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y'25 15/365: 10 Bad Dating App Behaviors to Spot and AvoidProtect your heart and don't waste your time
10 Bad Dating App Behaviors to Spot and Avoid
Protect your heart and don't waste your time
10가지 나쁜 데이팅 앱 행동과 피하는 법
당신의 마음을 지키고,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지 마세요.
Let’s be real, dating apps can be a wild (and exhausting) ride. Sometimes they can be fun and exciting, leading to genuine connections and lasting love. But, other times, they can bring out some seriously sketchy behavior. And we’re not talking about cheesy pickup lines, cringe worthy bios, or shirtless gym selfies. Beyond these harmless quirks are some toxic behaviors that can leave us feeling hurt, confused, or frustrated.
솔직히 말해서, 데이팅 앱은 마치 롤러코스터 같은 (그리고 때로는 지치는) 경험이 될 수 있다.
때로는 재미있고 흥미진진하며, 진정한 인연과 지속적인 사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때때로 데이팅 앱에서는 꽤나 수상쩍은 행동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진부한 픽업 라인이나 손발이 오그라드는 자기소개글, 혹은 헬스장에서 찍은 셔츠 없는 셀카 같은 무해한 것들이 아니다. 그런 사소한 특징을 넘어서, 사람을 상처받게 하고, 혼란스럽게 만들며, 좌절감을 느끼게 하는 독성이 강한 행동들이 존재한다.
🚩 1. 고스팅 (Ghosting)설명: 상대방이 아무런 설명 없이 갑자기 연락을 끊고 사라지는 행동입니다.예시:
🚩 2. 브레드크러밍 (Breadcrumbing)설명: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지만 실제 만남이나 관계로 발전하지 않는 행동.예시:
🚩 3. 러브 밤빙 (Love Bombing)설명: 상대방이 과도한 애정 표현과 선물을 통해 빠르게 신뢰를 얻으려는 조작적 행동.예시:
🚩 4. 벤치워밍 (Benchwarming)설명: 상대방이 진지한 관계가 아니라 예비 후보로 남겨두는 행동.예시:
🚩 5. 고스트-라이팅 (Ghost-Lighting)설명: 고스팅을 했다가 다시 나타나며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행동하는 것.예시:
🚩 6. 바람피우기 (Cheating)설명: 이미 연애 중이거나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팅 앱을 사용하는 행동.예시:
🚩 7. 네깅 (Negging)설명: 상대방의 자존감을 낮추기 위해 애매한 칭찬과 비판을 섞어 말하는 행동.예시:
🚩 8. 캣피싱 (Catfishing)설명: 거짓 프로필을 사용해 자신을 속이는 행동.예시:
🚩 9. 트롤링 (Trolling)설명: 상대를 도발하거나 불쾌감을 주는 행동.예시:
🚩 10. 괴롭힘 (Bullying)설명: 온라인에서 지속적으로 괴롭히거나 모욕적인 말을 하는 행동.예시:
|
1. A wild ride – (비유적으로) 정신없이 변화가 많고 흥미진진한 경험
|
심리학적 해석
데이팅 앱에서 사람들은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현실보다 쉽게 거짓말을 하거나 다른 사람을 조종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익명의 공간에서는 사회적 책임이 줄어들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리학적으로 **"온라인 탈억제 효과(Online Disinhibition Effect)"**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탈억제 효과란?
- 온라인 환경에서는 현실에서보다 감정 조절이 쉽고 책임감이 덜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평소보다 더 무례하거나, 조작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이는 데이팅 앱에서 고스팅(Ghosting), 브레드크러밍(Breadcrumbing), 캣피싱(Catfishing) 같은 행동들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감정적 피로와 자기 가치감 손상
- 반복적으로 부정적인 경험을 하면, 자아존중감(self-esteem)에 영향을 미치고, 연애에 대한 신뢰(trust in relationships)를 잃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지속적인 거절(rejection)을 경험하면 "나는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다"는 왜곡된 인식을 가지게 되어, 연애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서도 위축될 수 있습니다.
👉 대처법:
- 데이팅 앱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더라도 이를 개인적인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만약 특정 패턴(예: 계속해서 브레드크러밍을 당하는 경우)이 반복된다면, 자신의 경계(boundaries)를 재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핵심 정리:
데이팅 앱에서 발생하는 독성 행동들은 대부분 온라인 탈억제 효과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경험이 반복될 경우 자존감과 연애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을 조기에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anonymity of dating apps allows people to hide, pretend, string us along, never get back to us, tell us they’re looking for something different than what they really want, and just create plain overwhelm and confusion,” says Claudia de Llano, LMFT, a licensed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 and author of “The Seven Destinies of Love.”
2. 익명성이 만드는 착각
원문:
“The anonymity of dating apps allows people to hide, pretend, string us along, never get back to us, tell us they’re looking for something different than what they really want, and just create plain overwhelm and confusion,” says Claudia de Llano, LMFT, a licensed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 and author of The Seven Destinies of Love.
번역:
“데이팅 앱의 익명성은 사람들이 숨거나, 거짓된 모습을 보이거나, 우리를 애태우게 만들거나, 연락을 끊거나, 원하는 것이 다르다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다른 의도를 가질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결국 우리에게 극도의 혼란과 감정적 피로를 초래하죠.”
— 부부 및 가족 치료사이자 『사랑의 일곱 가지 운명』의 저자 클라우디아 데 야노 (Claudia de Llano)
1. Anonymity – 익명성
|
심리학적 해석💡 익명성이 만들어내는 심리적 변화데이팅 앱의 익명성은 **온라인 탈억제 효과(Online Disinhibition Effect)**를 극대화시킨다. 이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는 현실보다 더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만드는 심리적 원인 중 하나다. 익명성이 유발하는 행동 패턴:
|
These behaviors can traumatize us and have us questioning our worth, especially if we experience them repeatedly, says Sabrina Romanoff, PsyD, a clinical psychologist.
3. 감정적 트라우마와 자기 의심
원문:
These behaviors can traumatize us and have us questioning our worth, especially if we experience them repeatedly, says Sabrina Romanoff, PsyD, a clinical psychologist.
번역:
이러한 행동들은 우리에게 감정적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으며, 특히 반복적으로 겪을 경우 스스로의 가치를 의심하게 만들 수 있다.
— 임상 심리학자 사브리나 로마노프 (Sabrina Romanoff)
단어 및 표현 정리1. Traumatize – 트라우마를 입히다, 정신적 충격을 주다
|
심리학적 해석💡 반복적인 거절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연애에서 반복적인 부정적인 경험은 **인지 왜곡(Cognitive Distortions)**을 초래할 수 있다.
대처법:✅ 거절을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기✅ 패턴을 인식하고 반복적인 실수를 피하기 ✅ 자신의 가치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활동 (운동, 취미, 자기 계발) 찾기 ✅ 필요하다면 전문가(심리 상담사)와 상담하기 |
Whether you’re swiping for a soulmate or just dipping your toes into the dating pool, these are some of the red flags to look out for.
4. 데이팅 앱에서 조심해야 할 행동들
원문:
Whether you’re swiping for a soulmate or just dipping your toes into the dating pool, these are some of the red flags to look out for.
번역:
당신이 영혼의 단짝을 찾기 위해 스와이프하고 있든, 그냥 가볍게 데이팅 앱을 탐색 중이든,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적신호(경고 신호)들이 있다.
단어 및 표현 정리
1. Swiping for a soulmate – 영혼의 단짝을 찾기 위해 (데이팅 앱에서) 스와이프하다
- I’ve been swiping for a soulmate, but all I find are players.
(나는 영혼의 단짝을 찾으려고 스와이프하고 있지만, 바람둥이들만 보인다.) - Some people swipe for a soulmate, while others just want fun.
(어떤 사람들은 진지한 인연을 찾으려 스와이프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냥 가볍게 즐기려 한다.)
2. Dipping your toes into something – (어떤 일에) 가볍게 발을 들이다, 시험 삼아 해보다
- I’m just dipping my toes into online dating.
(나는 그냥 온라인 데이팅을 가볍게 시도해 보는 중이야.) - Before committing to a career change, I’m dipping my toes into freelancing.
(본격적으로 직업을 바꾸기 전에, 프리랜서 일을 시험 삼아 해보고 있어.)
3. Red flags – 적신호, 경고 신호 (특히 연애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징후)
- Ghosting is a major red flag in dating.
(고스팅은 연애에서 매우 중요한 경고 신호다.) - If they never ask about you and only talk about themselves, that’s a red flag.
(상대가 당신에 대해 묻지 않고 자기 이야기만 한다면, 그건 경고 신호다.)
심리학적 해석
💡 "적신호"를 무시하면 감정적 피해가 커진다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라는 심리 현상 때문에, 우리는 연애 초기에 나타나는 문제 징후를 종종 무시하려 한다.
- "아마 오늘 기분이 안 좋았겠지."
- "그럴 수도 있지 뭐, 너무 예민하게 굴지 말자."
- "시간이 지나면 변할 거야."
하지만 이런 신호들을 무시하면 감정적으로 더 깊이 얽히게 되고, 결국 더 큰 상처를 받을 위험이 높아진다.
👉 대처법:
✅ 초반에 이상한 느낌이 들면 직감을 믿어라.
✅ "변할 거야"라는 생각보다는, 지금 보이는 행동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 경고 신호를 무시하는 이유를 스스로 분석해 보고, 건강한 경계를 설정하라.
5. 고스팅(Ghosting)과 그 영향
원문:
Ghosting is essentially when someone suddenly cuts off all communication without any explanation.
번역:
고스팅은 누군가가 아무런 설명 없이 갑자기 모든 연락을 끊는 행동을 의미한다.
단어 및 표현 정리
1. Cut off all communication – 모든 연락을 끊다
- She suddenly cut off all communication with me.
(그녀는 갑자기 나와 모든 연락을 끊었다.) - If someone cuts off all communication, don’t chase them.
(누군가 갑자기 연락을 끊으면, 굳이 쫓아가지 마라.)
2. Without any explanation – 아무런 설명 없이
- He left without any explanation, and I was confused.
(그는 아무런 설명 없이 떠나서, 나는 혼란스러웠다.) - She broke up with him without any explanation.
(그녀는 아무런 설명 없이 그와 헤어졌다.)
심리학적 해석
💡 고스팅은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준다
고스팅을 당하면 뇌는 미해결 과제 효과(Zeigarnik Effect)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대방을 떠올리게 된다.
-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 "내가 뭘 잘못했나?"
- "그 사람은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이러한 미완성된 상황은 감정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정신을 갉아먹을 수 있다.
👉 대처법:
✅ 고스팅은 상대방의 문제이지, 당신의 가치와 상관없는 일임을 인식하라.
✅ 미련을 남기지 않기 위해, "이 사람은 나와 맞지 않았구나"라고 결론을 내리고 빠르게 감정을 정리하라.
✅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 고스팅한 사람보다 자신을 더 소중히 여길 수 있는 관계에 집중하라.
6. 브레드크러밍(Breadcrumbing)의 함정
원문:
Breadcrumbing is when someone gives you just enough attention to keep you hooked but never actually commits to anything.
번역:
브레드크러밍은 상대가 당신을 완전히 떠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진지한 관계로 발전시키지도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어 및 표현 정리
1. Give just enough attention – 최소한의 관심만 주다
- He gave me just enough attention to keep me around.
(그는 나를 계속 붙잡아 두기 위해 최소한의 관심만 주었다.) - Some people give just enough attention but never commit.
(어떤 사람들은 최소한의 관심만 주고 절대 헌신하지 않는다.)
2. Never actually commit – 절대 헌신하지 않다
- He never actually committed to the relationship.
(그는 절대 이 관계에 헌신하지 않았다.) - If they never actually commit, they’re not worth your time.
(그들이 절대 헌신하지 않는다면, 시간을 낭비할 필요 없다.)
심리학적 해석
💡 브레드크러밍은 중독성을 가진다
브레드크러밍을 당하면 우리 뇌는 변동 보상(Variable Reward) 패턴에 의해 중독적인 반응을 보인다.
- 상대가 관심을 줄 때마다 도파민이 분비됨 → 기분이 좋아짐
- 그러나 지속적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음 → 불안감 유발
- 다시 관심을 받을 수 있을까 기대하며 기다림 → 감정적 의존 형성
👉 대처법:
✅ 감정적으로 헷갈리는 관계는 스스로 빠져나올 것.
✅ 상대방이 일관되지 않은 관심을 보인다면, 거리를 두고 자기 감정을 보호할 것.
✅ 단순한 설렘보다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지를 관찰할 것.
1. 헷갈리게 하는 행동 (Breadcrumbing & Benchwarming)
원문:
They might send flirty texts or like your pictures occasionally, but every time you try to make plans, chances are they conveniently “forget” or bail on you at the last minute.
Breadcrumbing can be incredibly frustrating because you’re unsure of where you stand with the person. It often feels like a rollercoaster of suspense—the highs when the person makes contact feel euphoric, keeping you pecking along the trail for the crumbs of affection the person gives you, says Dr. Romanoff. Ultimately, you waste a lot of emotional energy waiting for something that’s never going to happen.
번역:
그들은 가끔씩 장난스러운 문자를 보내거나 당신의 사진에 ‘좋아요’를 누를 수도 있다. 하지만 막상 만나려고 하면 어김없이 "잊어버렸어"라거나, 갑작스럽게 약속을 취소해버린다.
브레드크러밍(Breadcrumbing)은 극도로 답답한 경험이 될 수 있다. 당신은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대가 연락을 하면 일시적으로 행복함을 느끼지만, 결국엔 감정적으로 소진되며 의미 없는 기다림을 반복하게 된다. — Dr. Romanoff
단어 및 표현 정리
1. Bail on someone – (약속을) 어기다, 바람맞히다
- He always bails on me at the last minute.
(그는 항상 막판에 약속을 깨.) - Don’t make plans with people who constantly bail on you.
(항상 약속을 어기는 사람들과는 계획을 세우지 마.)
2. Rollercoaster of suspense – 감정의 롤러코스터 (기대와 실망이 반복되는 상황)
- Dating him was a rollercoaster of suspense.
(그와의 연애는 감정의 롤러코스터였다.) - Breadcrumbing creates a rollercoaster of suspense.
(브레드크러밍은 감정적 롤러코스터를 만든다.)
심리학적 해석
💡 브레드크러밍과 벤치워밍은 감정적 중독을 일으킨다
- 도파민 보상 시스템(Dopamine Reward System): 상대가 가끔씩만 관심을 보일 때, 뇌는 마치 ‘도박’을 하듯이 보상을 기대하며 기다리게 된다.
- "기다리면 더 나아질 거야"라는 착각: 상대가 한 번만이라도 좋은 태도를 보이면, 우리는 그것을 기준 삼아 계속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
👉 대처법:
✅ 상대방이 명확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더 이상 기다리지 말 것.
✅ 관계에서 "나는 어떤 위치인가?"라는 질문을 자주 던질 것.
✅ 연락 빈도가 아니라 "실제 행동"을 기준으로 상대방의 관심을 판단할 것.
2. 감정적으로 조종하는 행동 (Love Bombing & Ghost-Lighting)
원문:
Love bombing is when someone overwhelms you with excessive affection, compliments, and promises early on to gain your trust quickly.
Ghost-lighting is a mix of ghosting and gaslighting, where someone ghosts you and then pretends it never happened if they resurface later.
번역:
러브 밤빙(Love Bombing)은 초반부터 과도한 애정 표현과 칭찬, 그리고 약속을 쏟아부어 빠르게 신뢰를 얻으려는 행동이다.
고스트-라이팅(Ghost-lighting)은 고스팅과 가스라이팅을 결합한 것으로, 상대가 갑자기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서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는 패턴을 의미한다.
단어 및 표현 정리
1. Overwhelm with affection – 과한 애정 표현으로 압도하다
- He overwhelmed me with affection, and it felt too fast.
(그는 과한 애정 표현을 쏟아부었고, 너무 빠르게 진행되었다.) - Love bombers overwhelm their partners with affection.
(러브 밤버들은 과도한 애정 표현으로 상대를 압도한다.)
2. Resurface later – 나중에 다시 나타나다
- He ghosted me for weeks and then resurfaced later.
(그는 몇 주 동안 고스팅하더니 다시 나타났다.) - If someone ghosts you and resurfaces later, be careful.
(누군가 고스팅했다가 다시 나타난다면 조심해야 한다.)
심리학적 해석
💡 러브 밤빙은 심리적 조작의 전형적인 방식이다
- "이 사람 없이는 안 돼"라는 의존성 형성
- 급격한 애정 표현 후 거리두기 → 감정적 혼란 유발
👉 대처법:
✅ 초반에 감정적으로 압도되지 않도록 신중할 것.
✅ 상대가 빠르게 신뢰를 요구하면 속도를 조절할 것.
✅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사람을 경계할 것.
Benchwarming
Benchwarming is when someone keeps you as a backup option while pursuing other people more seriously.
For example, the person may only text you sporadically, either when they’re bored or when their primary interest is unavailable.
This behavior can make you feel undervalued, like you’re not a priority but just a placeholder in their dating life.
Ghost-Lighting
Ghost-lighting is a mix of ghosting and gaslighting, where someone ghosts you and then pretends it never happened if they resurface later.
The person may disappear for weeks, then suddenly pop back in like nothing happened, acting confused if you bring it up.
This can leave you feeling manipulated and questioning your own perception of the situation.
Cheating
Unfortunately, some people use dating apps despite being in committed relationships, which can be a form of cheating.
The person may tell you they’re single, but they may actually be using the app behind their partner’s back.
This behavior is dishonest and disrespectful to both the person they’re dating and to you.
Negging
Negging involves giving backhanded compliments or subtle insults.
For example, someone tells you they like your dress, but then adds, "It's a little last season, but you pull it off."
Negging is a form of emotional abuse that can chip away at your self-worth and make you feel insecure.
3. 거짓과 모욕 (Catfishing, Negging & Trolling)
원문:
Catfishing occurs when someone creates a fake profile or pretends to be someone else to deceive you.
Negging involves giving backhanded compliments or subtle insults.
Trolling is when someone intentionally provokes, insults, or upsets you, just to get a reaction out of you.
번역:
캣피싱(Catfishing)은 가짜 프로필을 만들거나 자신을 다른 사람인 척하여 상대를 속이는 행위를 뜻한다.
네깅(Negging)은 칭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대의 자존감을 깎아내리는 미묘한 모욕을 의미한다.
트롤링(Trolling)은 의도적으로 상대를 도발하거나 모욕하여 반응을 유도하는 행동이다.
단어 및 표현 정리
1. Fake profile – 가짜 프로필
- I was catfished by someone using a fake profile.
(나는 가짜 프로필을 사용한 사람에게 속았다.) - Fake profiles are common on dating apps.
(데이팅 앱에서는 가짜 프로필이 흔하다.)
2. Backhanded compliment – 겉으로는 칭찬 같지만 실제로는 모욕적인 말
- "You’re pretty for someone who doesn’t wear makeup" is a backhanded compliment.
(“화장 안 한 치고는 예쁘네” 같은 말은 네깅이다.)
심리학적 해석
💡 가짜 프로필과 모욕적인 언행은 자존감을 손상시킨다
-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의 수치심
- 네깅과 트롤링은 자존감 낮은 사람을 타겟으로 한다
👉 대처법:
✅ 비디오 통화를 통해 상대가 진짜인지 확인할 것.
✅ 모욕적인 말을 듣게 되면 바로 관계를 끊을 것.
✅ 온라인에서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연습을 할 것.
결론: 감정적 건강을 지키는 법
💡 데이팅 앱에서 나쁜 행동을 피하기 위한 핵심 원칙
✅ "이 사람의 행동이 일관적인가?"를 항상 점검할 것.
✅ 기분이 아니라 "행동"을 보고 상대를 평가할 것.
✅ 경고 신호를 발견하면 빠르게 떠날 것.
✅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라는 마인드를 가질 것.
🚨 마지막 한마디:
"연애는 내가 나답게 있을 때 행복해야 한다. 나를 헷갈리게 하거나 상처 주는 사람은 필요 없다!" 💪
4. 데이팅 앱에서의 부정적 행동이 미치는 심리적 영향
원문:
Many of these harmful behaviors aren’t just frustrating, they can also have real psychological consequences, which might include:
Self-doubt: Being repeatedly rejected, ghosted, or treated as a backup can make us question our worth. We tend to personalize the harm and believe we are deserving of it, which affects our self-esteem, says Dr. Romanoff.
Trust issues: Experiences like catfishing, trolling, or discovering a partner using dating apps in secret can lead to deep trust issues, making future relationships difficult. “These behaviors can impact our sense of self and our sense of trust in general,” de Llano explains.
Confusion: Inconsistent behavior, like hot-and-cold messaging or ghosting after a strong connection, can create emotional instability and self-doubt.
Emotional exhaustion: Behaviors like breadcrumbing, ghost-lighting, and mixed signals can leave us drained, frustrated, and emotionally exhausted.
Anxiety: Inconsistent communication and being strung along can create uncertainty, leading to stress, overanalysis, and anxiety.
Depression: When we expose ourselves to repeated rejection in the face of unkind behavior, it can lead to depression and despondency, says de Llano.
번역:
많은 이러한 독성 행동들은 단순히 답답한 수준을 넘어,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자기 의심(Self-doubt): 반복적인 거절, 고스팅, 예비 옵션 취급을 당하면, 우리는 자신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이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 Dr. Romanoff
신뢰 문제(Trust issues): 캣피싱, 트롤링, 그리고 파트너가 몰래 데이팅 앱을 사용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 깊은 신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향후 연애에서 상대를 믿기 어렵게 만든다. — de Llano
혼란(Confusion): 온-오프식 태도, 강한 연결 후 갑작스러운 고스팅 같은 행동은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만들고, 자기 의심을 유발할 수 있다.
감정적 소진(Emotional exhaustion): 브레드크러밍, 고스트-라이팅, 혼란스러운 신호들은 우리를 지치게 만들고, 감정적으로 소모되게 한다.
불안(Anxiety): 일관되지 않은 연락과 감정적으로 끌려 다니는 상황은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스트레스, 과분석(overanalysis), 그리고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우울(Depression): 지속적인 거절과 부당한 대우를 경험하면, 이는 우울감과 절망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 de Llano
단어 및 표현 정리
1. Self-doubt – 자기 의심
- After being ghosted multiple times, she started feeling self-doubt.
(여러 번 고스팅을 당한 후, 그녀는 자기 의심을 하기 시작했다.) - Rejection in dating apps can lead to self-doubt.
(데이팅 앱에서의 거절은 자기 의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Trust issues – 신뢰 문제
- His past relationships gave him trust issues.
(그의 과거 연애 경험은 신뢰 문제를 남겼다.) - Being catfished can cause serious trust issues.
(캣피싱을 당하면 심각한 신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3. Emotional exhaustion – 감정적 소진
- Breadcrumbing can leave people emotionally exhausted.
(브레드크러밍은 사람을 감정적으로 소진되게 만든다.) - Emotional exhaustion can make it hard to start a new relationship.
(감정적 소진은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4. Overanalysis – 과분석, 지나친 고민
- He kept overanalyzing her messages.
(그는 그녀의 메시지를 지나치게 분석했다.) - Overanalysis can create unnecessary stress in dating.
(과분석은 연애에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초래할 수 있다.)
심리학적 해석
💡 반복적인 거절과 조작이 미치는 심리적 영향
🔹 자아존중감(Self-esteem) 저하:
- 고스팅, 브레드크러밍 같은 행동이 반복되면, 우리는 자신이 사랑받을 가치가 없는 사람처럼 느껴질 수 있다.
- 특히 "나는 늘 이런 대우만 받네"라는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다.
🔹 애착 문제(Attachment Issues):
- 지속적인 거절과 불안정한 관계는 불안형 애착(Anxious Attachment) 을 강화한다.
- 이는 연애에서 상대방에게 과하게 의존하거나, 감정적으로 쉽게 무너지는 패턴을 만든다.
🔹 회피 심리(Avoidant Behavior):
- 계속해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다 보면, 연애 자체를 피하고 싶어질 수도 있다.
- "다 똑같아. 이젠 누굴 만나도 못 믿겠어." 같은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
👉 대처법:
✅ 거절을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이지 말 것
✅ 부정적인 경험이 반복되면, 패턴을 분석하고 스스로의 행동을 점검할 것
✅ "나는 소중한 사람이다"라는 확신을 갖고, 독성 관계에서 빠르게 벗어날 것
5. 나쁜 데이팅 앱 행동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
원문:
These are some strategies that can help you protect yourself from bad dating app behaviors:
Limit personal information: Be cautious about sharing too much personal information on your profile.
Set clear boundaries: Decide what behaviors you will and won’t tolerate.
Trust your gut: If something feels off, listen to your instincts.
Don’t be afraid to unmatch/block: You’re in control of your experience.
Take a break if needed: If dating apps start feeling exhausting, step back and focus on other aspects of life.
번역:
나쁜 데이팅 앱 행동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몇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개인 정보 제한: 프로필에 너무 많은 개인 정보를 공개하지 말 것.
명확한 경계 설정: 어떤 행동을 용납할 수 없는지 미리 결정할 것.
직감을 믿기: 뭔가 이상하면 본능을 따라 행동할 것.
언매치/차단을 두려워하지 말기: 당신이 경험을 통제하는 사람이다.
필요하면 휴식: 데이팅 앱이 지치게 만든다면, 잠시 쉬면서 삶의 다른 부분에 집중할 것.
심리학적 해석
💡 감정적 회복력을 기르는 법
🔹 "내가 선택권을 가진다"는 인식:
- 나쁜 경험이 있어도 "나는 스스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것.
🔹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다":
- 누군가에게 "너무 까다롭다"는 말을 듣더라도,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 데이팅 앱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 것:
-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을 만나는 것이 감정적으로 더 건강하다.
👉 결론:
연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가 나를 어떻게 대하는지’가 아니라, ‘내가 나를 어떻게 대하는가’이다. 🚀😊
💡 나쁜 데이팅 앱 행동: 핵심 요약 & 대처법
🔴 1. 헷갈리게 하는 행동 (Breadcrumbing & Benchwarming)
- 브레드크러밍(Breadcrumbing):
- 가끔 연락은 하지만, 약속을 잡으려 하면 항상 "바빠서" 피한다.
- 결과: 감정적으로 오락가락하며, 헛된 희망만 남는다.
- 대처법: 연락 빈도가 아니라 "행동"을 보고 관계를 판단할 것.
- 벤치워밍(Benchwarming):
- 당신을 "예비 옵션"으로 남겨두고, 더 좋은 상대를 찾는 중이다.
- 결과: 본인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 같아 자존감이 낮아짐.
- 대처법: 확신이 없는 상대에게 시간 낭비하지 말 것.
💔 2. 감정적으로 조종하는 행동 (Love Bombing & Ghost-Lighting)
- 러브 밤빙(Love Bombing):
- 초반부터 "넌 내 운명이야!" 하면서 과한 애정과 선물을 쏟아부음.
- 결과: 상대에게 감정적으로 의존하게 되고, 결국 조종당할 가능성이 큼.
- 대처법: 너무 빠른 감정 몰입은 경계하고, 서두르지 말 것.
- 고스트-라이팅(Ghost-Lighting):
- 갑자기 사라졌다가 다시 돌아와서 "무슨 일 있었어?" 하는 척함.
- 결과: 혼란과 자기 의심이 커지고, 신뢰가 깨짐.
- 대처법: 한 번 사라진 사람은 다시 받아주지 말 것.
😡 3. 거짓과 모욕 (Catfishing, Negging & Trolling)
- 캣피싱(Catfishing):
- 가짜 프로필을 사용하여 자신을 속임.
- 결과: 신뢰를 깨고, 연애 자체가 두려워질 수 있음.
- 대처법: 영상 통화를 통해 상대가 진짜인지 확인할 것.
- 네깅(Negging):
- "너 예쁜데… 근데 화장 안 하면 좀 별로야" 같은 미묘한 모욕을 함.
- 결과: 자존감을 깎아내리고, 관계에서 불안감을 조성함.
- 대처법: 기분 나쁜 "칭찬"을 받으면 바로 손절할 것.
- 트롤링(Trolling):
- 의도적으로 공격적인 말을 하거나 상대를 불쾌하게 만듦.
- 결과: 모욕감, 분노, 감정적인 소모가 심해짐.
- 대처법: 대응하지 말고, 즉시 차단할 것.
😢 4. 심리적 영향 (Self-doubt, Trust Issues & Depression)
- 자기 의심(Self-doubt):
- 계속해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면 "내가 문제인가?"라고 의심하게 됨.
- 대처법: 연애 실패를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이지 말 것.
- 신뢰 문제(Trust Issues):
- 고스팅, 캣피싱 등을 당하면 사람을 쉽게 믿기 어려워짐.
- 대처법: 감정적 상처를 회복하기 위한 시간을 가질 것.
- 우울(Depression):
- 반복적인 거절과 나쁜 경험은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음.
- 대처법: 자신을 돌보고, 필요하면 상담을 받을 것.
🛡 5. 나쁜 행동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
✅ 개인 정보 보호:
- 너무 많은 정보를 공개하지 말 것 (주소, 직장 등).
✅ 명확한 경계 설정:
- "이런 행동은 절대 용납 못 해"라는 기준을 세울 것.
✅ 직감을 믿기:
- "뭔가 이상한데?"라는 느낌이 들면 바로 손절할 것.
✅ 언매치 & 차단:
- 찜찜한 사람은 미련 없이 차단할 것.
✅ 필요하면 휴식:
- 데이팅 앱이 지친다면, 잠시 쉬면서 오프라인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날 것.
✅ 믿을 만한 사람과 이야기하기:
- 경험을 친구들과 공유하면, 자기 탓을 덜 하게 된다.
✅ 전문가 상담 고려:
- 연애 트라우마가 크다면 심리 상담을 받아볼 것.
🔹 결론: "나 자신을 최우선으로 둘 것"
💡 연애는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게 해줘야 한다.
💡 나쁜 대우를 당하고도 변명하지 말 것.
💡 "나는 소중한 사람이다. 나를 헷갈리게 하는 사람에게 에너지를 쓰지 않는다."
🚀 당당하게, 건강하게, 그리고 똑똑하게 연애하자! 💪😊
https://www.verywellmind.com/10-dating-app-bad-behaviors-8782566
10 Bad Dating App Behaviors to Spot and Avoid
From ghosting and breadcrumbing to catfishing and trolling, dating apps can be full of red flags. Spot these toxic behaviors early and safeguard yourself.
www.verywellmi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