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Humans need solitude'

jellyjello 2025. 6. 11. 20:58


From spending time by yourself to making the most of being single, flying solo can be fulfilling – a philosophy championed by a new wave of books.


혼자 시간을 보내는 일부터 독신 생활을 온전히 즐기는 것까지, 혼자만의 삶은 충분히 만족스러울 수 있다 — 이는 최근 등장한 여러 책들이 지지하는 철학이다.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spend time by yourself 혼자 시간을 보내다 I like to spend time by myself on weekends.
make the most of ~ ~을 최대한 활용하다 She made the most of her time abroad.
flying solo 혼자 행동하다, 독신으로 지내다 He's flying solo these days and loving it.
fulfilling 만족스러운, 보람 있는 Teaching can be a very fulfilling career.
champion (v.) ~을 지지하다, 옹호하다 She champions the cause of mental health awareness.
 

[심리학 개념]

  • 자기충족(Self-fulfillment):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뿐 아니라, 자기 존재의 의미를 스스로 찾는 과정에서도 심리적 만족을 느낄 수 있다. 이는 Maslow의 욕구 위계에서 상위 단계인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과 연결된다.
  • 혼자의 삶에 대한 수용: 현대 심리학은 타인 의존보다는 내적 자율성(autonomy)이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자기 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서도 혼자 있는 능력은 내적 동기와 심리적 웰빙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In Wim Wenders' recent film Perfect Days, the main character, a Tokyo toilet cleaner, spends many of his hours in solitude; watering plants, contemplating, listening to music and reading. While more characters are introduced as the film develops, for many viewers its earlier moments are, indeed, perfect; described by the BBC's own Nicholas Barber as a "meditation on the serenity of an existence stripped to its essentials", it really struck a chord. No wonder. Thoughtful and positive outlooks on solitude have been taking up more and more space on our screens, bookshelves and smartphones, from podcasts to viral TikToks. Seemingly, there'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be alone.


빔 벤더스(Wim Wenders)의 최근 영화 Perfect Days에서, 주인공인 도쿄의 공중화장실 청소부는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며 식물에 물을 주고, 사색하고, 음악을 듣고, 책을 읽는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더 많은 등장인물이 나오긴 하지만, 많은 관객에게 영화 초반부의 장면들은 실로 '완벽한 순간'처럼 느껴진다. BBC의 니콜라스 바버는 이를 “본질만 남은 삶의 고요함에 대한 명상”이라고 표현하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평했다. 놀랍지 않다. 사려 깊고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고독은 이제 스크린, 책장, 스마트폰에서 점점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팟캐스트에서부터 입소문을 탄 틱톡 영상까지,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혼자 있기 좋은 시대인 듯하다.


 

단어/표현뜻예문
solitude 고독, 혼자 있는 상태 He enjoys long walks in solitude.
contemplate 사색하다, 깊이 생각하다 She likes to contemplate life's big questions.
stripped to its essentials 본질만 남긴, 핵심만 남긴 A minimalist lifestyle is often stripped to its essentials.
strike a chord (마음에) 깊이 울리다, 공감을 주다 The story struck a chord with me.
outlook 관점, 시각 His outlook on life changed after the accident.
seemingly 겉보기에, 보아하니 Seemingly, everyone was happy with the decision.
 

[심리학 개념 해설]

  • **사색(contemplation)**과 **내적 반추(reflection)**는 고독의 중요한 심리적 기능입니다. 긍정적인 고독은 오히려 **자기 통찰(self-insight)**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자기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본질로 환원된 삶'**이라는 표현은 **미니멀리즘적 정체성(minimal self)**을 떠올리게 합니다. 정신적 과잉 자극 속에서 사람들은 점점 더 ‘적게 가짐으로써 더 많이 느끼는’ 경험을 추구하게 됩니다.
  • 또, 이런 고요함은 **주의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서 말하는 정신적 회복력과 연결됩니다. 즉, 자연이나 단순한 일상 속에서 주의력을 회복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되찾는 과정이 고독을 통해 가능하다는 이론입니다.

 


In the past couple of years, several titles on the topic have been released, with a few more in the works. Solitude: The Science and Power of Being Alone, and Solo: Building a Remarkable Life of Your Own hit the shelves in 2024, and Nicola Slawson's Single: Living a Complete Life on Your Own Terms was published in February. Then last month saw the release of Emma Gannon's much-anticipated novel Table For One; having made her name with non-fiction books questioning traditional ideas of success and productivity, Gannon is now reconsidering modern relationships, in a love story focusing on a young woman finding joy in being alone, rather than with a partner.


최근 몇 년 사이, 고독을 주제로 한 책들이 여러 권 출간되었고, 앞으로도 몇 권이 더 나올 예정이다. 2024년에는 《Solitude: The Science and Power of Being Alone》, 《Solo: Building a Remarkable Life of Your Own》이 출간되었고, 니콜라 슬로슨의 《Single: Living a Complete Life on Your Own Terms》는 2월에 발표되었다. 그리고 지난달에는 많은 기대를 모은 엠마 개넌의 소설 《Table For One》이 출간되었는데, 기존에 ‘성공’과 ‘생산성’의 전통적 개념에 의문을 던지는 논픽션으로 이름을 알렸던 그녀는, 이번에는 파트너가 아닌 혼자 있는 삶에서 기쁨을 찾는 젊은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현대의 관계를 다시 성찰한다.

 

단어/표현뜻예문
in the works 준비 중인, 제작 중인 A new movie is in the works.
hit the shelves (책이) 출간되다, 시중에 나오다 The new novel hit the shelves last week.
much-anticipated 많은 기대를 받은 The much-anticipated sequel was finally released.
reconsider 다시 생각하다 You should reconsider your decision.
on your own terms 자기 방식대로 She lives life on her own terms.
 

[심리학 개념]

  • 자기 결정성(Self-determination):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기(on your own terms)'는 Deci와 Ryan의 자기결정이론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입니다. 이는 자율성(autonomy), 유능성(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을 충족할 때 인간은 최고의 동기를 느낀다는 이론입니다.
  • 성공의 재정의: 기존의 사회적 기대(결혼, 직장, 연봉 등)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내면의 기준에 따라 ‘완전한 삶’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심리학에서 ‘자기 개념(self-concept)’과 밀접합니다.


Later this year, two more self-help guides, The Joy of Solitude: How to Reconnect with Yourself in an Overconnected World and The Joy of Sleeping Alone, are coming out, as well as a paperback, English translation of Daniel Schreiber's Alone: Reflections on Solitary Living, which originally came out in Germany in 2023.


올해 후반에는 자기계발서 두 권, 《The Joy of Solitude: How to Reconnect with Yourself in an Overconnected World》와 《The Joy of Sleeping Alone》가 출간될 예정이며, 2023년에 독일에서 먼저 출간된 다니엘 슈라이버의 《Alone: Reflections on Solitary Living》도 영어 번역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단어/표현뜻예문
reconnect with yourself 자기 자신과 다시 연결되다 Meditation helps you reconnect with yourself.
overconnected 지나치게 연결된, 과잉 연결된 In our overconnected world, we rarely get time alone.
paperback 문고본, 부드러운 표지의 책 I bought the paperback version because it’s cheaper.
reflections on ~ ~에 대한 성찰 The book offers deep reflections on solitude.
 

[심리학 개념]

  • **디지털 과잉 연결(Overconnection)**은 현대인의 심리적 고립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연결은 많지만 정서적 친밀감은 적어지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진정한 자아와의 단절이 심해집니다.
  • 혼자 자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과도 연결됩니다. 안전 애착을 가진 사람은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수면이나 일상에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더 잘 유지합니다.

 

A shift in attitudes

Packed with keen observations and helpful tips, this new wave of books aims not only to destigmatise solitude, but also to make a case for its benefits and pleasures. Such a powerful stream of publications might come as a surprise, at first, to everyone who has lived through the pandemic and inevitably heard of – or got a bitter taste of – the so-called "loneliness epidemic", a term popularised in 2023 by then US Surgeon General Vivek Murthy.

 

태도의 전환

예리한 통찰과 유용한 팁으로 가득한 이 새로운 책들의 물결은 고독에 대한 낙인을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고독이 지닌 이점과 즐거움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런 강력한 출판물의 흐름은 코로나 팬데믹을 겪고, 일명 ‘외로움 유행병’이라는 말을 들어본 이들에게는 처음엔 의외로 느껴질 수 있다. 이 표현은 2023년에 당시 미국 공중보건국장이던 비벡 머시가 대중화시켰다.

 

단어/표현뜻예문
destigmatise 낙인을 없애다 These books aim to destigmatise mental illness.
make a case for ~ ~을 주장하다, 정당화하다 He made a case for a four-day workweek.
loneliness epidemic 외로움 유행병 The loneliness epidemic is becoming a public health issue.
keen observation 예리한 통찰 The article offers keen observations on social behavior.
 

[심리학 개념]

  • Stigma(낙인): 고독이나 외로움은 종종 ‘부정적 상태’로 간주되며 **사회적 낙인(social stigma)**을 동반합니다. 하지만 최근 심리학은 고독의 **자발성(voluntary solitude)**과 **회복력(resilience)**에 주목합니다.
  • 팬데믹 이후 외로움의 심리적 영향은 ‘사회적 단절’이 **심리적 고통(psychological distress)**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때 자발적 고독과 비자발적 외로움은 구분되어야 합니다.

 

"Post pandemic, there [was] a huge focus on loneliness, for a really good reason," says Robert Coplan, a professor in psychology at Carleton University in Ottawa and author of The Joy of Solitude: How to Reconnect with Yourself in an Overconnected World. But because of the concerns about the effects of loneliness, he says, solitude ended up "with a bit of a bad reputation – throwing the baby out with the bath water, so to speak".

 

“팬데믹 이후 외로움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졌죠,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으니까요.”라고 캐나다 오타와의 칼턴대학교 심리학 교수이자 《The Joy of Solitude》의 저자인 로버트 코플란은 말한다. 하지만 외로움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 탓에, 고독 자체도 “부정적인 인식을 얻게 되었다 — 소위 말해, 목욕물과 함께 아기를 버린 셈이죠.”

 

단어/표현뜻예문
throw the baby out with the bath water 쓸모 있는 것까지 함께 버리다 Let’s not throw the baby out with the bath water.
bad reputation 나쁜 평판 The brand got a bad reputation after the scandal.
 

[심리학 개념]

  • 고독과 외로움은 심리학적으로 다른 개념입니다. 고독(solitude)은 자발적이고 회복적인 경험이 될 수 있는 반면, 외로움(loneliness)은 사회적 연결의 결핍에서 비롯된 고통입니다.
  • **인지적 왜곡(cognitive distortion)**도 여기서 작용합니다. 고독에 대한 부정적 일반화는 ‘모든 혼자 있는 상태는 나쁘다’는 식의 흑백 사고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Now, though, the discourse is course-correcting itself. The distinction between loneliness and solitude, according to Coplan, is an important one, and many writers echo this sentiment. "While loneliness is a serious and harmful problem for some people, it is a subjective state very different from solitude, that someone has [actively] chosen for positive reasons," says journalist Heather Hansen. In 2024, she co-authored the aforementioned Solitude: The Science and Power of Being Alone with Netta Weinstein and Thuy-vy T Nguyen. Hansen had watched the media telling us we're very lonely for a while; but as a counter to this narrative, she says, "people are reflecting on their own lives and recognising that they are choosing solitude for various reasons that benefit them".

 

하지만 지금은 담론이 점차 바로잡히고 있다. 고독과 외로움의 차이는 중요하다고 코플란은 말하며, 많은 저자들도 이 의견에 동의한다. “외로움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심각하고 해로운 문제지만, 그것은 고독과는 매우 다른 주관적인 상태이며, 고독은 누군가가 긍정적인 이유로 자발적으로 선택한 것”이라고 기자 헤더 한센은 말한다. 그녀는 2024년에 네타 와인스타인, 투이비 응우옌과 함께 《Solitude: The Science and Power of Being Alone》을 공동 저술했다. 한센은 언론이 한동안 우리에게 "너무 외롭다"고 말하는 것을 지켜보며, 이에 대한 반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이득이 되는 다양한 이유로 스스로 고독을 선택하고 있음을 깨닫고 있다”고 전했다.

 

단어/표현뜻예문
course-correct 방향을 바로잡다 The project is course-correcting after early setbacks.
echo a sentiment 의견에 공감하다 Many experts echoed her sentiment.
subjective state 주관적 상태 Happiness is a subjective state.
counter to this narrative 이 이야기와 반대로 Her story is a counter to this narrative.
reflect on ~ ~을 되돌아보다 He reflected on his past choices.
 

[심리학 개념]

  • 고독(solitude) vs. 외로움(loneliness): 고독은 의도적으로 선택한 자발적 상태이며, 자신을 돌보는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외로움은 타인과의 연결이 단절되었다는 정서적 고통입니다. 이 차이는 정신 건강을 다룰 때 매우 중요합니다.
  • 주관성(subjectivity): 외로움은 객관적 상황이 아닌 개인의 지각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컨대, 사람들 속에서도 외롭다고 느낄 수 있는 반면, 혼자 있어도 전혀 외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perceived social support)**와도 연관됩니다.

✅ 8번째 문단

[영어 원문]
The message of rom-coms, love songs and Jane Austen novels – that we need a partner to be fulfilled – isn't backed by data – Peter McGraw
"I have a theory that since the pandemic we've been a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loneliness and chosen solitude," says Emma Gannon, who is also a big proponent of "slow living". The extremes of the pandemic – being cooped up with all your loved ones, or, contrastingly, going for months without human contact – had prepared us, Gannon says, "to have nuanced conversations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isolation and joyful alone time".

[한글 번역]
로맨틱 코미디나 사랑 노래,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이 전하는 메시지 — ‘충만한 삶을 위해선 반드시 파트너가 필요하다’는 생각은 실제 데이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 피터 맥그로.
“팬데믹 이후 우리는 외로움과 자발적 고독의 차이를 훨씬 분명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해요.”라고 슬로 리빙의 지지자이기도 한 엠마 개넌은 말한다. 팬데믹의 양극단 — 가족들과 갇혀 지내거나, 반대로 몇 달간 사람을 거의 만나지 못한 경험 — 은 우리로 하여금 “고립과 기쁨 어린 혼자만의 시간의 차이에 대해 더 섬세하게 대화할 준비를 하게 만들었다”고 그녀는 말한다.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fulfilled 충족된, 만족스러운 He felt fulfilled after finishing the project.
be cooped up (좁은 공간에) 갇혀 있다 We were cooped up at home during lockdown.
nuanced 미묘한 차이를 아는, 세밀한 It was a nuanced discussion on mental health.
proponent 지지자 She’s a strong proponent of animal rights.
 

[심리학 개념]

  • **슬로 리빙(slow living)**은 **감각적 현재주의(present awareness)**와 연결되며, 이는 **마음챙김(mindfulness)**의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고독은 이러한 느린 삶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관계 필요의 신화(Myth of relational necessity): 심리학자 피터 맥그로는 ‘연애 관계가 있어야만 인간이 충만해진다’는 문화적 신화를 반박합니다. 이는 사회적 규범(social norms)과 **긍정 착각(positive illusion)**에 대한 비판이기도 합니다.

✅ 9번째 문단

[영어 원문]
Nestled cosily within these timely conversations is Gen Z-ers and millennials' re-evalu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s and enthusiastic embracing of single life, alongside a careful reassess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general. Gannon's new novel might be a fictional depiction of a young woman reinvesting in a relationship with herself, but it will ring true to many readers who grapple with what are increasingly seen as outdated societal expectations to "settle down". According to a 2023 US survey, two out of five Gen Z-ers and millennials think marriage is an outdated tradition, and in the UK only just over half of Gen Z men and women are predicted to marry, according to the Office of National Statistics.

[한글 번역]
이러한 시의적절한 담론 속에서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연애 관계를 재평가하고 있으며, 독신 생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인간관계 전반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도 진행 중이다. 개넌의 신작 소설은 자신과의 관계에 다시 투자하는 젊은 여성을 허구적으로 그려냈지만, 이는 ‘정착해야 한다’는 시대에 뒤떨어진 사회적 기대에 부딪히며 고민하는 많은 독자들의 마음에 깊이 울릴 것이다. 2023년 미국 조사에 따르면, Z세대 및 밀레니얼 세대 중 5명 중 2명은 결혼을 구시대의 전통으로 간주하며, 영국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Z세대 남녀의 절반만이 향후 결혼할 것으로 예측된다.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nestled cosily 포근히 자리잡은 A small cottage nestled cosily in the hills.
re-evaluation 재평가 He is undergoing a re-evaluation of his priorities.
grapple with ~와 씨름하다, 고심하다 Many are grappling with job insecurity.
outdated 시대에 뒤떨어진 That belief is now considered outdated.
settle down 정착하다, 결혼하다 My parents want me to settle down soon.
 

[심리학 개념]

  • 개인의 정체성과 결혼의 분리: 전통적으로는 정체성 형성과 결혼이 밀접히 연결되었지만, 현재는 개인 정체성의 주체화가 강조되며 결혼이 필수 조건이 아닌 선택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 사회적 기대(social expectation)의 해체: Z세대는 기존 세대보다 관계에 대한 자유주의적 관점을 가지며, 이는 **비혼주의(non-marriage ideology)**와 연결됩니다. 이는 심리적으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In April, a viral TikTok, with over one million likes and close to 37,000 comments, showcased one man's perspective on dating women who live alone, and like it this way. Many women deemed the analysis "spot on" and related eagerly. Nicola Slawson, who based Single: Living a Complete Life on Your Own Terms on her popular Substack The Single Supplement, isn't surprise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alone in the UK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last decade or so," Slawson points out, with this fuelling a cultural shift towards the acceptance of single people, and putting a focus on "freedom and independence, and especially a rejection of domesticity, as women are realising they don't have to put up with things they might have been expected to in previous generations".


4월에 틱톡에서 100만 개 이상의 ‘좋아요’와 약 3만 7천 개의 댓글을 받은 영상이 화제가 되었는데, 혼자 사는 여성을 만나는 것에 대한 한 남성의 시각을 보여준 내용이었다. 많은 여성들이 그의 분석이 "정확하다"며 공감했다. 《Single: Living a Complete Life on Your Own Terms》를 자신의 인기 뉴스레터 The Single Supplement를 바탕으로 쓴 니콜라 슬로슨은 놀랍지 않다고 말한다. “지난 10년간 영국에서 1인 가구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슬로슨은 이 현상이 독신자 수용이라는 문화적 변화로 이어졌으며, 특히 “자유와 독립에 대한 강조, 그리고 이전 세대 여성들이 감내해야 했던 가정적 의무에 대한 거부감”이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단어/표현뜻예문
spot on 정확한 Her prediction was spot on.
relate to 공감하다, 연결되다 I really related to that character.
steadily 꾸준히 The prices have been steadily rising.
put up with ~을 참다, 감내하다 She couldn't put up with his behavior anymore.
domesticity 가정생활, 집안일 중심의 삶 She rejected traditional domesticity.
 

[심리학 개념]

  • 생활 방식의 자율화: 개인의 생활 방식이 더 이상 '결혼'이나 '가정 중심'일 필요가 없다는 인식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밀접히 연결됩니다. 자신이 자신의 삶을 주도할 수 있다는 믿음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입니다.
  • 젠더 역할에 대한 재정의: 여성이 더 이상 가정적 역할을 당연히 수용하지 않게 되면서, **역할 부담감(role strain)**과 **사회적 규범 압력(social norm pressure)**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Having said that, our cultural fascination with being alone is deeply rooted. Capturing the beauty of solitude has been a focus for numerous artists over the centuries – from German romanticist Caspar David Friedrich, whose great works include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c. 1817), which can be seen in the Hamburger Kunsthalle art museum's collection in Germany, to the revered 20th-Century US artist Edward Hopper, and his paintings of solo city dwellers.


그렇다고 해도, 혼자 있는 것에 대한 우리의 문화적 매혹은 오래된 뿌리를 지니고 있다. 고독의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일은 수세기 동안 수많은 예술가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독일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대표작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1817년경)부터, 20세기 미국의 거장 에드워드 호퍼의 도시 속 홀로 있는 인물들을 그린 작품들에 이르기까지 그렇다.

 

단어/표현뜻예문
fascination with ~에 대한 매혹 He has a deep fascination with the stars.
be rooted in ~에 뿌리를 두다 These ideas are rooted in tradition.
solo city dwellers 도시 속 혼자 사는 사람들 Hopper painted many solo city dwellers.
 

[심리학 개념]

  • 미적 고독(Aesthetic solitude): 고독은 단순한 사회적 결핍이 아니라 예술적 감수성의 원천이 되기도 합니다. 이는 Carl Jung이 말한 **개인 무의식에서의 상징 작용(symbolic function)**과도 관련됩니다.
  •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은 고립된 자아의 정서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드러냅니다. 이런 정서적 고립은 종종 **존재론적 불안(ontological anxiety)**을 반영합니다.

A New Yorker review of the 2022 Hopper retrospective at the city's Whitney museum noted, "Everything about the urban life he shows us is isolated, uncommunal – and yet his images of apparent loneliness seem somehow anything but grim, rather proudly self-reliant."


2022년 뉴욕 휘트니 미술관에서 열린 호퍼 회고전에 대해 《뉴요커》는 이렇게 평했다. “그가 보여주는 도시 생활의 모든 장면은 고립되어 있고 공동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하지만 그 외로움의 이미지들은 음침하거나 우울하다기보다는, 오히려 자랑스러울 만큼 자립적이다.”

 

단어/표현뜻예문
retrospective 회고전 The museum hosted a retrospective of Picasso.
uncommunal 공동체성이 없는 His lifestyle was very uncommunal.
grim 암울한, 음침한 The news was grim.
self-reliant 자립적인 She’s a self-reliant young woman.
 

[심리학 개념]

  • **자기 존중(self-esteem)**과 **자립성(self-reliance)**은 혼자 있는 시간에 길러질 수 있습니다. 호퍼의 그림 속 인물들은 외로움보다 오히려 존엄한 자율성을 보여주며, 이는 **자기 통제력(self-control)**과 연결됩니다.
  • 고독의 긍정적 재해석: 외로움이 우울이나 무기력으로만 귀결되지 않는다는 이 시각은, **인지적 재구성(cognitive reframing)**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Daniel Schreiber believes the correlation between people living alone, sans partner, and being lonely has traditionally been overestimated. "Society understands better now that romantic love is not the only model to live by, or something to wish for," he adds. "There are different ways of life, and it's not as necessary to be in a traditional romantic relationship."


다니엘 슈라이버는 파트너 없이 혼자 사는 사람과 외로움 사이의 상관관계가 그동안 과대평가되어 왔다고 본다. 그는 “사회는 이제 낭만적 사랑이 유일한 삶의 모델이 아니며, 꼭 갈망해야 할 대상도 아니라는 점을 점점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삶의 방식은 다양하며, 전통적인 연애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필수적인 시대는 아니다.”

 

단어/표현뜻예문
sans ~ 없이 (프랑스어에서 유래) She arrived sans makeup.
overestimate 과대평가하다 We overestimated the difficulty of the task.
romantic love 낭만적 사랑 Romantic love isn’t the only way to be happy.
 

[심리학 개념]

  • **관계 중심주의(Relational centrality)**의 해체: 현대 심리학은 낭만적 관계를 중심에 두는 삶의 방식이 보편적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와 연결되어, ‘관계 없는 삶도 가능하다’는 관점을 허용합니다.
  • 다양한 삶의 경로(pluralistic life paths): 개인마다 삶의 목적과 이상이 다르며, 심리적 안녕(well-being)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Revel in the soft blanket, the sound of music, the taste of your food. What can you see, smell, touch and sense when you are alone? – Emma Gannon


부드러운 담요 속에 파묻혀보세요, 음악 소리와 음식 맛을 만끽하세요. 혼자 있을 때, 당신은 무엇을 보고, 냄새 맡고, 만지고, 느낄 수 있나요? — 엠마 개넌

 

단어/표현뜻예문
revel in ~ ~을 한껏 즐기다, 몰입하다 She reveled in the peaceful silence of the morning.
sense 감각하다, 느끼다 What do you sense when you're alone in nature?
 

[심리학 개념]

  • 감각적 자각(Sensory awareness): 혼자 있는 시간은 내면의 감각에 집중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입니다. 이는 마음챙김(mindfulness) 훈련의 핵심으로,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 안정에 효과적입니다.
  • 현재성(Presence): 개넌의 문장은 '지금 이 순간'에 머무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이는 정신적 회복력과 자기 조절 능력을 높이는 요소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SHK/ Hamburger Kunsthalle/ bpk. Photo: Elke Walford Caspar David Friedrich's famous painting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c. 1817) captures the beauty of solitude (Credit: SHK/ Hamburger Kunsthalle/ bpk. Photo: Elke Walford)


SHK/ 함부르크 쿤스트할레/ bpk. 사진: 엘케 발포르트.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유명한 회화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1817년경)는 고독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고 있다. (출처: SHK/ Hamburger Kunsthalle/ bpk. Photo: Elke Walford)

 

단어/표현뜻예문
capture (본질을) 포착하다 The photo captures the moment perfectly.
solitude 고독, 혼자 있음 He sought solitude in the mountains.
 

[심리학 개념]

  • 로맨틱 고독(Romantic solitude): 낭만주의 화가 프리드리히는 고독을 **숭고함(the sublime)**과 연결 지었습니다. 이는 인간이 자연과 마주할 때 느끼는 존재적 깊이를 강조하며, 심오한 내면 경험의 시각화를 가능케 합니다.
  • 심리학에서 이런 감정은 경외감(awe), **초월적 경험(transcendent experience)**과도 연결되며, 삶의 의미와 자기 정체성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