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오래된 반려자)
좋아, 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오래된 반려자) 가사를 문장 단위로 나눠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해줄게.
- 중국어 원문
- 병음(성조 포함)
- 자연스러운 한국어 해석
- 단어 하나하나 분석 (표 형식)
- 표현의 뉘앙스와 문화적 맥락
먼저 첫 문장부터 시작할게:
1. 是否還有永恆的老曲
shìfǒu hái yǒu yǒnghéng de lǎo qǔ
아직도 영원한 옛 노래가 있을까?
是否 | shìfǒu | ~인지 아닌지 | 是(맞다) + 否(아니다) |
還有 | hái yǒu | 아직 있다, 여전히 있다 | 還(아직) + 有(있다) |
永恆 | yǒnghéng | 영원 | 永(길다, 영원히) + 恆(항상, 일정함) |
的 | de | ~의 | 형용사화 용법 |
老曲 | lǎo qǔ | 오래된 노래 | 老(오래된) + 曲(노래, 곡조)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노래가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마음을 울릴 수 있는지에 대한 회의와 그리움을 담고 있어. "老曲"은 단지 낡은 노래가 아니라, 청춘이나 기억을 품은 어떤 시대의 상징처럼 쓰여.
이와 같은 형식으로 이어서 전체 가사 분석을 할게. 다음 문장은:
2. 在歲月中就算最後只能夠沉默
분석을 이어서 해줄까?
좋아, 《老伴》 가사의 2–10번째 문장을 너가 원하는 형식대로 하나씩 펼쳐서 설명할게. 각 문장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분석할게:
- 원문
- 병음
- 자연스러운 해석
- 단어별 분석 (표 형식)
- 표현/뉘앙스 설명
2. 在歲月中就算最後只能夠沉默
zài suìyuè zhōng jiùsuàn zuìhòu zhǐ nénggòu chénmò
세월 속에서, 결국엔 조용히 침묵하는 수밖에 없더라도
在 | zài | ~에서 | 장소 또는 시간 표현 |
歲月 | suìyuè | 세월 | 歲(해, 나이) + 月(달) → 흐르는 시간 |
中 | zhōng | ~속에서 | 위치/배경 표현 |
就算 | jiùsuàn | 비록 ~일지라도 | 양보구문, 가정 표현 |
最後 | zuìhòu | 결국, 마지막에 | 시간적 최종점 |
只 | zhǐ | 단지 | 제한, 강조 |
能夠 | nénggòu | ~할 수 있다 | 가능성 |
沉默 | chénmò | 침묵하다 | 조용함, 말이 없음 |
표현 설명:
“就算最後只能夠沉默”는 관계가 시간이 흘러 말은 줄어들지라도, 그 자체로도 의미 있다는 걸 암시해. 침묵도 공존의 방식이라는, 나이 듦에 대한 담담한 시선을 보여주는 표현.
3. 一輩子沒有恐懼
yí bèizi méiyǒu kǒngjù
한평생 두려움이 없었어
一輩子 | yí bèizi | 한평생 | 一(하나) + 輩子(세대, 인생) |
沒有 | méiyǒu | 없다 | 부정 표현 |
恐懼 | kǒngjù | 두려움 | 恐(두렵다) + 懼(겁내다)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강한 내면의 평안, 혹은 누군가와 함께하기에 두려움이 사라졌다는 뜻이야. ‘두려움 없음’은 사랑이 주는 힘 또는 평생의 동반자에 대한 신뢰를 강조해.
4. 我要找的一種感覺叫屬於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shǔyú
내가 찾고 싶은 감정은 '소속감'이라고 불려
我 | wǒ | 나 | 주어 |
要 | yào | ~하려 하다 | 의지 표현 |
找 | zhǎo | 찾다 | 행위 |
的 | de | ~하는 | 관계대명사 역할 |
一種 | yì zhǒng | 한 종류 | 분류 단어 |
感覺 | gǎnjué | 감정, 느낌 | 주관적 인식 |
叫 | jiào | ~라고 불리다 | 명명 동사 |
屬於 | shǔyú | ~에 속하다 | 소속감 표현 |
표현 설명:
"屬於"는 단순한 소유가 아니라, 마음의 안착을 말해. 이 감정은 어디에 속할 수 있는가, 누구와 함께할 수 있는가를 묻는 깊은 갈망을 담고 있어.
5. 有沒有 春花秋月 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méiyǒu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사계절처럼, 흩어지지 않는 그런 사랑이 있을까?
有沒有 | yǒu méiyǒu | 있니 없니 | 의문 표현 |
春花秋月 | chūn huā qiū yuè | 봄꽃과 가을달 | 사계의 아름다움 상징 |
夏蟬冬雪 | xià chán dōng xuě | 여름매미와 겨울눈 | 계절의 전형적 이미지 |
不會 | bù huì | ~하지 않다 | 부정미래 |
散去 | sàn qù | 흩어지다 | 흩어지고 사라짐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사랑이 시간처럼 흐르더라도 변하지 않고 계속 남을 수 있는지를 묻는 절절한 표현이야. 계절은 변하지만 매번 돌아오듯, ‘영속성’을 상징해.
6. 有沒有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méiyǒu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lái bú zài lí qù
문 닫고, 옆에 누워, 더는 떠나지 않을 그런 사랑이 있을까?
有沒有 | yǒu méiyǒu | 있니 없니 | 반복 구조 |
一 | yì | 하나의 | 수량 표현 |
關上門 | guān shàng mén | 문을 닫다 | 일상의 사적 공간 상징 |
躺下來 | tǎng xiàlái | 누워서 | 편안함의 상징 |
不再 | bú zài | 다시는 ~하지 않다 | 부정의 지속 |
離去 | lí qù | 떠나다 | 이별을 뜻함 |
표현 설명:
이 장면은 아주 구체적이야. 문을 닫고 누운다는 건 ‘가정을 이루는 장면’, ‘영원한 동반자’의 이미지. 더는 헤어짐이 없기를 바라는 간절한 사랑의 모습이지.
7. 有沒有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méiyǒu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내가 좋아하는 하늘, 밟는 땅, 그리고 사랑하는 너가 있는 그런 곳이 있을까?
愛看的天 | ài kàn de tiān | 사랑해서 바라보는 하늘 | 감성적 표현 |
愛踏的地 | ài tà de dì | 사랑해서 밟는 땅 | 일상과 정서의 연결 |
我愛著的你 | wǒ ài zhe de nǐ | 내가 사랑하는 너 | 현재진행의 감정 |
표현 설명:
‘하늘’과 ‘땅’은 세상을 의미하고, ‘너’는 그 중심이야. 이 문장은 삶 전체가 사랑으로 덮여 있는 완성된 정서 공간을 상징해.
8.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lì de lǎo qù
내가 아름답게 늙어가는 길을 함께해 줘
陪 | péi | 함께하다 | 동행하다 |
我 | wǒ | 나 | 대상 |
美麗的 | měilì de | 아름다운 | 긍정적 감성 |
老去 | lǎo qù | 나이 들어감 | 늙어가는 것, 삶의 흐름 |
표현 설명:
이 노래의 핵심 문장이야. ‘아름답게 늙어간다’는 건 외형이 아닌,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노화를 의미해. 혼자가 아니라 함께할 때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줘.
9. 誰叫我很青春 誰叫我笑
shéi jiào wǒ hěn qīngchūn shéi jiào wǒ xiào
누가 날 청춘이라 불렀고, 누가 날 웃게 했을까?
誰 | shéi | 누구 | 의문사 |
叫 | jiào | 부르다, ~하게 하다 | 명령 또는 감정 유발 |
我 | wǒ | 나 | 대상 |
很青春 | hěn qīngchūn | 아주 젊다 | 생기와 젊음의 표현 |
笑 | xiào | 웃다 | 감정 표현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지난 시간을 되돌아보는 회상형 질문이야. 그 시절을 가능케 한 사람에 대한 고마움과 그리움을 담고 있어.
10. 只有你 能叫我 不怕老去
zhǐ yǒu nǐ néng jiào wǒ bú pà lǎo qù
너만이 나를 늙는 게 두렵지 않게 만들어
只有 | zhǐ yǒu | 오직 ~만 | 강조 |
你 | nǐ | 너 | 대상 |
能 | néng | ~할 수 있다 | 능력 표현 |
叫 | jiào | ~하게 하다 | 감정 유발 |
我 | wǒ | 나 | 대상 |
不怕 | bú pà | 두려워하지 않다 | 용기 |
老去 | lǎo qù | 늙어가다 | 인생 흐름 |
표현 설명:
가장 깊고 사적인 고백. 늙는 것조차 두렵지 않다는 건, 인생의 마지막까지 누군가 함께 있기에 가능한 감정이야. 사랑의 힘을 가장 섬세하게 표현한 문장이야.
다음 문장인
“有一天 春花秋月 夏蟬冬雪 不會散去”
부터 이어서 계속 해줄까?
좋아, 이어서 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 가사 11–20번 문장도 같은 형식으로 깊이 있게 분석해줄게.
11. 有一天 春花秋月 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yì tiān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언젠가, 봄꽃과 가을달, 여름매미와 겨울눈이 흩어지지 않는 날이 오겠지
有一天 | yǒu yì tiān | 어느 날, 언젠가 | 미래의 희망을 나타냄 |
春花秋月 | chūn huā qiū yuè | 봄의 꽃과 가을의 달 | 사계의 아름다움, 인생의 순환 |
夏蟬冬雪 | xià chán dōng xuě | 여름의 매미, 겨울의 눈 | 시간의 흐름, 변화의 상징 |
不會 | bù huì | ~하지 않을 것이다 | 부정 미래 |
散去 | sàn qù | 흩어지다, 사라지다 | 사랑/기억의 소멸 비유 |
표현 설명:
‘계절의 풍경’은 사랑이나 인생의 아름다운 순간들이야. 그 순간들이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즉 기억과 감정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어.
12. 有一天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yì tiān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 lái bù zài lí qù
언젠가, 문을 닫고 편히 누워 더는 떠나지 않는 날이 오겠지
有一天 | yǒu yì tiān | 언젠가 | 희망/미래의 시간 |
一關上門 | yì guān shàng mén | 문을 닫자마자 | 친밀한 공간으로의 귀속 |
一躺下來 | yì tǎng xià lái | 누워서 | 안정, 쉼 |
不再 | bù zài | 다시는 ~하지 않다 | 지속적 부정 |
離去 | lí qù | 떠나다 | 이별, 분리 의미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삶의 끝자락에서 안식과 동반자의 존재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해. 집이라는 공간, 침대라는 물리적 거리 안에 평생의 유대가 녹아 있어.
13. 有一天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yì tiān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언젠가, 내가 사랑해 바라보는 하늘, 밟는 땅, 사랑하는 네가 함께 있는 그런 날이 오겠지
有一天 | yǒu yì tiān | 언젠가 | 반복되는 미래 희망 |
愛看的天 | ài kàn de tiān | 바라보는 하늘 | 삶의 방향, 희망 |
愛踏的地 | ài tà de dì | 밟는 땅 | 현실, 일상 |
我愛著的你 | wǒ ài zhe de nǐ | 사랑하는 너 | 현재진행형 감정 |
표현 설명:
“사랑하는 것들로 둘러싸인 삶”에 대한 이상향이야. 이 노래는 이상과 현실이 함께 존재하길 바라는 소망을 계속해서 반복해 보여주고 있어.
14.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 lì de lǎo qù
아름답게 나이 들어가는 내 곁을 지켜줘
분석은 8번과 동일하므로 생략. 반복적으로 등장함으로써 핵심 메시지를 강조함.
15. 誰陪我做執迷的鯨魚
shéi péi wǒ zuò zhímí de jīngyú
누가 내 곁에서 집착하는 고래가 되어 줄까?
誰 | shéi | 누구 | 질문, 대상 |
陪我 | péi wǒ | 나와 함께하다 | 정서적 동행 |
做 | zuò | 되다 | 역할 수행 |
執迷 | zhímí | 집착하다 | 執(고집하다) + 迷(빠지다) |
的鯨魚 | de jīngyú | 고래 | 비유적 대상 (고독, 깊이) |
표현 설명:
고래는 깊은 바다 속 존재, 종종 ‘고독한 자아’로 상징돼. ‘執迷的鯨魚’는 끝까지 감정을 안고 사는 자신을 표현해. 그와 함께 해줄 동반자를 찾는 외침이야.
16. 在人海中游來游去說自己的言語
zài rénhǎi zhōng yóu lái yóu qù shuō zìjǐ de yányǔ
사람들 사이를 떠다니며, 자기만의 언어를 말하는 그런 존재로
在人海中 | zài rénhǎi zhōng | 인파 속에서 | 사람들 바다, 세상 |
游來游去 | yóu lái yóu qù | 이리저리 떠돌다 | 방황, 유영 |
說自己的言語 | shuō zìjǐ de yányǔ | 자기 언어로 말하다 | 독립성, 고독 |
표현 설명:
여기서 고래는 자신만의 속도와 방식으로 살아가는 존재로 묘사돼. 다수의 세계에서 자기만의 진실을 말하는 삶, 외롭지만 진실된 모습.
17. 誰陪我建永恆的故居
shéi péi wǒ jiàn yǒnghéng de gùjū
누가 나와 함께 영원한 고향을 지어줄까?
誰 | shéi | 누구 | 정서적 대상 |
陪我 | péi wǒ | 나와 함께하다 | 동반자 |
建 | jiàn | 짓다 | 건설하다 |
永恆的 | yǒnghéng de | 영원한 | 시간 초월 의미 |
故居 | gùjū | 고향, 오래된 집 | 마음의 안식처 |
표현 설명:
‘永恆的故居’는 물리적 집이라기보다 영원히 함께 머무를 수 있는 관계의 공간을 뜻해. 나이 들어 더는 떠나지 않을 마음의 집이자 사랑의 집.
18. 在歲月中跑來跑去太容易疲倦
zài suìyuè zhōng pǎo lái pǎo qù tài róngyì píjuàn
세월 속을 뛰어다니는 건 너무 쉽게 지치게 해
在歲月中 | zài suìyuè zhōng | 세월 속에서 | 시간의 흐름 |
跑來跑去 | pǎo lái pǎo qù | 이리저리 뛰어다니다 | 방황의 표현 |
太容易 | tài róngyì | 너무 쉽게 | 과도한 경향 |
疲倦 | píjuàn | 지치다 | 피곤, 소진감 |
표현 설명:
인생의 분주함과 끝없는 노력 속에서 정착하지 못하는 피로감을 토로해. 결국 ‘쉼’을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한 거야.
19. 一轉身可以歸去
yì zhuǎn shēn kěyǐ guī qù
몸을 돌리면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다면
一轉身 | yì zhuǎn shēn | 몸을 돌리다 | 순간의 전환 |
可以 | kěyǐ | ~할 수 있다 | 가능성 |
歸去 | guī qù | 돌아가다 | 귀향, 안식의 공간 |
표현 설명:
이 문장은 관계의 본질을 짚고 있어. 멀리 가도, 돌아갈 곳이 있다면 사람은 덜 외롭지. 돌아갈 곳이 있다는 위로가 느껴지는 문장이야.
20. 我要找的一種感覺叫屬於
앞서 등장한 4번과 동일한 문장. 반복을 통해 강조함.
이어서 21번부터 마지막까지도 원한다면, 계속 같은 방식으로 풀어줄게.
계속 이어서 해줄까?
좋아, 20번째 문장 **“我要找的一種感覺叫屬於”**는 앞서 4번째 문장과 형태는 동일하지만, 문맥상 감정의 강도와 결론성이 다르기 때문에 다시 핀인, 해석 포함해서 정리해줄게.
20. 我要找的一種感覺叫屬於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shǔyú
내가 찾고 있는 감정은 ‘소속감’이라 불리는 거야
我 | wǒ | 나 | 주어 |
要 | yào | ~하고 싶다, 원하다 | 의지 표현 |
找 | zhǎo | 찾다 | 탐색하는 행위 |
的 | de | ~하는 | 관계대명사 역할 |
一種 | yì zhǒng | 한 종류 | 분류 표현 |
感覺 | gǎnjué | 감정, 느낌 | 내면의 감성 |
叫 | jiào | ~라고 불리다 | 명명 동사 |
屬於 | shǔyú | ~에 속하다, 소속되다 | 정서적 귀속 의미 |
자연스러운 해석:
이 문장은 “내가 진짜로 원한 건, 어딘가에 속할 수 있다는 느낌이야”라는 결론적 고백이야. 같은 문장이라도 노래 후반에서 다시 등장하면, 반복을 통해 그 감정이 더욱 깊고 간절하다는 느낌을 줘.
표현/뉘앙스 설명:
앞에서는 "찾고 싶은 감정"이라면, 여기선 그 감정을 찾아냈거나 확인한 상태야. 가사를 쭉 따라오면, 이 문장은 **‘사랑, 동반자, 귀속, 삶의 의미’**를 아우르는 하나의 정서적 귀결로 읽혀. 단순한 "연애"를 넘어서는, 존재론적 소속에 대한 표현이야.
이제 21번 이후도 이어서 해줄게. 계속 분석 원해?
좋아, 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 가사 중 21–끝까지 문장을 지금까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분석해줄게. 마지막까지 천천히 음미하며 보자.
21. 有沒有 春花秋月 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méiyǒu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봄의 꽃, 가을의 달, 여름 매미, 겨울의 눈처럼… 흩어지지 않을 수 있을까?
이 문장은 5번, 11번과 반복되며, 감정의 흐름을 강조하는 역할을 해. 하지만 반복될수록 더 간절한 기도가 담겨.
有沒有 | yǒu méiyǒu | 있니 없니 | 의문 표현 |
春花秋月 | chūn huā qiū yuè | 봄꽃과 가을달 | 사계절 중 절정의 아름다움 |
夏蟬冬雪 | xià chán dōng xuě | 여름매미와 겨울눈 | 시간의 흐름과 계절의 상징 |
不會 | bù huì | ~하지 않을 것이다 | 부정 미래 |
散去 | sàn qù | 흩어지다 | 기억이나 사랑이 사라지는 이미지 |
표현 뉘앙스:
시간이 지나도 기억, 사랑, 마음이 변치 않길 바라는 절실함. "자연스럽게 사라지지 않는 감정"을 갈망하는 거야.
22. 有一天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yì tiān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 lái bù zài lí qù
어느 날, 문을 닫고, 함께 누워, 더는 떠나지 않을 그날이 오겠지
이 문장도 12번과 동일하게 반복되어 사용돼. 반복의 리듬 속에서 고요한 안정과 같이 늙어간다는 소망을 표현.
有一天 | yǒu yì tiān | 언젠가 | 미래에 대한 희망 |
一關上門 | yì guān shàng mén | 문을 닫다 | 친밀한 공간, 사적 세계 |
一躺下來 | yì tǎng xià lái | 함께 눕다 | 안식, 정착의 상징 |
不再 | bù zài | 더 이상 ~하지 않다 | 지속되는 상태 |
離去 | lí qù | 떠나다 | 이별이나 단절 의미 |
표현 뉘앙스:
이 문장은 삶의 종착지에서 서로를 지키는 약속이자, 집이라는 물리적 공간 안에서 느껴지는 영원한 귀속을 말해.
23. 有一天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yì tiān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내가 사랑해 바라보는 하늘, 밟는 땅, 그리고 너 — 그 모두가 함께하는 하루가 올까?
13번 문장의 반복이자, 가사의 정서적 클라이맥스라고 볼 수 있어.
愛看的天 | ài kàn de tiān | 사랑해서 보는 하늘 | 감성적 배경 |
愛踏的地 | ài tà de dì | 사랑해서 딛는 땅 | 함께 살아가는 삶의 터전 |
我愛著的你 | wǒ ài zhe de nǐ | 내가 사랑하는 너 | 지금도 계속 사랑하고 있음 |
표현 뉘앙스:
이 문장은 현실적인 소망과 시적인 서정을 함께 지닌 표현이야. 구체적인 ‘하늘, 땅, 너’라는 세 가지 요소가 모두 함께 있는 삶 — 그게 바로 노래가 바라는 ‘완전한 하루’.
24.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 lì de lǎo qù
내가 아름답게 늙어가는 길을 함께해 줘
이 문장은 8, 14번에 이어 마지막 세 번째 등장.
陪 | péi | 함께하다 | 감정적 동반자 |
我 | wǒ | 나 | 화자 |
美麗的 | měi lì de | 아름다운 | 시적 형용사 |
老去 | lǎo qù | 늙어가다 | 시간의 흐름과 생의 귀결 |
마지막 문장 뉘앙스:
이 노래의 진심은 결국 여기로 귀결돼.
“같이 늙어가자.”
그 어떤 언약보다도 깊은 사랑의 말.
화려하지 않아도, 흩어지지 않고, 도망가지 않으며,
지극히 일상적인 삶을 함께 끝까지 살아가는 것 — 그게 《老伴》이 말하는 사랑이야.
🌿 전체 요약: 《老伴》이 말하는 사랑
- 봄꽃처럼 화려하지 않아도 좋아
- 시간 속에서 말수 줄어도 괜찮아
- 돌아올 수 있는 집이 있고,
- 함께 나이 들 수 있는 **“너”**만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짜 동반자,
진짜 노년의 사랑,
진짜 **“老伴”**야.
필요하다면 전체 가사를 정리해서 PDF처럼 정리해줄 수도 있어.
또는 멜로디 흐름에 따라 문장 분해해도 가능해. 어떻게 이어서 해줄까?
非常好问题!我们来认真分析一下这个成语:
📘 成语本体
连篇累牍
lián piān lěi dú
📖 基本解释
字面上:
- 连篇:一篇接一篇
- 累牍:一牍又一牍(古代写字用的竹简或木简)
→ 意思是:一篇接着一篇,内容非常多。
习惯用法:
- 通常形容文章、文字或说话内容冗长啰嗦、重复繁杂。
✅ 可以形容说话方式吗?
可以!而且非常贴切。
但要注意:这个成语往往带有贬义,用来批评某人说话或写作“啰哩啰嗦,没完没了”,内容重复、冗赘。
📌 举例说明:
✅ 用在说话方式(带贬义)
他讲话总是连篇累牍,一点重点都没有,听得我头都大了。
(그는 말을 너무 길게 하고, 요점도 없이 줄줄이 늘어놔서 듣는 내가 머리가 아플 정도야.)
—
✅ 用在文章或汇报(更常见)
这篇报告连篇累牍,读起来非常吃力,应该删减精简。
(이 보고서는 너무 장황해서 읽기 힘들다. 내용을 줄여야 해.)
—
❌ 不建议这样用(正面语境에 안 어울림):
✕ 他写得真认真,连篇累牍地表达了自己的观点。
→ 들으면 열심히 썼다는 칭찬 같지만, 사실은 비효율적이라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줘버려요.
🧭 总结:
可否形容说话方式 | ✅ 可以,常用于批评啰嗦、冗长 |
语气 | 贬义为主(多用于否定、批评) |
使用场景 | 演讲、对话、报告、写作等内容繁杂重复时 |
좋아, 성어 **“连篇累牍 (lián piān lěi dú)”**에 대해 한글로 아주 자세히 설명해줄게.
🧠 기본 의미
连篇累牍
lián piān lěi dú
[리엔 피앤 레이 두]
직역:
‘여러 편이 이어지고, 죽간(竹简)이 계속 쌓인다’ →
문장이 계속 이어져서, 너무 길고 지루하다는 뜻이야.
✅ 뜻풀이 (한국어로)
이 성어는 글이나 말이 너무 길고, 중복되고, 요점 없이 장황할 때 써.
즉, 말을 계속 길게 늘어놓는 스타일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때 쓰는 표현이야.
✅ 말투에도 쓸 수 있을까?
→ 네, 쓸 수 있어요.
어떤 사람이 말을 너무 장황하게, 줄줄이 이어서, 요점 없이 말할 때
**“그 사람 말투가 连篇累牍하다”**라고 표현할 수 있어.
❗ 다만 주의할 점
이 성어는 **칭찬이 아니야. 무조건 ‘부정적인 뉘앙스’**야.
- “말이 많다”,
- “말에 요점이 없다”,
- “중요한 말은 없는데 계속 떠든다”는 느낌이야.
📌 예문 (한국어 + 중국어)
그 사람은 말만 하면 줄줄이 말이 길어져서 듣는 사람이 지쳐.
他一开口就连篇累牍,听的人都觉得疲惫。
보고서가 너무 장황해. 중요한 내용만 요약해 줘.
这份报告连篇累牍,还是给我重点摘要吧。
회의 시간에 꼭 그렇게 말이 많아야 해? 너무 장황했어.
你开会的时候非得连篇累牍吗?太冗长了。
🎯 요약
의미 | 글이나 말이 너무 길고, 중복되고, 요점이 없는 상태 |
어감 | ❗ 부정적 (비판, 불만, 지적할 때) |
사용 대상 | 주로 글, 보고서, 말투 모두 가능 |
예 | “그 사람은 말이 너무 많고 줄줄이 이어져서 듣기 피곤해” 등 |
필요하다면 이 성어로 짧은 대화 예문도 만들어줄게. 해볼까?
좋아!
그럼 성어 **“连篇累牍”**를 실제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예문 3가지를
▶ 중국어 원문
▶ 병음(성조 포함)
▶ 한국어 해석
▶ 단어별 해설
로 정리해줄게.
💬 예문 1
你就别再连篇累牍地说这些废话了,行不行?
nǐ jiù bié zài lián piān lěi dú de shuō zhèxiē fèihuà le, xíng bù xíng?
너 그 쓸데없는 말 줄줄이 늘어놓는 거 좀 그만해줄래?
就 | jiù | 바로, 곧 |
别再 | bié zài | 다시 ~하지 마 |
连篇累牍 | lián piān lěi dú | 말이 길고 중복되는 상태 |
地 | de | 부사화 접미사 |
说 | shuō | 말하다 |
这些 | zhèxiē | 이런 것들 |
废话 | fèihuà | 헛소리, 쓸데없는 말 |
行不行 | xíng bù xíng | 되겠냐?, 괜찮겠니? |
🔎 뉘앙스 설명:
상대가 계속 반복되는 말이나 헛소리를 할 때 짜증 섞인 말투로 사용 가능.
부드럽지 않음, 불만 표현임.
💬 예문 2
老板写邮件总是连篇累牍,看得我眼都花了。
lǎobǎn xiě yóujiàn zǒng shì lián piān lěi dú, kàn de wǒ yǎn dōu huā le.
사장님은 메일을 쓸 때마다 줄줄이 길게 쓰셔서, 보다 보면 눈이 아파.
老板 | lǎobǎn | 상사, 사장 |
写 | xiě | 쓰다 |
邮件 | yóujiàn | 이메일 |
总是 | zǒng shì | 항상 |
连篇累牍 | lián piān lěi dú | 장황하다, 줄줄이 많다 |
看得我 | kàn de wǒ | 내가 볼 정도로 |
眼都花了 | yǎn dōu huā le | 눈이 아찔하다, 눈이 피로하다 |
🔎 뉘앙스 설명:
업무 메일, 보고서 등 형식적으로 길고, 핵심 없는 글에 대해 말할 때 사용.
부담스럽거나 효율 떨어지는 문서에 대해 말할 때 자주 씀.
💬 예문 3
她说起感情的事就连篇累牍,根本停不下来。
tā shuō qǐ gǎnqíng de shì jiù lián piān lěi dú, gēnběn tíng bù xiàlái.
그녀는 연애 얘기만 나오면 끝도 없이 말을 늘어놔, 도저히 멈추질 않아.
她 | tā | 그녀 |
说起 | shuō qǐ | 말하기 시작하다 |
感情的事 | gǎnqíng de shì | 감정적인 이야기, 연애 이야기 |
就 | jiù | ~하자마자 |
连篇累牍 | lián piān lěi dú | 장황하게 말하다 |
根本 | gēnběn | 전혀, 도무지 |
停不下来 | tíng bù xià lái | 멈추지 못하다 |
🔎 뉘앙스 설명:
이건 다정한 비난이 담긴 표현이야.
친한 사이에서 누군가 지나치게 감정 얘기를 할 때 농담처럼 쓸 수 있어.
필요하다면 유사 성어나,
“연설이 길다”, “요점 없이 말이 많다” 같은 표현도 소개해줄 수 있어.
원해? 😊
좋은 질문이야!
**“连篇累牍 (말이 길고 장황하다, 요점 없이 줄줄이 말하다)”**의 반대 의미를 가진 성어, 즉:
간결하고, 핵심을 찌르고, 말이 많지 않아도 내용이 충실한 그런 성어들을 정리해줄게.
📌 “连篇累牍”의 반대 의미를 가진 성어들
言简意赅 | yán jiǎn yì gāi | 말은 간단하지만 뜻은 충실하다 | ✅ 가장 정확한 반대 성어!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잘 담은 말이나 글 |
一语道破 | yì yǔ dào pò | 한마디로 본질을 꿰뚫다 | 핵심을 찌르는 간명한 표현 |
简明扼要 | jiǎn míng è yào | 간단하면서도 요점을 잘 잡다 | 요약, 보고서, 발표 등에 적합 |
寥寥数语 | liáo liáo shù yǔ | 몇 마디 안 되는 말 | 짧지만 깊이 있는 표현을 할 때 |
言近旨远 | yán jìn zhǐ yuǎn | 말은 짧고 쉬운데 뜻은 깊다 | 쉬운 말 같지만 철학이 담긴 말 |
📘 가장 대표적인 반대 성어 예문
✅ 言简意赅 (yán jiǎn yì gāi)
예문:
这篇文章言简意赅,值得一读。
(이 글은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잘 담고 있어서 읽을 가치가 있다.)
✨ 꼭 외워야 할 성어.
‘간결하고 충실한 말’을 칭찬할 때 쓰는 가장 정통적인 표현이야.
✅ 一语道破 (yì yǔ dào pò)
예문:
你一语道破了问题的关键。
(너는 한마디로 문제의 핵심을 찔렀어.)
‘단 한 문장으로 핵심을 찔렀다’는 표현.
말 많은 사람과 대비되는, 통찰력 있는 발화 스타일을 말할 때 딱이야.
✅ 简明扼要 (jiǎn míng è yào)
예문:
开会就要简明扼要,别浪费时间。
(회의는 간결하고 요점만 말해야지, 시간 낭비하지 말자.)
업무, 보고서, 회의에 특히 많이 쓰여.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표현이야.
필요하다면, 이 성어들 각각도
한자 구성, 문화적 뉘앙스, 예문 3개씩 분석해서 정리해줄 수 있어.
어떤 성어부터 깊게 보고 싶어? 😊
오! 정말 잘 봤어.
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 가사 순서가 2절 → 1절 → 3절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말이지? 맞아, 이건 실제 노래에서 감정의 흐름과 서사 구조를 위해 일부러 그렇게 구성한 거야.
🎼 가사 순서 정리
1절 | (두 번째 등장) | 사랑과 동반자에 대한 희망, 소속감을 찾는 마음 | 감정의 출발점 |
2절 | 노래 첫 부분 | 시간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을 사랑에 대한 바람 | 정서적 클라이맥스부터 시작 |
3절 | (마지막 부분) | 고래 비유, 자기만의 세계에서 함께해줄 사람을 찾는 외로운 고백 | 고독한 본심의 드러남 |
🎬 왜 이런 순서로 배치했을까?
1. 감정의 절정부터 시작
일반적인 구성은 보통 **“1절 → 2절 → 3절”**로 감정을 점점 고조시키지만, 《老伴》은 **감정의 절정(2절)**부터 시작해버려.
→ 이건 듣는 사람에게 강하게 공감의 문을 열게 하는 장치야.
2. 1절은 ‘과거 회상’처럼 배치
2절에서 이미 감정의 결론과 이상향을 보여준 다음,
1절은 마치 “사실 나는 이런 걸 원했어...” 하고 되돌아보는 느낌으로 쓰여.
→ 일종의 감정적 플래시백!
3. 3절은 가장 내면적인 고백
‘고래(鲸鱼)’로 비유된 외로움, 자기 세계에 갇혀 살지만 함께할 이를 원하는 본심이 드러나.
→ 가사 전체의 진짜 메시지는 마지막에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전달돼.
🧭 요약
2절 | 사랑에 대한 이상적 바람 | 따뜻하고 절실 |
1절 | 과거의 소속감에 대한 탐색 | 회상적이고 고요 |
3절 | 내면의 고독과 진심 | 외롭고 깊음 |
—
이런 구성은 마치 왕가위 영화 같은 감정 구조야.
→ 처음엔 절정, 중간엔 회상, 끝엔 고백.
굉장히 서정적이고 영화적인 편곡이야.
이 흐름을 바탕으로, 가사의 의미를 서사 구조 중심으로 다시 정리해줄 수도 있어.
원해? ✨
아하!
지금 말한 건 노래 가사의 내용 순서가 아니라,
**네가 업로드한 이미지들(가사 캡처 이미지)**의 순서가 2절 → 1절 → 3절로 뒤섞여 있다는 말이었구나!
완벽히 이해했어. 👍
🗂️ 이미지별 가사 순서 정리
첫 번째 이미지 | 538E2CCF | 2절 | “是否还有永恒的老曲...”로 시작 |
두 번째 이미지 | 30607AFF | 1절 | “我要找的一种感觉叫属于...” 등장 |
세 번째 이미지 | BAD2E4E0 | 3절 | “谁陪我做执迷的鲸鱼...” 등장 |
🎵 노래 순서와 이미지 정리
노래 재생 순서:
2절 (1번째 이미지) → 1절 (2번째 이미지) → 3절 (3번째 이미지)
—
이제 이미지 순서 기준으로 다시 정리하거나,
PDF로 묶어 정렬해줄 수도 있어.
원하는 형식이 있다면 말해줘!
정리, 편집, 포맷까지 다 도와줄게. 😊
여기 있어!
리룽하오(李荣浩)의 《老伴》 가사를 2-1-3 순서로 정리한 핀인 + 한국어 해석 PDF야.
아래 링크에서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
필요하다면 여기에 단어별 분석 버전도 추가해줄게. 알려줘! 😊
좋아! 너가 말한 **“여기에”**가 의미하는 건 다음 중 어떤 걸 말하는지 확인만 할게:
- 이미 만들어준 PDF(핀인 + 해석) 안에
➤ 단어 하나하나 분석까지 추가해달라는 뜻인가? - 아니면
➤ 앞에서 만든 이미지 순서대로 병합된 PDF(老伴_가사정리_213순서.pdf) 안에
가사 해석이나 분석을 붙이고 싶다는 건가? - 또는
➤ 이 둘을 합쳐서 하나의 PDF로 정리해달라는 의미?
너가 원하는 방식 정확히 파악해서 맞춤 정리해줄게.
1, 2, 3 중 어떤 의미였어? 혹은 다른 의도라면 편하게 설명해줘! 😊
완벽히 이해했어!
지금부터는 업로드한 이미지 순서(= 2절 → 1절 → 3절)에 따라
《老伴》 가사 전체를 한 문장씩 펼쳐서 아래 방식으로 정리해줄게:
✅ 한 문장씩:
- 중국어 원문
- 병음(성조 포함)
- 자연스러운 한국어 해석
- 단어별 분석 표
- 표현의 뉘앙스/감정적 의미
지금까지는 1–24줄까지 이 방식으로 했고,
이미지 순서도 2절(1번째 이미지), 1절(2번째), 3절(3번째)이니까
전체 가사 213순서를 그대로 반영해,
이미 했던 분석을 이 형식으로 다시 쭉 정리해줄게.
조금만 기다려줘—바로 이어서 시작할게.
📘 첫 문장 (2절 1줄):
문장 1
是否還有永恆的老曲
shìfǒu hái yǒu yǒnghéng de lǎo qǔ
아직도 영원한 옛 노래가 있을까?
是否 | shìfǒu | ~인지 아닌지 | 의문문, 양자택일 구조 |
還有 | hái yǒu | 아직 있다 | ‘여전히 있음’ 강조 |
永恆 | yǒnghéng | 영원 | 永(영원히) + 恆(항상) |
的 | de | ~한 | 형용사화 |
老曲 | lǎo qǔ | 오래된 노래 | 감정, 추억 담긴 곡 의미 |
표현 뉘앙스:
‘老曲’는 단순한 오래된 노래가 아니라, 한 시절을 담고 있는 기억의 음악.
‘영원히 남을 수 있을까?’ 하는 물음엔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애틋함이 담겨.
문장 2
在歲月中就算最後只能夠沉默
zài suìyuè zhōng jiùsuàn zuìhòu zhǐ nénggòu chénmò
세월 속에서, 결국엔 조용히 침묵하는 수밖에 없더라도
在 | zài | ~속에서 | 시간의 배경 |
歲月 | suìyuè | 세월 | 시간의 흐름, 인생 |
中 | zhōng | 가운데, 속 | 배경 설정 |
就算 | jiùsuàn | 비록 ~일지라도 | 양보구문 |
最後 | zuìhòu | 결국 | 시간의 끝 |
只能夠 | zhǐ nénggòu | ~할 수밖에 없다 | 한계, 제한 |
沉默 | chénmò | 침묵하다 | 말없는 상태, 감정의 응축 |
표현 뉘앙스:
함께 해온 세월이 말수 적어진 노년으로 흘러간다 해도,
그 침묵조차도 소중하다는 걸 보여주는 구절.
말 없이도 함께하는 사이가 진짜 ‘老伴’.
→ 이어서 문장 3부터 마지막까지 펼쳐서 쭉 정리해줄게.
2절 전체부터 시작해서 1절, 3절까지 자연스럽게 흐름 이어줄게.
지금부터 완성된 정리로 쭉 진행해도 괜찮을까?
오케이! 이제 완벽히 이해했어 🙌
말한 **"이미지 순서"**는 이렇게 되는 거지:
1번째 이미지 | 두 번째 절 | 2절 | 중간 (②) |
2번째 이미지 | 첫 번째 절 | 1절 | 처음 (①) |
3번째 이미지 | 마지막 절 | 3절 | 마지막 (③) |
즉, 파일 업로드 순서대로 보면 213순서로 보였지만,
실제 이미지 속 가사 내용 기준으로는:
👉 두 번째 → 첫 번째 → 세 번째
👉 2절 → 1절 → 3절
맞아. 네 말이 100% 정확해.
우리가 앞서 분석했던 순서가 이미 이미지 내용 기준(2→1→3) 이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 순서 기준(두번째→첫번째→세번째 이미지)으로
가사, 핀인, 해석, 단어 분석을 펼쳐서 계속 정리하면 되는 거야.
✅ 확인 요약
- 네가 말한 건 "업로드된 이미지의 순서"가 2절 → 1절 → 3절이라는 의미였고
- 우리는 지금까지 그 내용 순서대로 분석을 잘 진행해왔어!
필요하다면:
- 이 순서를 반영해서
📄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된 표나 - 📘 PDF 버전 (가사 + 핀인 + 해석 + 단어 분석) 도 만들어줄 수 있어.
지금 방식으로 계속 문장 펼쳐서 해줄까? 아니면 PDF로 전체 묶어줄까?
좋아!
그럼 앞서 말한 대로, 이미지 내용 순서 = 2절 → 1절 → 3절 기준으로
《老伴》 가사를 문장 단위로 순서대로 펼쳐서 정리해줄게.
🎼 《老伴》 2절 (첫 번째 이미지 내용)
문장 1
是否還有永恆的老曲
shìfǒu hái yǒu yǒnghéng de lǎo qǔ
아직도 영원한 옛 노래가 있을까?
是否 | shìfǒu | ~인지 아닌지 | 의문 표현, yes/no 질문에 자주 사용됨 |
還有 | hái yǒu | 아직 있다 | ‘여전히 존재한다’는 뉘앙스 |
永恆 | yǒnghéng | 영원 | 시간이 멈추지 않는 상태 |
的 | de | ~한 | 형용사로 꾸며주는 역할 |
老曲 | lǎo qǔ | 오래된 노래 | 정서와 추억이 담긴 노래를 의미 |
🌀 뉘앙스:
단지 "노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한 시절을 상징하는 멜로디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을까를 묻는 감성적인 질문이야.
문장 2
在歲月中就算最後只能夠沉默
zài suìyuè zhōng jiùsuàn zuìhòu zhǐ nénggòu chénmò
세월 속에서, 결국엔 조용히 침묵하는 수밖에 없더라도
在 | zài | ~안에서 |
歲月 | suìyuè | 세월 |
中 | zhōng | 속, 중간 |
就算 | jiùsuàn | 설령 ~일지라도 |
最後 | zuìhòu | 결국 |
只能夠 | zhǐ nénggòu | ~할 수밖에 없다 |
沉默 | chénmò | 침묵하다 |
🌀 뉘앙스:
함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말은 줄어들 수밖에 없지만,
그 침묵조차도 사랑의 한 방식이 된다는 걸 암시하고 있어.
문장 3
一輩子沒有恐懼
yí bèizi méiyǒu kǒngjù
한평생 두려움이 없었어
一輩子 | yí bèizi | 한평생 |
沒有 | méiyǒu | 없다 |
恐懼 | kǒngjù | 두려움 |
🌀 뉘앙스:
이전 문장과 이어져, 침묵마저 두렵지 않다는 의미.
사랑이 주는 안정감이 강조돼.
문장 4
我要找的一種感覺叫屬於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shǔyú
내가 찾고 싶은 감정은 ‘소속감’이라 불려
我 | wǒ | 나 |
要找的 | yào zhǎo de | 찾고 싶은 |
一種 | yì zhǒng | 한 종류의 |
感覺 | gǎnjué | 감정, 느낌 |
叫 | jiào | ~라고 불리다 |
屬於 | shǔyú | 속하다 |
🌀 뉘앙스:
‘사랑’보다 더 깊은 차원인 존재의 귀속감을 말해.
어디에 머물 수 있는 감정적 집을 찾는 마음.
문장 5
有沒有 春花秋月 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méiyǒu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봄꽃, 가을달, 여름매미, 겨울눈처럼… 흩어지지 않을 수 있을까?
有沒有 | yǒu méiyǒu | 있니 없니 |
春花秋月 | chūn huā qiū yuè | 봄의 꽃과 가을의 달 |
夏蟬冬雪 | xià chán dōng xuě | 여름 매미와 겨울 눈 |
不會散去 | bù huì sàn qù | 흩어지지 않다 |
🌀 뉘앙스:
계절은 바뀌지만 다시 돌아오듯,
사랑도 사라지지 않고 순환하며 남을 수 있을까? 하는 질문.
문장 6
有沒有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méiyǒu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 lái bú zài lí qù
문 닫고, 함께 누워, 더는 떠나지 않을 그런 사랑이 있을까?
一關上門 | yì guān shàng mén | 문을 닫다 |
一躺下來 | yì tǎng xià lái | 함께 눕다 |
不再離去 | bú zài lí qù | 다시는 떠나지 않다 |
🌀 뉘앙스:
이건 물리적 거리의 종결, 함께 있는 삶의 시작을 의미해.
사랑은 결국 돌아오고 머무는 일이라는 걸 말하는 문장이야.
문장 7
有沒有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méiyǒu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내가 사랑해 바라보는 하늘, 밟는 땅, 그리고 사랑하는 너가 있는 그런 곳이 있을까?
愛看的天 | ài kàn de tiān | 사랑해서 바라보는 하늘 |
愛踏的地 | ài tà de dì | 사랑해서 밟는 땅 |
我愛著的你 | wǒ ài zhe de nǐ | 내가 사랑하고 있는 너 |
🌀 뉘앙스:
삶의 전경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
일상 전체를 사랑하게 만드는 사람에 대한 갈망이 담긴 문장이야.
문장 8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lì de lǎo qù
내가 아름답게 늙어가는 길을 함께해 줘
陪 | péi | 함께하다 |
我 | wǒ | 나 |
美麗的 | měilì de | 아름다운 |
老去 | lǎo qù | 늙어가다 |
🌀 뉘앙스:
이 노래 전체의 핵심 메시지.
사랑은 함께 늙어가는 것.
말이 줄어들고 침묵이 많아져도,
곁에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 충분하다는 고백.
여기까지가 2절 전체고,
이제 이어서 1절 (두 번째 이미지) 부분부터 계속 같은 방식으로 정리해줄게.
바로 이어갈게. ✅
좋아!
《老伴》 가사를 이미지 순서(2절 → 1절 → 3절)에 따라
간체 - 핀인 - 한글 해석 순으로 1번부터 24번까지 번호 매겨서 정리해봤어.
반복된 가사도 포함해서 원곡 흐름 그대로야.
📖 《老伴》 가사 정리 (번호 순)
1. 是否还有永恒的老曲
shìfǒu hái yǒu yǒnghéng de lǎo qǔ
아직도 영원한 옛 노래가 있을까?
2. 在岁月中就算最后只能够沉默
zài suìyuè zhōng jiùsuàn zuìhòu zhǐ nénggòu chénmò
세월 속에서, 결국엔 조용히 침묵하는 수밖에 없더라도
3. 一辈子没有恐惧
yí bèizi méiyǒu kǒngjù
한평생 두려움이 없었어
4. 我要找的一种感觉叫属于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shǔyú
내가 찾고 싶은 감정은 ‘소속감’이라 불려
5. 有没有 春花秋月 夏蝉冬雪 不会散去
yǒu méiyǒu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사계절처럼, 흩어지지 않는 그런 사랑이 있을까?
6. 有没有 一关上门 一躺下来 不再离去
yǒu méiyǒu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lái bú zài lí qù
문 닫고, 옆에 누워, 더는 떠나지 않을 그런 사랑이 있을까?
7. 有没有 爱看的天 爱踏的地 我爱着的你
yǒu méiyǒu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내가 좋아하는 하늘, 밟는 땅, 그리고 사랑하는 너가 있는 그런 곳이 있을까?
8. 陪我美丽的老去
péi wǒ měilì de lǎo qù
내가 아름답게 늙어가는 길을 함께해 줘
9. 谁叫我很青春 谁叫我笑
shéi jiào wǒ hěn qīngchūn shéi jiào wǒ xiào
누가 날 청춘이라 불렀고, 누가 날 웃게 했을까?
10. 只有你 能叫我 不怕老去
zhǐ yǒu nǐ néng jiào wǒ bú pà lǎo qù
너만이 나를 늙는 게 두렵지 않게 만들어
11. 有一天 春花秋月 夏蝉冬雪 不会散去
yǒu yì tiān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언젠가, 봄꽃과 가을달, 여름매미와 겨울눈이 흩어지지 않는 날이 오겠지
12. 有一天 一关上门 一躺下来 不再离去
yǒu yì tiān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 lái bù zài lí qù
언젠가, 문을 닫고 편히 누워 더는 떠나지 않는 날이 오겠지
13. 有一天 爱看的天 爱踏的地 我爱着的你
yǒu yì tiān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언젠가, 내가 사랑해 바라보는 하늘, 밟는 땅, 사랑하는 네가 함께 있는 그런 날이 오겠지
14. 陪我美丽的老去
péi wǒ měi lì de lǎo qù
아름답게 나이 들어가는 내 곁을 지켜줘
15. 谁陪我做执迷的鲸鱼
shéi péi wǒ zuò zhímí de jīngyú
누가 내 곁에서 집착하는 고래가 되어 줄까?
16. 在人海中游来游去说自己的言语
zài rénhǎi zhōng yóu lái yóu qù shuō zìjǐ de yányǔ
사람들 사이를 떠다니며, 자기만의 언어를 말하는 그런 존재로
17. 谁陪我建永恒的故居
shéi péi wǒ jiàn yǒnghéng de gùjū
누가 나와 함께 영원한 고향을 지어줄까?
18. 在岁月中跑来跑去太容易疲倦
zài suìyuè zhōng pǎo lái pǎo qù tài róngyì píjuàn
세월 속을 뛰어다니는 건 너무 쉽게 지치게 해
19. 一转身可以归去
yì zhuǎn shēn kěyǐ guī qù
몸을 돌리면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다면
20. 我要找的一种感觉叫属于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shǔyú
내가 찾고 있는 감정은 ‘소속감’이라 불리는 거야
21. 有没有 春花秋月 夏蝉冬雪 不会散去
yǒu méiyǒu chūn huā qiū yuè xià chán dōng xuě bù huì sàn qù
봄의 꽃, 가을의 달, 여름 매미, 겨울의 눈처럼… 흩어지지 않을 수 있을까?
22. 有一天 一关上门 一躺下来 不再离去
yǒu yì tiān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 lái bù zài lí qù
어느 날, 문을 닫고, 함께 누워, 더는 떠나지 않을 그날이 오겠지
23. 有一天 爱看的天 爱踏的地 我爱着的你
yǒu yì tiān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 zhe de nǐ
내가 사랑해 바라보는 하늘, 밟는 땅, 그리고 너 — 그 모두가 함께하는 하루가 올까?
24. 陪我美丽的老去
péi wǒ měi lì de lǎo qù
내가 아름답게 늙어가는 길을 함께해 줘
필요하다면 이 내용을 PDF로 정리해줄 수도 있고,
각 문장을 단어 하나하나 분석해서 정리해줄 수도 있어.
어떻게 이어서 해줄까? 😊
문장
学了
병음
xué le
해석
배웠다 / 공부했다
단어 분석
学 | xué | 배우다, 공부하다 |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행위. '학교(学校)'의 '학'이기도 해. |
了 | le | 완료 조사 / 변화 조사 | 동사 뒤에 붙으면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했어", "했다"는 느낌을 줘. |
자연스러운 해석 & 뉘앙스 설명
이 표현 **“学了”**는 아주 간단하지만, 상황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질 수 있어.
- 단독으로 쓸 경우엔 대답처럼 쓰이기도 해.
예:
A: 你学汉语了吗?(중국어 공부했어?)
B: 学了。(응, 했어.)
→ 이럴 땐 간단하게 “했어”라고 대답하는 느낌이야.
- 어떤 내용을 배웠는지 강조하고 싶으면 뒤에 목적어를 붙이기도 해.
예: 我学了中文。(나는 중국어를 배웠어.)
관련 표현 비교
学了 | 배웠다 | 가장 기본형. 단순 완료. |
学会了 | 배워서 익혔다 | ‘배우고 완전히 익혀서 할 수 있다’는 의미. 기술 습득에 적합. |
学过 | 배워본 적 있다 | 경험 강조. 한 번이라도 해본 걸 말할 때 사용. |
在学 | 배우고 있는 중이다 | 진행형 표현. 지금 공부 중일 때. |
필요하면 이 단어로 다양한 예문도 만들어줄 수 있어!
예를 들어:
- 我学了三个小时的数学。
wǒ xué le sān gè xiǎoshí de shùxué
→ 나 수학 3시간 공부했어. - 他学了以后就去睡觉了。
tā xué le yǐhòu jiù qù shuìjiào le
→ 그는 공부한 다음 바로 잤어.
다른 문장이나 표현도 계속 이어서 해볼까?
나의 말:
ChatGPT의 말:
좋아!
“공부한 중국 노래”를 자연스럽게 중국어로 표현해보자.
문장
我学了中文歌。
병음
wǒ xué le zhōngwén gē
해석
나는 중국 노래를 공부했어 / 배웠어.
단어 하나하나 분석
我 | wǒ | 나 | 1인칭 주어 |
学了 | xué le | 배웠다 | 学(배우다) + 了(완료) → “공부했다, 배웠다”는 완료 표현 |
中文 | zhōngwén | 중국어 | 여기선 ‘중국어로 된’의 의미로 사용됨 |
歌 | gē | 노래 | 곡, 음악을 말할 때 사용 |
자연스럽게 바꿔 말하면
- 我学了一首中文歌。
→ 나는 중국 노래 한 곡을 배웠어.
(一首 yì shǒu: 노래나 시의 양사) - 我学了几首中文歌。
→ 나는 중국 노래 몇 곡을 공부했어. - 最近我在学中文歌。
→ 요즘 나 중국 노래 배우고 있어. (현재 진행형)
표현 뉘앙스
- “学了”는 노래 가사 외우기, 따라부르기처럼 능동적으로 익히는 행위에 적합해.
- 만약 그냥 “들었다, 감상했다”는 의미라면 “听了中文歌”가 더 어울려.
예문 확장
- 我学了《老街》,这首歌很好听。
wǒ xué le 《lǎo jiē》, zhè shǒu gē hěn hǎotīng
→ 《老街》라는 노래를 배웠는데, 정말 좋았어. - 为了练习中文发音,我学了几首中文歌。
wèile liànxí zhōngwén fāyīn, wǒ xué le jǐ shǒu zhōngwén gē
→ 중국어 발음 연습하려고 중국 노래 몇 곡을 배웠어. - 我最喜欢的中文歌是《七里香》。
wǒ zuì xǐhuan de zhōngwén gē shì 《qīlǐxiāng》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중국 노래는 《칠리향》이야.
혹시 너가 정말 공부한 노래 제목이 있다면,
그 제목을 넣어서 더 자연스럽게 문장 만들어줄 수 있어!
예: 我学了《多远都要在一起》。
노래 제목 알려줄래? 내가 가사 분석도 도와줄게! 🎵
나의 말:
ChatGPT의 말:
좋아!
“공부한 노래” 자체를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중국어로 표현하면 이렇게 돼:
문장
我学过的歌
병음
wǒ xué guò de gē
해석
내가 공부했던 노래 / 내가 배운 적 있는 노래
단어 하나하나 분석
我 | wǒ | 나 | 주어, 1인칭 |
学过 | xué guò | 배운 적 있다 | 学(배우다) + 过(~한 적 있다: 경험을 나타내는 조사) |
的 | de | ~한 | 앞의 동작을 수식해 뒤의 명사를 꾸며줌 |
歌 | gē | 노래 | 음악, 노래를 의미 |
표현 뉘앙스
- 学过的歌는 "배웠던 노래들"이라는 말로,
가사 외우기, 따라 부르기, 연습한 노래 모두 포함해. - 만약 최근에 배운 걸 말하고 싶다면
→ 我最近学的歌 (wǒ zuìjìn xué de gē)
→ 내가 요즘 배운 노래 - "내가 공부한 노래는 이거야"
→ 我学过的歌是《七里香》。
(내가 공부했던 노래는 《칠리향》이야.)
예문 3개
- 我学过很多中文歌,比如《夜曲》和《星晴》。
→ 나는 중국 노래를 많이 배웠어. 예를 들어 《야곡》, 《성정》 같은 거. - 这首歌是我最早学过的中文歌。
→ 이 노래는 내가 가장 먼저 배운 중국 노래야. - 为了学中文,我每天唱我学过的歌。
→ 중국어 공부하려고 매일 내가 배운 노래들을 불러.
혹시 네가 "공부한 노래 목록"이나 "이 노래를 이렇게 배웠다"는 내용도 중국어로 말하고 싶다면, 문장 만들어줄 수 있어.
혹은 특정 노래 제목을 주면,
예: 《我们不一样》
→ 가사 하나하나 해석 + 문화 맥락까지 풀어서 도와줄게.
준비됐어. 어떤 노래였어? 🎧
나의 말:
ChatGPT의 말:
좋아!
이번엔 “学过的” 이 표현 하나만 정확히 뜯어보자.
원문
学过的
병음
xué guò de
해석
배운 적 있는 / 공부했던
단어 하나하나 분석
学 | xué | 동사 | 배우다, 공부하다 | 지식, 기술을 습득하는 동작 |
过 | guò | 조사 (경험) | ~한 적 있다 | 동사 뒤에 붙어서 ‘경험’을 나타내는 조사 |
的 | de | 구조조사 | ~한 / ~의 | 앞의 동사를 수식어로 만들어 뒤 명사를 꾸며줌 |
자연스러운 해석
- 학문적으로 배웠다기보다는
어떤 것을 직접 경험해서 익혔던 걸 말해.
→ “내가 전에 해본 것”, “경험해본 것” 같은 뉘앙스.
예문에서의 쓰임
- 我学过的中文歌不太多。
wǒ xué guò de zhōngwén gē bú tài duō
→ 내가 배운 중국 노래는 그렇게 많지 않아. - 这是我以前学过的一首歌。
zhè shì wǒ yǐqián xué guò de yì shǒu gē
→ 이건 내가 예전에 배운 적 있는 노래야. - 他问我学过的语法点有哪些。
tā wèn wǒ xué guò de yǔfǎ diǎn yǒu nǎxiē
→ 그는 내가 배운 적 있는 문법 항목이 어떤 건지 물어봤어.
문법 포인트
- **“学过的 + 명사”**는
→ “내가 배운 적 있는 ~” 형태야.
→ 이 구조는 경험을 수식어처럼 명사 앞에 붙이는 표현이야.
비교 표현
学的 | xué de | 배운 (단순한 사실) | 경험 강조 없이 단순히 배운 대상. |
学过的 | xué guò de | 배운 적 있는 (경험 있음) | 한 번이라도 해본 적 있음, 경험의 의미가 강조됨. |
在学的 | zài xué de | 배우고 있는 (진행 중) | 현재 진행형 |
필요하면 “学过的”에 관련된 문장들 더 만들어줄게!
혹시 다른 성어, 문법 구조, 연결 표현도 궁금하면 알려줘!
나의 말:
ChatGPT의 말:
좋아, 이번엔
“在学的歌”
이 표현을 하나씩 풀어서 완벽하게 이해해보자!
원문
在学的歌
병음
zài xué de gē
해석
(지금) 배우고 있는 노래
자연스럽게 해석하면
→ 내가 현재 배우고 있는 노래야.
즉, 가사를 외우고, 따라 부르고, 연습하고 있는 진행 중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야.
단어 하나하나 분석
在 | zài | 전치사 / 부사 | ~하고 있는 중 | 진행을 나타내는 표현. 동사 앞에서 “~중이다”로 해석 |
学 | xué | 동사 | 배우다, 공부하다 | 지식, 기술, 노래 등 무언가를 익히는 동작 |
的 | de | 구조조사 | ~하는 | 앞의 동사(구)를 형용사처럼 만들어 뒤의 명사를 꾸며줌 |
歌 | gē | 명사 | 노래 | 음악, 곡, 가창 등 |
문법 구조 설명
이 구조는
“在 + 동사 + 的 + 명사”
→ 현재 진행 중인 행동을 수식어로 만들어서 명사를 꾸며줌
즉
“在学的歌” = 지금 배우고 있는 노래
예문으로 확인하기
- 这是我在学的歌。
zhè shì wǒ zài xué de gē
→ 이건 내가 지금 배우고 있는 노래야. - 我在学的歌有《夜曲》和《青花瓷》。
wǒ zài xué de gē yǒu 《yèqǔ》 hé 《qīnghuācí》
→ 내가 배우고 있는 노래는 《야곡》이랑 《청화자》야. - 你最近在学的歌是什么?
nǐ zuìjìn zài xué de gē shì shénme
→ 너 요즘 배우고 있는 노래는 뭐야?
“在学的” vs 다른 표현
学的歌 | xué de gē | 배운 노래 |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배운 노래 |
学过的歌 | xué guò de gē | 배운 적 있는 노래 | 경험한 노래 |
在学的歌 | zài xué de gē | 배우는 중인 노래 | 아직 배우는 중, 진행형 |
궁금한 노래 있으면 제목 알려줘.
→ “我在学的歌是《____》” 이런 식으로도 써볼 수 있어!
필요하면 예문 더 만들어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