His arms were crossed. He avoided looking at me. “Send me back to the general unit. I don’t want to talk anymore.”
"뭐, 상관없어요." 그는 팔짱을 꼈다. 나를 보지 않으려 했다. "일반 유닛으로 보내 주세요. 더 이상 얘기하고 싶지 않아요."
cross (one's) arms: 팔짱을 끼다 (방어적 태도)
- He crossed his arms and refused to listen.
그는 팔짱을 끼고 듣기를 거부했다. - She stood with her arms crossed, looking annoyed.
그녀는 팔짱을 낀 채 짜증난 표정을 지었다.
avoid looking at (someone): 시선을 피하다
- He avoided looking at his boss after making a mistake.
그는 실수를 한 후 상사와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 했다. - She kept avoiding looking at me during the conversation.
그녀는 대화 내내 나를 보지 않으려 했다.
심리적 개념: 회피적 방어 (Avoidant Defense Mechanism)
이 문장에서 클라이언트는 대화를 거부하고 회피하는 방어적 태도를 보인다. 이는 회피적 방어 기제(avoidant defense mechanism)로, 불편한 감정을 마주하기보다는 거리를 두고 회피함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줄이려는 전략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문제 해결을 방해할 수 있다.
이 장면에서는 피해의식, 인지적 왜곡, 그리고 방어 기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과도한 피해의식과 확대 해석이 클라이언트의 분노를 키우고 있으며, 상담자는 공감적 반응을 통해 이를 중재하려 하지만, 클라이언트는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며 대화를 중단한다. 이는 갈등 해결에서 흔히 나타나는 심리적 패턴이다.
I agreed, pulled out my two-way radio, and requested an escort. As my client left the room, I offered to talk later if he wished. He ignored me.
나는 동의하며 투웨이 라디오를 꺼내 호송을 요청했다. 내 의뢰인이 방을 떠날 때, 나는 그가 원한다면 나중에 다시 이야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나를 무시했다.
two-way radio: 양방향 무전기
- The security guard used a two-way radio to communicate with his team.
보안 요원은 팀과 소통하기 위해 양방향 무전기를 사용했다. - The rescue team relied on two-way radios to coordinate their efforts.
구조 팀은 협력을 위해 양방향 무전기에 의존했다.
escort: 호송, 경호
- The prisoner was escorted back to his cell.
죄수는 그의 감방으로 호송되었다. - The celebrity was escorted by bodyguards.
그 연예인은 보디가드들의 호위를 받았다.
심리적 개념: 거부와 무시 (Rejection and Dismissal)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상담자의 제안을 무시하고 거리를 둔다. 이는 종종 자기방어적 태도이며, 신뢰 부족이나 감정적 고립을 나타낼 수 있다. 심리적으로 거절(rejection)을 반복 경험하는 사람들은 분노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I sat in the room, rubbing my eyes, feeling unsettled.
나는 방 안에 앉아 눈을 비비며, 불안한 기분을 느꼈다.
rub (one's) eyes: 눈을 비비다 (피곤함, 스트레스, 당혹스러움 표현)
- She rubbed her eyes, trying to stay awake.
그녀는 졸음을 쫓으려 눈을 비볐다. - He rubbed his eyes in frustration after reading the email.
그는 이메일을 읽고 좌절하며 눈을 비볐다.
unsettled: 불안한, 동요하는
- I felt unsettled after hearing the bad news.
나는 나쁜 소식을 듣고 불안했다. - The uncertain future left him feeling unsettled.
불확실한 미래가 그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심리적 개념: 예측 불가능한 위기감 (Impending Crisis Anxiety)
이 장면에서 상담자는 직감적으로 뭔가 불길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있다. 이는 '예측 불가능한 위기감(impending crisis anxiety)'으로, 불안한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감지하려는 인간의 방어 메커니즘이다.
A minute passed, and then a panicked voice that struggled to sound professionally controlled came over the radio. “Code Red. Please respond!” Through the transmission, the sounds of chaos broke through the call.
1분이 지나자, 당황한 목소리가 무전기 너머에서 들렸다. 전문가답게 침착하려고 애썼지만, 떨리는 음성이었다.
"코드 레드. 응답해 주세요!"
무전을 통해 전해지는 소음 속에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펼쳐지고 있었다.
panicked voice: 당황한 목소리
- She called out in a panicked voice after losing her child in the crowd.
그녀는 군중 속에서 아이를 잃고 당황한 목소리로 외쳤다. - His panicked voice revealed his anxiety.
그의 당황한 목소리는 불안을 드러냈다.
professionally controlled: 전문가답게 통제된 (감정을 자제하는)
- The doctor remained professionally controlled despite the emergency.
그 의사는 응급 상황에서도 전문가답게 침착함을 유지했다. - His voice was professionally controlled, but his eyes showed concern.
그의 목소리는 차분했지만, 눈에는 걱정이 드러났다.
Code Red: 긴급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 The hospital announced a Code Red due to the fire.
병원은 화재로 인해 코드 레드를 발령했다. - In law enforcement, Code Red signals an immediate threat.
법 집행 기관에서 코드 레드는 즉각적인 위협을 의미한다.
심리적 개념: 위기 반응과 감정 조절 (Crisis Response and Emotional Regulation)
이 상황에서 무전을 보낸 사람은 직업적인 태도를 유지하려고 하지만, 감정을 완전히 숨기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흔히 나타나는 감정 조절의 실패(partial emotional regulation)로, 개인이 높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감정을 완전히 통제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violence had begun.
폭력이 시작되었다.
심리적 개념: 공격성의 촉발 (Triggering Aggression)
이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피해의식을 극단적으로 확대 해석하며 공격적인 행동을 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피해의식과 '정당한 보복'이라는 심리적 메커니즘이 결합될 경우, 공격성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 장면은 피해의식과 인지적 왜곡이 심화되면서 결국 폭력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상담자는 직감적으로 불안을 느꼈지만, 클라이언트의 반응을 완전히 예측하지 못했다. 이는 피해자가 공격자로 변하는 전형적인 패턴 중 하나로, 감정적 방어, 인지적 왜곡, 공격성 증가가 결합되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The Aggrieved Algorithm
While the workplace and correctional facilities are different in too many ways to count, the nature of violence shares important similarities across different environments. These common threads make tackling the challenge of workplace violence more realistic, because the insights from highly violent environments can be reliably applied to places where the risks are lower. Leaders in business don’t need to become forensic expert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ir employees—but by learning the core psychological dynamics of violence, they can make sounder judgments and policies.
직장과 교정 시설은 셀 수 없이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폭력의 본질은 다양한 환경에서 중요한 유사성을 공유한다. 이러한 공통된 특성 덕분에 직장 내 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폭력이 빈번한 환경에서 얻은 통찰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은 곳에서도 신뢰할 만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 리더들은 직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법의학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폭력의 핵심 심리적 역학을 이해한다면, 더 나은 판단과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correctional facility: 교정 시설 (교도소, 감옥 등)
- He was sent to a correctional facility for his crimes.
그는 범죄로 인해 교정 시설로 보내졌다. - The correctional facility implemented new rehabilitation programs.
교정 시설은 새로운 재활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forensic expert: 법의학 전문가
- The forensic expert analyzed the crime scene evidence.
법의학 전문가는 범죄 현장의 증거를 분석했다. - A forensic expert testified in court about the cause of death.
법의학 전문가는 법정에서 사망 원인에 대해 증언했다.
심리적 개념: 상황 전이 (Situational Transfer of Violence)
이 문장은 폭력의 특성이 환경을 초월하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상황 전이(Situational Transfer)’ 개념과 관련이 있는데, 특정 환경에서 발생한 행동 패턴이 다른 환경에서도 유사하게 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폭력이 만연한 교정 시설에서 관찰된 심리적 기제는 직장 내 폭력 예방에도 응용될 수 있다.
While it’s widely believed that those who commit acts of aggression lack the ability to discern between right and wrong, in most cases, this isn’t exactly true. This misunderstanding can make workplace violence more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aggression usually fails to match this “psychopath” stereotype.
공격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사람들은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널리 믿어지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는 정확한 사실이 아니다. 이러한 오해는 직장 내 폭력을 예측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왜냐하면 공격성은 흔히 떠올리는 ‘사이코패스’의 전형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discern between right and wrong: 옳고 그름을 구별하다
- Children learn to discern between right and wrong as they grow.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법을 배운다. - The judge must discern between right and wrong in complex cases.
판사는 복잡한 사건에서 옳고 그름을 가려야 한다.
stereotype: 고정관념
- The movie reinforced the stereotype of a ruthless businessman.
그 영화는 냉혹한 사업가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했다. - She fought against the stereotype that women are bad at math.
그녀는 여성이 수학을 못한다는 고정관념에 맞서 싸웠다.
심리적 개념: 공격성과 도덕적 인식 (Aggression and Moral Cognition)
대부분의 공격적인 사람들은 옳고 그름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정당한 행동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는 ‘도덕적 인식(Moral Cognition)’과 관련이 있는데, 사람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폭력이 용인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자신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한다.
The truth is that most of the time, dangerous people think like everybody else. Most of us believe that non-violence is preferred—but we also believe some exceptions to non-violence exist. We think introducing aggression is wrong—but we also think defensive aggression is allowed. We can’t punch first, but we’re allowed to punch second.
사실 대부분의 경우, 위험한 사람들은 일반인들과 다를 바 없이 사고한다. 우리는 대체로 비폭력을 선호한다고 믿지만, 비폭력의 예외가 존재한다고도 생각한다. 우리는 공격을 먼저 시작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여기지만, 방어적 공격은 허용된다고 본다. 우리는 먼저 주먹을 휘두를 수는 없지만, 상대가 먼저 공격했다면 반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non-violence: 비폭력
- Gandhi promoted non-violence as a way to resist oppression.
간디는 억압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비폭력을 주장했다. - The movement was based on principles of non-violence.
그 운동은 비폭력 원칙을 기반으로 했다.
defensive aggression: 방어적 공격성
- The dog showed defensive aggression when it felt threatened.
그 개는 위협을 느꼈을 때 방어적 공격성을 보였다. - Defensive aggression is often triggered by perceived danger.
방어적 공격성은 종종 인지된 위협에 의해 촉발된다.
심리적 개념: 도덕적 예외주의 (Moral Exceptionality)
사람들은 폭력을 원칙적으로 부정하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예외를 두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도덕적 예외주의(Moral Exceptionality)’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은 스스로를 정의로운 존재로 간주하면서도, 특정한 상황에서는 폭력이 정당하다고 믿는다.
This is where business leaders can learn to pay attention to the hidden psychology of violence. Employees who become aggressive usually haven’t changed their beliefs about violence itself; instead, they believe they’re the second one demonstrating it. They’re punching back. With a reflex for feeling “targeted” or “singled out,” they consider their violence to be defensive in nature. It’s their ability to mentally move into this “punching back” position that increases their risk. The grievance sets up the violence.
이것이 바로 기업 리더들이 폭력의 숨겨진 심리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공격적으로 변하는 직원들은 폭력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을 바꾼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이 폭력을 먼저 휘두른 것이 아니라 ‘반격’하고 있다고 믿는다. 자신이 ‘표적이 되었다’거나 ‘따로 지목되었다’고 느끼는 반사적 반응과 함께, 그들은 자신의 폭력을 방어적 행위로 인식한다. 이러한 ‘반격’의 심리적 위치로 이동하는 능력이 강할수록, 폭력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불만이 폭력을 준비시키는 것이다.
punch back: 반격하다
- He didn’t start the fight, but he punched back in self-defense.
그는 싸움을 먼저 시작하지 않았지만, 자기방어 차원에서 반격했다. - Sometimes, people punch back when they feel cornered.
사람들은 가끔 궁지에 몰렸다고 느낄 때 반격한다.
grievance: 불만, 고충
- The workers filed a grievance against their employer.
노동자들은 고용주에게 불만을 제기했다. - His deep grievance led to a heated argument.
그의 깊은 불만은 격렬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심리적 개념: 피해자의 공격성 (Victim’s Aggression)
많은 폭력적인 행동이 ‘나는 공격을 받았으니 방어하는 것이다’라는 심리적 기제에서 시작된다. 이처럼 자신을 피해자로 인식하는 것이 폭력성을 증가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글은 사람들이 폭력을 정당화하는 심리적 과정과, 그 과정이 직장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방어적 공격성과 도덕적 예외주의 개념을 통해, 직장 내 폭력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심리적 이해를 강조한다.
What Happens When Grievances Deepen
A second consideration for 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is the intensity of the grievances expressed. For someone to justify their aggression, they must consider the offense against them to be severe. Without that perception, the moral justification for violence doesn’t add up.
직장 내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두 번째로 고려해야 할 점은 불만의 강도이다. 누군가가 자신의 공격성을 정당화하려면, 자신이 당한 피해가 심각하다고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이 없으면, 폭력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은 성립되지 않는다.
심리적 개념: 정당화된 폭력 (Justified Violence Perception)
사람들은 단순한 불만만으로는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이 겪은 불이익이 심각하다고 믿으면, 공격성을 정당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도덕적 정당화(moral justification)’ 과정의 일환으로, 불만이 깊어질수록 폭력을 사용할 확률이 높아진다.
This is where grievance deepening plays a part. Grievance deepening is when someone magnifies their initial complaint, making it seem much more significant.
이때 ‘불만 심화(grievance deepening)’가 작용한다. 불만 심화란, 누군가가 자신의 초기 불만을 확대하여 훨씬 더 중요한 문제로 보이게 만드는 과정이다.
magnify: 확대하다, 과장하다
- He magnified the issue, making it seem more serious than it was.
그는 문제를 과장하여 실제보다 더 심각하게 보이게 했다. - The media tends to magnify small conflicts into major scandals.
언론은 사소한 갈등을 주요 스캔들로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심리적 개념: 인지적 왜곡 - 확대 해석 (Cognitive Distortion - Magnification)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불만을 증폭시켜 더 심각한 문제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확대 해석(magnification)’은 인지적 왜곡의 한 유형으로, 개인이 실제보다 더 심한 피해를 입었다고 믿게 만들 수 있다.
For example, an employee doesn’t simply disagree with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but instead, they insist, “You’re taking food out of my kid’s mouth!” A second employee isn’t only frustrated because they weren’t promoted; they assert, “You’re ruining my marriage by not rewarding my work.”
예를 들어, 한 직원이 단순히 자신의 업무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내 아이의 밥을 뺏어가는 거예요!”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직원은 승진하지 못한 것에 그저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내 노고를 인정하지 않아서 내 결혼 생활이 망가지는 거예요!”라고 말한다.
assert: 주장하다, 단언하다
- He asserted that he was unfairly treated.
그는 자신이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 She asserted her right to speak.
그녀는 자신의 발언권을 주장했다.
심리적 개념: 감정적 합리화 (Emotional Rationalization)
불만이 깊어질수록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더욱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며, 문제를 개인적인 생존이나 관계의 위협으로 연결 짓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신의 감정을 합리화하는 과정으로, 결국 공격성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된다.
The greater their sense of being wronged, the closer they move towards the exceptions of non-violence. It’s grievance deepening that provides the moral justification for the violence to come.
그들이 느끼는 부당함이 커질수록, 그들은 비폭력의 예외에 더 가까워진다. 바로 이 ‘불만 심화’가 이후 폭력을 정당화하는 도덕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sense of being wronged: 부당함을 느끼는 감정
- His deep sense of being wronged led to resentment.
그가 느낀 깊은 부당함은 원망으로 이어졌다. - The employee’s sense of being wronged fueled his anger.
그 직원이 느낀 부당함이 그의 분노를 키웠다.
심리적 개념: 도덕적 정당화와 보복 심리 (Moral Justification and Retributive Mindset)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피해를 당했다는 인식이 강할수록, 폭력을 정당한 대응 방식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는 ‘보복 심리(retributive mindset)’와 연결되며, 도덕적 정당성을 갖추려는 인간의 본능적인 경향 중 하나이다.
How Leaders Can Reduce the Risk of Violence
Understanding the aggrieved algorithm and grievance deepening can help leaders reduce the risk of violence in their workplace. While those working in the business world won’t develop highly specialized training in violence, if its core elements are understood, they won’t need to. It’s when organizations learn the signs of danger around them that they can safely place their focus back where it belongs, on the work to be done.
기업 리더들이 ‘피해 의식 알고리즘’과 ‘불만 심화’ 개념을 이해하면 직장 내 폭력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비즈니스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폭력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그 핵심 요소를 이해한다면 별도의 훈련 없이도 충분할 것이다. 조직이 주변의 위험 신호를 읽는 법을 배우게 되면, 불필요한 혼란을 피하고 본래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reduce the risk: 위험을 줄이다
- Wearing seat belts reduces the risk of injury in car accidents.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교통사고 시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A healthy diet can reduce the risk of heart disease.
건강한 식단은 심장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safely place their focus back: 안전하게 본래의 업무로 돌아가다
- After resolving the issue, we can safely place our focus back on productivity.
문제를 해결한 후, 우리는 안전하게 생산성에 집중할 수 있다. - The manager ensured that employees could safely place their focus back on their tasks.
매니저는 직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심리적 개념: 예방적 개입 (Preventive Intervention)
폭력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폭력의 전조(signs of violence)’를 인식하는 것이다. 특히 피해의식을 강하게 갖거나 불만을 과장하는 직원이 있을 경우, 그들의 불만을 적절하게 해소하고, 갈등이 격화되지 않도록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 글은 **불만 심화(grievance deepening)**가 직장 내 폭력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단순한 불만이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확대될수록, 개인은 폭력을 정당한 대응 방식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커진다. 기업 리더들은 이러한 심리를 이해하고, 초기 단계에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1. 일반 단어 및 표현
2. 구어체 표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