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fending relationship partners may evoke past wrongs to justify and make sense of their own misdeeds.
Recalling past victimization experiences reduces an offending partner’s feelings of guilt and empathy.
To resolve relationship conflicts, it is more effective to look to the future than dredge up the past.
잘못을 저지른 연인들은 자신의 실수를 정당화하고 이해하기 위해 과거의 잘못을 떠올릴 수 있다.
과거 피해 경험을 회상하는 것은 상대방의 죄책감과 공감 능력을 감소시킨다.
관계 갈등을 해결하려면 과거를 들추기보다 미래를 바라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evoke (떠올리다, 환기시키다)
- The smell of freshly baked bread evoked memories of my childhood.
(갓 구운 빵 냄새가 내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 The movie evoked a strong emotional response from the audience.
(그 영화는 관객들에게 강한 감정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 The smell of freshly baked bread evoked memories of my childhood.
- dredge up (과거의 일을 끄집어내다)
- He always dredges up old arguments whenever we fight.
(그는 싸울 때마다 항상 예전 다툼을 끄집어낸다.) - Let’s not dredge up the past and focus on the present.
(과거를 들추지 말고 현재에 집중하자.)
- He always dredges up old arguments whenever we fight.
- self-forgiveness (자기 용서)
- Self-forgiveness is an important step in overcoming guilt.
(자기 용서는 죄책감을 극복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 Many people struggle with self-forgiveness after making mistakes.
(많은 사람들이 실수를 한 후 자기 용서에 어려움을 겪는다.)
- Self-forgiveness is an important step in overcoming guilt.
2
When we experience lies, betrayal, or other relationship transgressions, we tend to see ourselves as the one being wronged (i.e., the “victim”) and the person who hurt us as the wrongdoer (i.e., the “offender”). But the person who wronged you may not see things so black and white.
우리가 거짓말, 배신, 혹은 다른 관계 속의 잘못을 경험할 때, 우리는 자신을 피해자(즉, “당한 사람”)로, 그리고 우리를 다치게 한 사람을 가해자(즉, “잘못한 사람”)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상대방은 그렇게 흑백논리로 보지 않을 수도 있다.
- betrayal (배신)
- The betrayal of a close friend can be painful.
(가까운 친구의 배신은 고통스러울 수 있다.) - He felt a deep sense of betrayal when she lied to him.
(그는 그녀가 거짓말을 했을 때 깊은 배신감을 느꼈다.)
- The betrayal of a close friend can be painful.
- transgression (위반, 죄)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바람을 피우는 것은 관계에서 심각한 위반으로 간주된다.) - The company faced penalties for its transgressions against labor laws.
(그 회사는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았다.)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 black and white thinking (흑백논리적 사고)
- His black and white thinking makes it hard to find a compromise.
(그의 흑백논리적 사고는 타협점을 찾기 어렵게 만든다.) - Life isn’t always black and white; sometimes there are gray areas.
(인생은 항상 흑백논리로 나뉘지 않고, 회색 지대도 있다.)
- His black and white thinking makes it hard to find a compromise.
3
In fact, it might seem like they are doing all that they can to suggest that it was your actions that partly led to the situation, and that their actions were a reasonable consequence of your rocky relationship history. In other words, they appear to be keeping score in your relationship—dredging up things from the past in order to contextualize (and justify) their actions. Sound familiar?
사실, 상대방은 당신의 행동이 어느 정도 이 상황을 초래했다고 주장하려 하거나, 자신의 행동이 불안정한 관계의 역사 속에서 나올 만한 정당한 결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즉, 그들은 관계에서 "점수를 매기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의 일을 들춰내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험, 익숙하지 않은가?
- rocky relationship (불안정한 관계)
- They have had a rocky relationship for years.
(그들은 수년간 불안정한 관계를 이어왔다.) - After a rocky start, their relationship eventually stabilized.
(불안한 출발 후, 그들의 관계는 결국 안정되었다.)
- They have had a rocky relationship for years.
- contextualize (맥락을 부여하다)
- It is important to contextualize historical events when studying history.
(역사를 공부할 때 역사적 사건을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The professor contextualized the novel within its cultural background.
(교수님은 그 소설을 문화적 배경 속에서 맥락화했다.)
- It is important to contextualize historical events when studying history.
- justify (정당화하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그는 교통체증을 탓하며 지각을 정당화하려 했다.) - Nothing can justify such violent behavior.
(어떤 것도 그런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할 수 없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심리학적 배경
이러한 "점수 매기기(keeping score)" 행동은 관계 속에서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를 줄이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즉, 가해자는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고 믿고 싶기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상대방의 과거 실수와 비교하여 균형을 맞추려 한다. 이는 합리화(rationalization) 의 한 형태이며, 상대방을 희생자로 보는 대신 자신도 피해자로 인식하게 만든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는 도덕적 자기면제(moral disengagement) 개념과도 연결된다. 이는 사람이 자신의 행동이 부도덕하지 않다고 믿기 위해 도덕적 기준을 수정하는 과정이다. 관계에서 과거의 잘못을 들추는 행동은, 결국 자신의 죄책감을 줄이고 자아상을 보호하려는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과거를 들추는 것이 아니라 미래 지향적인 해결책(future-oriented resolution) 을 찾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파트너가 과거 실수를 회상하며 스스로를 피해자로 인식할수록, 그들은 상대방에 대한 공감을 줄이고, 화해하려는 의지도 낮아진다. 관계를 지속하려면, 서로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지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4
Relationships evolve over time, so what happened in the past is certainly relevant to understanding where we are now. However, in the heat of the moment, your partner is probably not focused on formulating an objective history of your relationship. Rather, recalling past harms reflects their attempt to grapple with the emotional toll and meaning of the offense (just like you are). But that doesn’t mean it is particularly healthy.
관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기 때문에, 과거에 일어난 일들은 현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분명히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감정이 격해진 순간에는, 상대방이 관계의 객관적인 역사를 정리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정적으로 받은 상처와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과거의 상처를 회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건강한 방식이라는 뜻은 아니다.
- in the heat of the moment (감정이 격해진 순간에)
- He said some hurtful things in the heat of the moment.
(그는 감정이 격해진 순간에 상처 주는 말을 했다.) - Don't make decisions in the heat of the moment.
(감정이 격한 상태에서 결정을 내리지 마.)
- He said some hurtful things in the heat of the moment.
- grapple with (고심하다, 씨름하다)
- She is grappling with the decision to leave her job.
(그녀는 직장을 그만둘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 He struggled to grapple with his emotions after the breakup.
(그는 이별 후 자신의 감정을 다루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She is grappling with the decision to leave her job.
- emotional toll (감정적인 대가, 심리적 부담)
- The stress of the job took an emotional toll on her.
(그 일의 스트레스가 그녀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었다.) - Constant fighting in a relationship can take a huge emotional toll.
(끊임없는 싸움은 관계에서 큰 심리적 부담이 될 수 있다.)
- The stress of the job took an emotional toll on her.
5
Let’s look at the psychology underpinning an offender’s tendency to analyze your relationship history.
이제 가해자가 관계의 과거를 분석하려는 경향 뒤에 숨겨진 심리학적 배경을 살펴보자.
- relationship history (관계의 역사)
- Their relationship history is complicated.
(그들의 관계 역사는 복잡하다.) - Looking at our relationship history, I realize how much we have changed.
(우리의 관계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가 얼마나 변했는지 알 수 있다.)
- Their relationship history is complicated.
- underpin (뒷받침하다, 근거를 제공하다)
- Scientific research underpins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과학적 연구가 이 치료법의 효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 His argument was underpinned by strong evidence.
(그의 주장은 강력한 증거로 뒷받침되었다.)
- Scientific research underpins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 tendency (경향, 성향)
- He has a tendency to avoid conflicts.
(그는 갈등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work remotely.
(재택근무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 He has a tendency to avoid conflicts.
6
Your relationship partner is likely to feel bad about themselves when confronted with evidence of a relationship transgression—and rightly so! However, ruminating on one’s guilt and shame can fester over time. In the aftermath of a wrongdoing, offenders feel a strong need to restore their sense of moral self, which they believe is necessary to move on from their indiscretion and reach a point of self-forgiveness.
당신의 연인이 관계에서 잘못을 저질렀다는 증거를 마주하면, 당연히 자신에 대해 죄책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러한 죄책감과 수치심에 집착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더 악화될 수 있다. 잘못을 저지른 후, 가해자는 자신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사람이라는 감각을 회복하려는 강한 욕구를 느낀다. 이는 자신의 실수를 극복하고 자기 용서에 도달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1. transgression (위반, 범죄, 잘못)
- 의미: 규칙이나 도덕적 기준을 어기는 행위
- 예문:
- His transgression of the company’s rules led to his dismissal. (그의 회사 규칙 위반은 해고로 이어졌다.)
- She regretted her transgression and apologized sincerely. (그녀는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며 진심으로 사과했다.)
- Any transgression of the law will be punished. (법을 어기는 행위는 처벌받을 것이다.)
- 활용법: "commit a transgression" (잘못을 저지르다), "serious/minor transgression" (심각한/사소한 위반)
2. ruminate (곰곰이 생각하다, 되새기다)
- 의미: 어떤 문제나 감정에 대해 깊이 생각하다, 반추하다
- 예문:
- He ruminated on his past mistakes for hours. (그는 자신의 과거 실수에 대해 몇 시간 동안 곰곰이 생각했다.)
- She tends to ruminate on negative thoughts too much. (그녀는 부정적인 생각을 너무 많이 곱씹는 경향이 있다.)
- Instead of ruminating, try to find a solution. (곰곰이 생각하는 대신 해결책을 찾아보는 게 어때?)
- 활용법: "ruminate on/about" (어떤 것에 대해 깊이 생각하다), "constant rumination" (끊임없는 반추)
3. fester (곪다, 악화되다)
- 의미: (문제나 감정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나빠지다
- 예문:
- If you don’t talk about your problems, they will fester inside you. (문제를 이야기하지 않으면, 속에서 곪을 것이다.)
- Resentment can fester over time if left unaddressed. (분노는 해결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며 악화될 수 있다.)
- The wound festered because it wasn’t treated properly. (상처가 제대로 치료되지 않아 곪았다.)
- 활용법: "let feelings fester" (감정을 곪게 두다), "a festering wound" (악화되는 상처)
- ruminate on (곱씹다, 깊이 생각하다)
- She spent the night ruminating on their argument.
(그녀는 밤새 그들의 다툼을 곱씹었다.) - Instead of ruminating on past mistakes, focus on learning from them.
(과거 실수를 곱씹기보다는 거기서 배우는 데 집중해라.)
- She spent the night ruminating on their argument.
- fester (악화되다, 곪다)
- Resentment can fester if left unaddressed.
(분노는 해결되지 않으면 악화될 수 있다.) - The wound festered due to lack of treatment.
(치료 부족으로 상처가 곪았다.)
- Resentment can fester if left unaddressed.
- aftermath (여파, 결과)
- Many people struggled in the aftermath of the economic crisis.
(많은 사람들이 경제 위기의 여파 속에서 힘들어했다.) - The aftermath of the scandal affected his career.
(그 스캔들의 여파는 그의 경력에 영향을 미쳤다.)
- Many people struggled in the aftermath of the economic crisis.
- wrongdoing (잘못된 행동, 범죄)
- He denied any wrongdoing in the case.
(그는 사건에서의 잘못을 부인했다.) - The company was fined for its wrongdoing.
(그 회사는 위법 행위로 벌금을 부과받았다.)
- He denied any wrongdoing in the case.
- restore (회복하다, 되찾다)
- He is trying to restore his damaged reputation.
(그는 손상된 명성을 회복하려 하고 있다.) - The therapy helped restore her confidence.
(그 치료는 그녀의 자신감을 되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 He is trying to restore his damaged reputation.
- moral self (도덕적 자아)
- People strive to maintain their moral self by acting ethically.
(사람들은 윤리적으로 행동함으로써 도덕적 자아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 His moral self was challenged when he had to make a tough decision.
(그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자신의 도덕적 자아에 도전받았다.)
- People strive to maintain their moral self by acting ethically.
- move on (극복하다, 나아가다)
- She found it hard to move on after the breakup.
(그녀는 이별 후 극복하는 것이 어려웠다.) - It’s time to stop dwelling on the past and move on.
(이제 과거에 연연하지 말고 나아갈 때이다.)
- She found it hard to move on after the breakup.
- indiscretion (경솔한 행동, 부주의한 실수)
- His indiscretion at work led to serious consequences.
(그의 직장에서의 경솔한 행동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 She regretted her indiscretions in the past.
(그녀는 과거의 경솔한 행동을 후회했다.)
- His indiscretion at work led to serious consequences.
- ruminate on (곱씹다, 깊이 생각하다)
- She spent the night ruminating on their argument.
(그녀는 밤새 그들의 다툼을 곱씹었다.) - Instead of ruminating on past mistakes, focus on learning from them.
(과거 실수를 곱씹기보다는 거기서 배우는 데 집중해라.)
- She spent the night ruminating on their argument.
- fester (악화되다, 곪다)
- Resentment can fester if left unaddressed.
(분노는 해결되지 않으면 악화될 수 있다.) - The wound festered due to lack of treatment.
(치료 부족으로 상처가 곪았다.)
- Resentment can fester if left unaddressed.
- indiscretion (경솔한 행동, 부주의한 실수)
- His indiscretion at work led to serious consequences.
(그의 직장에서의 경솔한 행동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 She regretted her indiscretions in the past.
(그녀는 과거의 경솔한 행동을 후회했다.)
- His indiscretion at work led to serious consequences.
7
Something needs to give to alleviate that discomfort. The victim might choose to forgive the offender for their actions, validating the offending partner as good and protecting their sense of self-worth. The offender can also take action themselves.
어떤 식으로든 이 불편한 감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는 가해자를 용서함으로써, 상대방이 본래 좋은 사람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그들의 자아 존중감을 보호해줄 수도 있다. 또는 가해자가 직접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 alleviate (완화하다, 경감하다)
- Meditation helps alleviate stress.
(명상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The new policy aims to alleviate financial burdens on students.
(새로운 정책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Meditation helps alleviate stress.
- self-worth (자아 존중감)
- Compliments can boost one’s sense of self-worth.
(칭찬은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Losing his job made him question his self-worth.
(그는 실직 후 자신의 자아 존중감에 의문을 가졌다.)
- Compliments can boost one’s sense of self-worth.
심리학적 배경
이러한 과정은 자기 정당화(self-justification) 이론과 깊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도덕적 기준에 어긋난다고 느낄 때, 불편한 감정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해소
-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과 "나는 좋은 사람이다"라는 믿음 사이의 충돌을 해소하려고 한다.
- 이를 위해, 상대방의 과거 실수를 끄집어내거나 자신이 피해자인 것처럼 인식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 도덕적 면제(Moral Disengagement)
- 자신의 행동이 부도덕하다고 느끼지 않기 위해 도덕적 기준을 조정하거나 행동을 합리화한다.
- "나는 원래 나쁜 사람이 아니야. 그저 상대방이 먼저 실수했기 때문에 이렇게 행동한 거야."
-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와의 관계
- 건강한 갈등 해결은 "누가 더 나쁜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어떻게 관계를 회복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한다.
- 연구에 따르면, 미래 지향적인 대화(future-focused dialogue)는 감정을 진정시키고 화해 가능성을 높인다.
결론적으로, 상대방이 과거의 실수를 들추며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할 때,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미래에 우리는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더 건강한 관계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심리학적 배경
이러한 상황은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도덕적 신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심리적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변명을 하거나 상황을 재구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즉, 가해자는 자신이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신념을 유지하기 위해 상대방의 과거 잘못을 들추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죄책감을 줄이려 한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런 방식은 자기 기만(self-deception) 에 해당하며, 장기적으로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건강한 관계 회복을 위해서는 과거에 대한 논쟁보다는 미래 지향적 해결책(future-oriented resolution) 을 모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7단락
Something needs to give to alleviate that discomfort. The victim might choose to forgive the offender for their actions, validating the offending partner as good and protecting their sense of self-worth. The offender can also take action themselves.
이 불편한 감정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하다. 피해자는 가해자를 용서함으로써, 상대방이 본래 좋은 사람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그들의 자아 존중감을 보호할 수도 있다. 또는 가해자가 직접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단어 정리
- alleviate (완화하다, 경감하다)
- Meditation helps alleviate stress.
(명상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The new policy aims to alleviate financial burdens on students.
(새로운 정책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Meditation helps alleviate stress.
- validate (정당성을 인정하다, 확인하다)
- The study valid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treatment.
(그 연구는 새로운 치료법의 효과를 입증한다.) - She needed someone to validate her feelings.
(그녀는 자신의 감정을 인정해 줄 사람이 필요했다.)
- The study valid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treatment.
- self-worth (자아 존중감)
- Compliments can boost one’s sense of self-worth.
(칭찬은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Losing his job made him question his self-worth.
(그는 실직 후 자신의 자아 존중감에 의문을 가졌다.)
- Compliments can boost one’s sense of self-worth.
- take action (조치를 취하다, 행동하다)
-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ac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정부는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 - If you want change, you must take action.
(변화를 원한다면, 행동해야 한다.)
-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ac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이 단락에서 강조하는 점은 가해자의 심리적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식이다.
가해자는 자신이 저지른 행동 때문에 불편함과 죄책감을 느낀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 피해자의 용서 (External Validation)
- 피해자가 가해자를 용서하면, 가해자는 자신이 본래 좋은 사람이라는 믿음을 유지할 수 있다.
- 용서를 받으면 가해자는 죄책감에서 벗어나고, 관계 회복이 가능해진다.
- 가해자의 행동 변화 (Internal Resolution)
- 가해자가 직접 행동을 취하여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으려 할 수도 있다.
- 사과, 보상, 태도 변화 등을 통해 도덕적 균형을 회복하려 한다.
이 과정은 도덕적 정체성(moral identity) 회복과 관련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자신의 도덕적 정체성이 위협받을 때, 이를 회복하기 위해 용서를 구하거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부 가해자는 자신을 정당화하는 방식(self-justification) 으로 불편함을 해소하려 하며, 이는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건강한 관계 회복을 위해서는 진정한 반성과 행동 변화가 중요하며, 피해자가 일방적으로 가해자를 용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8단락
The offender can also take action themselves. For example, they may seek to reaffirm their integrity by apologizing: stating explicitly that their poor actions are not representative of their true self and feelings for their partner. Unfortunately, apologizing can be difficult, so prideful offenders may avoid admitting fault and instead alleviate their guilt by refusing to apologize, downplaying the wrongfulness of their actions to alleviate their feelings of culpability.
가해자는 스스로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사과를 통해 자신의 진실성(integrity) 을 다시 확립하려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 본래의 자신이나 상대방에 대한 감정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하지만, 사과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존심이 강한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을 피하려 하며, 대신 죄책감을 줄이기 위해 사과를 거부하거나, 자신의 행동이 그리 나쁘지 않았다고 축소시키는 방식으로 책임감을 덜어내려 할 수 있다.
단어 정리
- reaffirm (재확인하다, 다시 확립하다)
- The company reaffirmed its commitment to sustainability.
(그 회사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약속을 다시 확인했다.) - He reaffirmed his love for her with a heartfelt letter.
(그는 진심 어린 편지로 그녀에 대한 사랑을 다시 확신시켰다.)
- The company reaffirmed its commitment to sustainability.
- integrity (진실성, 도덕적 정직성)
- A leader with integrity is respected by their peers.
(진실성을 가진 리더는 동료들에게 존경받는다.) - He prides himself on his integrity and honesty.
(그는 자신의 진실성과 정직함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 A leader with integrity is respected by their peers.
- representative of (~을 대표하는, 반영하는)
- This painting is representative of the artist’s early style.
(이 그림은 그 화가의 초기 스타일을 반영한다.) - His actions are not representative of his usual behavior.
(그의 행동은 그의 평소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 This painting is representative of the artist’s early style.
- prideful (자존심이 강한, 오만한)
- He was too prideful to admit his mistake.
(그는 너무 자존심이 강해서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았다.) - A prideful attitude can sometimes prevent growth.
(자존심이 강한 태도는 때때로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 He was too prideful to admit his mistake.
- admit fault (잘못을 인정하다)
- He finally admitted fault after the argument.
(그는 결국 다툼 후 자신의 잘못을 인정했다.) - Admitting fault is the first step toward resolution.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해결을 향한 첫 번째 단계이다.)
- He finally admitted fault after the argument.
- downplay (축소하다, 경시하다)
- He tried to downplay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그는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하려 했다.) - The politician downplayed his past mistakes.
(그 정치인은 자신의 과거 실수를 경시했다.)
- He tried to downplay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 culpability (책임, 과실)
- The court considered his culpability in the crime.
(법원은 그 범죄에서 그의 과실을 고려했다.) - He felt a deep sense of culpability for what happened.
(그는 일어난 일에 대해 깊은 책임감을 느꼈다.)
- The court considered his culpability in the crime.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은 자기 방어적 행동(defensive behavior) 과 관련이 있다.
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자아 개념(self-concept) 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를 피하려고 한다. 특히, 자존심(pride) 이 강한 사람일수록 책임 회피(blame avoidance) 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해자가 사용하는 자기 방어 전략
- 책임 축소(Downplaying Wrongfulness)
- 자신의 행동이 심각하지 않다고 주장하여 죄책감을 줄인다.
- 예: "이 정도는 다들 하는 일이야."
- 합리화(Rationalization)
- 자신의 행동이 불가피하거나 정당했다고 스스로 설득한다.
- 예: "네가 먼저 그렇게 했으니까 나도 그렇게 한 거야."
- 책임 전가(Blaming Others)
- 상대방이나 외부 요인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한다.
- 예: "네가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으면 나도 이렇게 안 했어."
- 사과 회피(Refusing to Apologize)
- 사과를 하면 자신의 잘못이 확정되므로, 이를 피하려 한다.
- 예: "굳이 사과할 필요 없어. 이미 다 지난 일이야."
해결책: 건강한 사과 방식
연구에 따르면, 관계 회복을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사과(genuine apology) 가 중요하다. 건강한 사과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잘못을 명확히 인정하기 (Acknowledgment of Wrongdoing)
✔ 상대방의 감정을 공감하기 (Expression of Empathy)
✔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 보이기 (Willingness to Take Responsibility)
✔ 재발 방지를 약속하기 (Commitment to Change Behavior)
결국,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축소하거나 회피하는 대신, 진심 어린 사과와 행동 변화를 보이는 것이 관계를 회복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9단락
However, often the simplest way to alleviate negative feelings when we have hurt someone is to minimize, justify, or excuse our actions entirely. Indeed, this is what organizations often do to avoid public outcry (often quite effectively), skirting or reframing the public narrative rather than accepting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unethical behavior. In relationship contexts, research shows that alleviating guilt through pseudo-self-forgiveness (i.e., letting oneself off the hook) is not particularly effective in promoting wellbeing in either victims or offenders; however, it may help to assuage those immediate feelings of negativity.
그러나, 우리가 누군가를 상처 입혔을 때,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자신의 행동을 축소하거나 정당화하거나, 아예 변명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전략은 기업(organizations) 들이 공분을 피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기업들은 책임을 인정하는 대신(public accountability), 논점을 흐리거나 사건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비판을 회피한다.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연구에 따르면 가해자가 의사-자기 용서(pseudo-self-forgiveness) 를 통해 죄책감을 줄이려고 할 때(즉, 스스로를 그냥 면죄부 주는 방식), 이는 피해자나 가해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적어도 순간적으로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단어 정리
- minimize (축소하다, 과소평가하다)
- He tried to minimize the impact of his mistake.
(그는 자신의 실수의 영향을 축소하려 했다.) - She minimized her role in the failure.
(그녀는 실패에서 자신의 역할을 과소평가했다.)
- He tried to minimize the impact of his mistake.
- justify (정당화하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그는 교통체증을 탓하며 지각을 정당화하려 했다.) - Nothing can justify such violent behavior.
(어떤 것도 그런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할 수 없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 excuse (변명하다, 면제해주다)
- He excused his rude behavior by saying he was tired.
(그는 피곤했다는 이유로 자신의 무례한 행동을 변명했다.) - There’s no excuse for cheating in a relationship.
(연애에서 바람을 피우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 He excused his rude behavior by saying he was tired.
- public outcry (대중의 분노, 공분)
- The company’s decision led to public outcry.
(그 회사의 결정은 대중의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 The policy change caused a public outcry.
(정책 변경이 대중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
- The company’s decision led to public outcry.
- pseudo-self-forgiveness (의사-자기 용서, 진정한 반성이 없는 자기 용서)
- Pseudo-self-forgiveness can prevent personal growth.
(의사-자기 용서는 개인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 True self-forgiveness requires accountability, not excuses.
(진정한 자기 용서는 변명이 아니라 책임감을 필요로 한다.)
- Pseudo-self-forgiveness can prevent personal growth.
- assuage (완화하다, 달래다)
- He tried to assuage his guilt by doing charity work.
(그는 자선 활동을 하며 죄책감을 완화하려 했다.) - Nothing could assuage her grief.
(어떤 것도 그녀의 슬픔을 달랠 수 없었다.)
- He tried to assuage his guilt by doing charity work.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은 책임 회피(responsibility avoidance) 와 도덕적 해이(moral disengagement) 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축소하거나 변명하는 방식을 통해 도덕적 자기 개념(moral self-concept) 을 보호하려 한다.
특히, 연구에서는 기업과 개인이 죄책감을 회피하는 방식이 유사 하다고 지적한다.
- 기업이 사용하는 전략
- 문제를 인정하기보다 "이것은 오해다"라고 주장
- 사건을 다른 맥락으로 해석하여 책임을 흐림
- 공공의 비판을 회피하고 내부적으로만 해결
- 관계에서의 적용
- "내가 그렇게 한 것도 네가 먼저 그랬기 때문이야"
- "이 정도 실수는 누구나 하는 거잖아"
- "우리가 원래 문제가 많았으니까 이건 그냥 사소한 문제야"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장기적으로 관계의 신뢰가 훼손되고 문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10단락
Offenders exonerate themselves by reflecting on past harms
Recalling the past to justify one’s own relationship transgression is a form of victim blaming. As with other, more serious forms of victim blaming, it helps the offender make sense of an act that may be otherwise incomprehensible: I’m a good person, so why would I intentionally hurt my partner?
과거를 회상하여 자신의 관계 속 잘못을 정당화하는 것은 일종의 피해자 비난(victim blaming) 이다. 다른 심각한 형태의 피해자 비난과 마찬가지로, 이 과정은 가해자가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나는 좋은 사람인데, 왜 의도적으로 내 연인을 다치게 했을까?"라는 의문을 해소하는 방식인 것이다.
- exonerate (무죄임을 입증하다, 면죄하다)
- The court exonerated him of all charges.
(법원은 그에게 제기된 모든 혐의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 He tried to exonerate himself by shifting the blame.
(그는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며 자신을 면죄하려 했다.)
- The court exonerated him of all charges.
- victim blaming (피해자 비난)
- Victim blaming discourages people from reporting abuse.
(피해자 비난은 사람들이 학대를 신고하는 것을 막는다.) - She was frustrated by the victim blaming in the media.
(그녀는 언론의 피해자 비난에 좌절했다.)
- Victim blaming discourages people from reporting abuse.
- transgression (위반, 죄)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바람을 피우는 것은 관계에서 심각한 위반으로 간주된다.) - The company faced penalties for its transgressions against labor laws.
(그 회사는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았다.)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 make sense of (~을 이해하다, 납득하다)
- I need time to make sense of what happened.
(나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할 시간이 필요하다.) - He struggled to make sense of her decision.
(그는 그녀의 결정을 이해하려 애썼다.)
- I need time to make sense of what happened.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에서 설명하는 피해자 비난(victim blaming) 은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 피해자 비난은 공정한 세계 가설(Just World Hypothesis) 과 관련이 있다.
- 사람들은 세상이 본래 공정하다고 믿기 때문에, 피해자가 피해를 당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려 한다.
- "네가 그렇게 행동했으니까 이런 일이 벌어진 거야."
- 이는 책임 분산(Responsibility Diffusion) 의 한 형태이며, 가해자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다.
- "나는 원래 나쁜 사람이 아니야, 너도 잘못한 게 있으니까 나도 이렇게 한 거야."
이런 사고방식은 관계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악화시키므로, 보다 건강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11단락
Dredging up past transgressions helps to reconcile our positive self-image with our harmful actions: I’m still a good person; all I’ve done is even the score.
과거의 잘못을 끄집어내는 것은 자신의 긍정적인 자아상(self-image) 과 해로운 행동을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전략이다. "나는 여전히 좋은 사람이야. 나는 그저 균형을 맞춘 것뿐이야." 라는 생각을 통해, 가해자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한다.
- dredge up (과거의 일을 들추다)
- He always dredges up old arguments whenever we fight.
(그는 싸울 때마다 항상 예전 다툼을 끄집어낸다.) - Let’s not dredge up the past and focus on the present.
(과거를 들추지 말고 현재에 집중하자.)
- He always dredges up old arguments whenever we fight.
- transgression (위반, 죄)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바람을 피우는 것은 관계에서 심각한 위반으로 간주된다.) - The company faced penalties for its transgressions against labor laws.
(그 회사는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았다.)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 reconcile (조화시키다, 화해하다)
- He struggled to reconcile his beliefs with his actions.
(그는 자신의 신념과 행동을 조화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They finally reconciled after years of conflict.
(그들은 오랜 갈등 끝에 마침내 화해했다.)
- He struggled to reconcile his beliefs with his actions.
- self-image (자아상, 자아 개념)
- A positive self-image is important for mental health.
(긍정적인 자아상은 정신 건강에 중요하다.) - Her self-image improved after therapy.
(그녀의 자아상은 치료 후 개선되었다.)
- A positive self-image is important for mental health.
- even the score (동등하게 만들다, 복수하다)
- He cheated on me, so I cheated on him to even the score.
(그가 나를 속였으니, 나도 그를 속여서 균형을 맞췄다.) - Revenge isn’t always the best way to even the score.
(복수가 항상 균형을 맞추는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 He cheated on me, so I cheated on him to even the score.
심리학적 배경
이러한 행동은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다.
- 사람들은 자신을 "좋은 사람"이라고 믿고 싶어 하지만, 잘못을 저지르면 그 신념이 위협받는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의 상대방의 잘못을 끄집어내어 "나는 나쁜 사람이 아니라 공정하게 행동한 것"이라고 스스로 설득한다.
이 과정은 합리화(rationalization) 와 도덕적 면제(moral disengagement) 와도 관련이 있다.
결국, 이러한 행동이 반복되면 관계에서 신뢰가 더욱 약해질 수 있다.
12단락
Most people have done this at some level. Just last week I was getting ready to take my daughter to soccer practice—and pretended not to notice the pile of dirty dishes (which is one of my agreed household duties). All my wife needed to do was give me a “huff” to call me on it. I got caught avoiding the chore, so my identity as a good contributing partner was under threat. My immediate instinct was to justify my shirking: “But I’ve done it the last three nights.” “But you left your dishes from lunch yesterday.” Fortunately, I thought better of it, and just got on with the dishes.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 이런 행동을 한 경험이 있다. 지난주 나는 딸을 축구 연습에 데려다줄 준비를 하다가, 일부러 싱크대에 쌓인 더러운 설거지를 못 본 척했다. (설거지는 내가 하기로 한 집안일 중 하나다.) 아내는 한숨을 쉬며 나를 바라보았고, 나는 딱 걸렸다. 나의 기여하는 배우자(contributing partner) 라는 정체성이 위협받는 순간이었다. 내 즉각적인 반응은 내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내가 지난 3일 동안 계속 설거지를 했어."
"그런데 너도 점심 때 썼던 접시를 안 치웠잖아."
다행히, 나는 더 나은 선택을 했고, 그냥 설거지를 했다.
- pretend (척하다, 가장하다)
- He pretended not to hear me.
(그는 못 들은 척했다.) - She pretended to be asleep when her mom walked in.
(그녀는 엄마가 들어왔을 때 자는 척했다.)
- He pretended not to hear me.
- huff (화가 난 숨소리, 투덜거림)
- She left the room in a huff.
(그녀는 화난 듯 방을 나갔다.) - He let out a huff and walked away.
(그는 한숨을 쉬며 걸어갔다.)
- She left the room in a huff.
- identity (정체성, 자아)
- Her identity as a leader became stronger.
(그녀의 리더로서의 정체성이 더욱 강해졌다.) - Many teenagers struggle with their identity.
(많은 십대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 Her identity as a leader became stronger.
- justify (정당화하다)
- He tried to justify his actions but failed.
(그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 Nothing can justify cheating in a relationship.
(연애에서 바람을 피우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 He tried to justify his actions but failed.
- shirk (회피하다, 책임을 피하다)
- He shirked his responsibilities at work.
(그는 직장에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했다.) - Stop shirking and do your job!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네 일을 해!)
- He shirked his responsibilities at work.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은 책임 회피(responsibility avoidance) 의 현실적인 예를 보여준다.
- 인간은 자아 보호(self-preservation) 본능이 있어서, 자신의 역할이 위협받으면 이를 방어하려 한다.
- 순간적인 자기 방어로 인해 책임을 인정하기보다 핑계를 대는 경향 이 있다.
-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책임을 인정하고 행동을 바꾸는 것이 심리적으로 더 건강한 해결책 이다.
결론
이러한 행동 패턴을 반복하는 것은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 과거의 잘못을 들추기보다는, 미래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순간적으로 자신을 방어하려 하기보다는, 책임을 인정하고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진정한 화해는 자기 정당화가 아니라, 공감과 신뢰 회복을 위한 대화 에서 시작된다.
13단락
That same inclination can emerge when the transgression is more serious. An offending relationship partner might try to justify financial abuse by pointing out their partner’s shopping habit; or they might try to excuse their infidelity by blaming a lack of romantic attention. These are not equivalent harms—but remember equity is not the goal, reducing blame is.
이와 같은 경향(inclination) 은 더 심각한 잘못을 저질렀을 때도 나타날 수 있다. 가령, 상대방이 쇼핑을 자주 한다는 점을 들어 경제적 학대(financial abuse) 를 정당화하려 하거나, 상대방이 로맨틱한 관심을 덜 준다는 이유로 불륜(infidelity) 을 변명하려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결코 동등한 잘못이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공정성(equity) 이 아니라, 책임을 줄이는 것(reducing blame) 이다.
단어 정리
- inclination (경향, 성향)
- She has an inclination to avoid conflicts.
(그녀는 갈등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 He showed a strong inclination toward leadership.
(그는 리더십에 대한 강한 성향을 보였다.)
- She has an inclination to avoid conflicts.
- transgression (위반, 죄)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바람을 피우는 것은 관계에서 심각한 위반으로 간주된다.) - The company faced penalties for its transgressions against labor laws.
(그 회사는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았다.)
- Cheating is considered a serious transgression in a relationship.
- justify (정당화하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그는 교통체증을 탓하며 지각을 정당화하려 했다.) - Nothing can justify such violent behavior.
(어떤 것도 그런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할 수 없다.)
- He tried to justify his lateness by blaming traffic.
- financial abuse (경제적 학대)
- Controlling a partner’s finances without consent is a form of financial abuse.
(배우자의 재정을 동의 없이 통제하는 것은 경제적 학대의 한 형태이다.) - Financial abuse often occurs in toxic relationships.
(경제적 학대는 유독한 관계에서 자주 발생한다.)
- Controlling a partner’s finances without consent is a form of financial abuse.
- infidelity (배신, 불륜)
- Infidelity can severely damage a relationship.
(불륜은 관계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 - He struggled to rebuild trust after his infidelity.
(그는 불륜 이후 신뢰를 회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Infidelity can severely damage a relationship.
- equity (공정성, 형평성)
- Equity means treating people according to their needs.
(공정성이란 사람들을 그들의 필요에 맞게 대하는 것이다.) -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quality and equity.
(평등과 공정성은 다르다.)
- Equity means treating people according to their needs.
- reduce blame (책임을 줄이다, 비난을 피하다)
- He tried to reduce blame by blaming his partner.
(그는 자신의 잘못을 줄이기 위해 상대방을 탓하려 했다.) - Some people reduce blame by justifying their actions.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함으로써 비난을 줄인다.)
- He tried to reduce blame by blaming his partner.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은 책임 전가(blame-shifting) 의 대표적인 예시다.
-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을 축소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상대방의 잘못을 강조 한다.
- 이는 비합리적 비교(irrational comparison) 로, 심리학적으로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 의 하나로 볼 수 있다.
- 특히, 의도적으로 피해자의 행동을 문제 삼아, 본인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패턴 을 보인다.
이러한 패턴이 지속되면 관계의 불균형(relationship imbalance) 이 심화되며, 신뢰가 더욱 깨질 수 있다.
14단락
Put simply, they may be trying to delude themselves just as much as they are trying to convince you.
간단히 말해, 그들은 당신을 설득하려는 것만큼이나 스스로를 속이려(delude themselves) 할 수도 있다.
단어 정리
- put simply (간단히 말해)
- Put simply, we need to change our approach.
(간단히 말해, 우리는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 - Put simply, he made a mistake.
(간단히 말하면, 그는 실수를 했다.)
- Put simply, we need to change our approach.
- delude oneself (자기 자신을 속이다)
- He deluded himself into thinking she still loved him.
(그는 그녀가 아직도 자신을 사랑한다고 착각했다.) - Don’t delude yourself; the situation is serious.
(자기 자신을 속이지 마, 상황이 심각해.)
- He deluded himself into thinking she still loved him.
- convince (설득하다)
- He convinced me to stay.
(그는 나를 설득해서 머물게 했다.) - She convinced herself that she was right.
(그녀는 자신이 옳다고 스스로를 설득했다.)
- He convinced me to stay.
심리학적 배경
이 문장은 자기 기만(self-deception) 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 사람들은 때때로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면서 진짜 사실을 외면 하려 한다.
- 이는 자신의 도덕적 정체성(moral identity) 을 유지하기 위한 심리적 방어 기제다.
- 연구에 따르면, 자기 기만은 일시적으로 죄책감을 줄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소 가 된다.
15단락
The consequences of pointing at the scoreboard
Although keeping score in a relationship may be functional for offenders to avoid feelings of negativity, our research shows that it undermines conflict resolution and potentially jeopardizes your relationship.
관계에서 점수를 매기는 것(keeping score) 은 가해자가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는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을 방해하며, 궁극적으로 관계를 jeopardizes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단어 정리
- point at the scoreboard (점수를 매기다, 상대방의 잘못을 들추다)
- Stop pointing at the scoreboard and focus on fixing the problem.
(점수 매기는 것 그만하고 문제 해결에 집중해.) - Relationships are not competitions; don’t point at the scoreboard.
(연애는 경쟁이 아니야, 점수 매기지 마.)
- Stop pointing at the scoreboard and focus on fixing the problem.
- functional (기능적인, 실용적인)
- This design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highly functional.
(이 디자인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매우 실용적이다.) - The new system is more functional than the old one.
(새로운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더 기능적이다.)
- This design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highly functional.
- undermine (약화시키다, 손상시키다)
- Constant criticism can undermine a person’s confidence.
(끊임없는 비판은 사람의 자신감을 약화시킬 수 있다.) - His actions undermined the team’s morale.
(그의 행동은 팀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 Constant criticism can undermine a person’s confidence.
- conflict resolution (갈등 해결)
- Effective communication is key to conflict resolution.
(효과적인 소통이 갈등 해결의 핵심이다.) - The couple attended a conflict resolution workshop.
(그 부부는 갈등 해결 워크숍에 참석했다.)
- Effective communication is key to conflict resolution.
- jeopardize (위태롭게 하다)
- His reckless behavior jeopardized their relationship.
(그의 무모한 행동이 그들의 관계를 위태롭게 했다.) - Failing to meet deadlines can jeopardize your job.
(마감일을 맞추지 못하면 직장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 His reckless behavior jeopardized their relationship.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에서는 관계에서 점수를 매기는 행동(keeping score) 의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한다.
- 심리학적으로, 갈등 해결은 과거의 잘못을 들추는 것보다는 미래 지향적인 대화 가 필요하다.
- 관계에서 점수를 매기는 것은 보복 심리(retaliation mindset) 를 강화하여 신뢰를 손상시킨다.
- 연구에 따르면, "너도 잘못했잖아"라는 논리는 감정을 더 격화시킬 뿐, 문제 해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16단락
In recent research with Michael Thai and colleagues (Thai et al., 2024), we conducted four studies (total of 1037 respondents) examining the relational consequences that follow when offending relationship partners recall the past to justify their transgressions.
Michael Thai와 동료 연구진(Thai et al., 2024)의 최근 연구에서, 우리는 연인 관계에서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하는 것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하는 4개의 연구(총 1,037명 응답)를 수행했다.
단어 정리
- conduct a study (연구를 수행하다)
- The university conducted a study on mental health.
(그 대학은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 They conducted a study on relationship dynamics.
(그들은 연인 관계의 역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 The university conducted a study on mental health.
- examine (조사하다, 분석하다)
-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stress on memory.
(연구자들은 스트레스가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 We need to examine the reasons behind this failure.
(우리는 이 실패의 원인을 조사해야 한다.)
-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stress on memory.
- relational consequences (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y studied the relational consequences of dishonesty.
(그들은 거짓말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 Conflict can have serious relational consequences.
(갈등은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They studied the relational consequences of dishonesty.
- justify transgressions (잘못을 정당화하다)
- He justified his transgressions by blaming his partner.
(그는 자신의 잘못을 상대방 탓으로 돌리며 정당화했다.) - Justifying transgressions only worsens relationships.
(잘못을 정당화하는 것은 관계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 He justified his transgressions by blaming his partner.
심리학적 배경
이 연구는 인지적 자기 방어(cognitive self-defense) 와 관련이 있다.
-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은 죄책감을 줄이는 전략 이다.
- 하지만 연구 결과, 이러한 행동은 연인 간의 감정적 거리(emotional distance) 를 증가시키고 화해 가능성(reconciliation likelihood) 을 낮춘다.
17단락
Studies 1-2 asked participants to report their feelings about real transgressions they committed against their current romantic partner, and whether they had thought about their partner’s past wrongdoings during the conflict. Studies 3-4 used role-playing scenarios asking participants to imagine committing an indiscretion against their partner, and experimentally tested whether asking them to recall past victimizations (or not) would change their responses.
연구 1과 2에서는 참가자들에게 현재 연인에게 저지른 실제 잘못(real transgressions) 에 대해 보고하도록 하였으며,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의 과거 잘못을 떠올렸는지 를 조사했다. 연구 3과 4에서는 역할극(role-playing scenarios) 을 활용하여 참가자들이 연인에게 실수를 저지른 상황을 상상하게 한 뒤, 과거의 피해 경험을 회상하도록 했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의 반응 차이 를 실험적으로 분석했다.
단어 정리
- report (보고하다, 진술하다)
- She reported the incident to the police.
(그녀는 그 사건을 경찰에 신고했다.) - Participants reported their feelings after the experiment.
(참가자들은 실험 후 자신의 감정을 보고했다.)
- She reported the incident to the police.
- transgression (위반, 죄)
- He admitted his transgressions and apologized.
(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 Serious transgressions can lead to breakups.
(심각한 잘못은 이별로 이어질 수 있다.)
- He admitted his transgressions and apologized.
- current romantic partner (현재 연인)
- She is happy with her current romantic partner.
(그녀는 현재 연인과 행복하다.) - Many people compare their current romantic partner to past ones.
(많은 사람들은 현재 연인을 과거 연인과 비교한다.)
- She is happy with her current romantic partner.
- role-playing scenarios (역할극 시나리오)
- The training included role-playing scenarios to practice negotiation skills.
(그 훈련에는 협상 기술을 연습하기 위한 역할극이 포함되어 있었다.) - Role-playing scenarios help researchers understand behavior.
(역할극 시나리오는 연구자들이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The training included role-playing scenarios to practice negotiation skills.
- commit an indiscretion (부주의한 행동을 하다, 경솔한 실수를 저지르다)
- He regretted committing an indiscretion at the party.
(그는 파티에서 경솔한 행동을 한 것을 후회했다.) - Committing an indiscretion can damage trust in a relationship.
(경솔한 행동은 관계에서 신뢰를 손상시킬 수 있다.)
- He regretted committing an indiscretion at the party.
- recall past victimizations (과거의 피해 경험을 떠올리다)
- He recalled past victimizations to justify his actions.
(그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 피해 경험을 떠올렸다.) - Recalling past victimizations can make conflicts worse.
(과거 피해 경험을 떠올리는 것은 갈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 He recalled past victimizations to justify his actions.
심리학적 배경
이 연구는 "과거의 잘못을 회상하는 것이 현재의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했다.
- 연구 결과, 과거 피해 경험을 떠올린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가해 행동을 더 쉽게 정당화 했다.
- 또한, 자신이 피해자(victim) 라고 느낄수록 가해자(offender) 로서의 책임을 덜 느끼고, 사과할 가능성이 낮아졌다.
즉, 연애 갈등에서 과거 잘못을 반복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화해보다는 감정적 거리(emotional distance)를 증가시키는 경향 이 있다.
18단락
Across all four studies, we found that recollections of past victimization led offending relationship partners to see themselves as more of a victim (and less of an offender). In other words, recalling the past helped offenders blur the lines between offender and victim roles. Moreover, this led to greater pseudo self-forgiveness, reduced feelings of guilt, less empathy for their partner, and less willingness to reconcile.
네 가지 연구 결과, 과거 피해 경험을 회상한 가해자들은 자신을 피해자로 여기고, 가해자로서의 책임을 덜 느끼는 경향 이 있었다. 즉, 과거를 떠올리는 것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를 흐리게(blurring the lines) 만드는 역할을 했다. 또한, 이 과정은 의사-자기 용서(pseudo self-forgiveness) 를 증가시키고, 죄책감을 감소시키며, 상대방에 대한 공감(empathy) 과 화해 의지(reconciliation willingness) 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했다.
단어 정리
- recollection (회상, 기억)
- His recollections of childhood were mostly happy.
(그의 어린 시절 기억은 대부분 행복했다.) - The recollection of past mistakes made her anxious.
(과거 실수를 떠올리는 것은 그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 His recollections of childhood were mostly happy.
- blur the lines (경계를 흐리다)
- The new policy blurs the lines between employees and managers.
(새 정책은 직원과 관리자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 The argument blurred the lines between right and wrong.
(그 논쟁은 옳고 그름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었다.)
- The new policy blurs the lines between employees and managers.
- pseudo self-forgiveness (의사-자기 용서, 진정한 반성이 없는 자기 용서)
- Pseudo self-forgiveness prevents real growth.
(의사-자기 용서는 진정한 성장을 방해한다.) - True self-forgiveness involves taking responsibility, not making excuses.
(진정한 자기 용서는 변명이 아니라 책임을 지는 것이다.)
- Pseudo self-forgiveness prevents real growth.
- reduce feelings of guilt (죄책감을 줄이다)
- He tried to reduce feelings of guilt by blaming his partner.
(그는 상대방을 탓하며 죄책감을 줄이려 했다.) - Apologizing sincerely can help reduce feelings of guilt.
(진심 어린 사과는 죄책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He tried to reduce feelings of guilt by blaming his partner.
- less empathy (공감 감소)
- Stress can lead to less empathy toward others.
(스트레스는 타인에 대한 공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eople who focus on their own pain may have less empathy for others.
(자신의 고통에 집중하는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공감이 줄어들 수 있다.)
- Stress can lead to less empathy toward others.
- less willingness to reconcile (화해 의지 감소)
- Anger often results in less willingness to reconcile.
(분노는 종종 화해 의지를 감소시킨다.) - Understanding each other’s perspectives increases willingness to reconcile.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면 화해 의지가 증가한다.)
- Anger often results in less willingness to reconcile.
심리학적 배경
이 연구는 자아 보호(self-preservation)와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를 설명하는 중요한 실험이다.
- 가해자가 자신을 피해자로 인식하면 자기 정당화(self-justification) 가 강해지고,
- 이에 따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responsibility)을 줄이려는 경향 이 증가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 과거의 잘못을 반복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갈등 해결을 방해한다.
✔ 상대방에 대한 공감 감소(empathy reduction) 는 관계 회복을 어렵게 만든다.
✔ 해결책은 과거가 아닌 미래에 집중하는 것 이다.
Is your partner justifying their misdeeds by recalling yours?
Is your partner justifying their misdeeds by recalling yours?
당신의 연인은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하기 위해 당신의 과거 실수를 떠올리고 있는가?
단어 정리
- justify misdeeds (잘못을 정당화하다)
- He tried to justify his misdeeds by blaming others.
(그는 자신의 잘못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며 정당화하려 했다.) - Justifying misdeeds only delays real accountability.
(잘못을 정당화하는 것은 실제 책임을 지는 것을 지연시킬 뿐이다.)
- He tried to justify his misdeeds by blaming others.
- recall (떠올리다, 회상하다)
- She recalled their last conversation with regret.
(그녀는 그들과의 마지막 대화를 후회하며 떠올렸다.) - He recalled childhood memories during the trip.
(그는 여행 중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렸다.)
- She recalled their last conversation with regret.
심리학적 배경
이 질문은 관계에서 점수를 매기는 행동(keeping score) 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스스로 점검해 보도록 유도한다.
- 연구에 따르면, 갈등을 해결하는 가장 건강한 방법은 현재와 미래에 집중하는 것 이다.
- 과거의 잘못을 들추는 것은 신뢰(trust)와 정서적 안정(emotional security)을 해칠 가능성이 크다.
20단락
Focus on the future to recover what was lost in the past
History can provide useful context; but using it to play the blame game can make things worse. The problem with evoking past (particularly irrelevant) offenses is that most couples will disagree on the “truth” of that history.
과거의 사건들은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맥락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비난 게임(blame game) 으로 이용하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과거(특히 무관한) 잘못을 끄집어내는 문제는 대부분의 연인이 그 과거에 대한 '진실(truth)' 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 이다.
- focus on the future (미래에 집중하다)
- Instead of dwelling on mistakes, focus on the future.
(실수에 집착하지 말고 미래에 집중해라.) - A healthy relationship focuses on the future, not the past.
(건강한 관계는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집중한다.)
- Instead of dwelling on mistakes, focus on the future.
- recover what was lost (잃어버린 것을 회복하다)
- They worked hard to recover what was lost in their relationship.
(그들은 관계에서 잃어버린 것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 Trust takes time to recover once it is lost.
(한번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 They worked hard to recover what was lost in their relationship.
- blame game (책임 전가, 남 탓하기)
- The blame game won’t solve our problems.
(책임 전가는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 They kept playing the blame game instead of working together.
(그들은 함께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계속 서로를 비난했다.)
- The blame game won’t solve our problems.
- irrelevant offense (무관한 잘못)
- Bringing up irrelevant offenses only fuels conflict.
(무관한 잘못을 들추는 것은 갈등을 더 심화시킬 뿐이다.) - Let’s not focus on irrelevant offenses from years ago.
(오래 전의 무관한 잘못에 집중하지 말자.)
- Bringing up irrelevant offenses only fuels conflict.
과거를 반복적으로 떠올리며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은 인지 왜곡(cognitive distortion) 의 한 형태다.
- 연구에 따르면, 갈등을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초점을 맞추는 것 이다.
- 서로의 잘못을 비교하기보다는, 어떻게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갈지 고민하는 것이 더 생산적 이다.
21단락
How someone feels in a relationship is subjective, often biased in hindsight, and feelings are not often communicated clearly to their partner.
Although we try not to sweat the small stuff, sometimes repressed frustration floods back when we are defending our moral standing.
연애에서 사람이 느끼는 감정은 주관적(subjective) 이며, 종종 후견적 편향(hindsight bias, 뒤늦은 해석) 에 의해 왜곡된다. 또한, 많은 경우 감정이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우리는 사소한 일에 연연하지 않으려 하지만, 억눌린 좌절감(repressed frustration) 은 때때로 자신의 도덕적 입장을 방어하려 할 때 폭발적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 subjective (주관적인)
- Beauty is subjective.
(아름다움은 주관적인 것이다.) - People’s memories are often subjective.
(사람들의 기억은 종종 주관적이다.)
- Beauty is subjective.
- hindsight bias (후견적 편향, 사후 해석 오류)
- Hindsight bias makes people believe they predicted events correctly.
(후견적 편향은 사람들이 사건을 정확히 예측했다고 믿게 만든다.) - Looking back, hindsight bias makes everything seem obvious.
(뒤돌아보면, 후견적 편향 때문에 모든 것이 명백해 보인다.)
- Hindsight bias makes people believe they predicted events correctly.
- repressed frustration (억눌린 좌절감)
- Years of repressed frustration led to an emotional outburst.
(수년간 억눌린 좌절감이 감정 폭발로 이어졌다.) - Repressed frustration can cause resentment in relationships.
(억눌린 좌절감은 관계에서 원한을 키울 수 있다.)
- Years of repressed frustration led to an emotional outburst.
- defend moral standing (도덕적 입장을 방어하다)
- He felt the need to defend his moral standing.
(그는 자신의 도덕적 입장을 방어할 필요를 느꼈다.) - People often defend their moral standing even when they are wrong.
(사람들은 자신이 틀렸을 때조차 도덕적 입장을 방어하려 한다.)
- He felt the need to defend his moral standing.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에서는 기억 왜곡(memory distortion)과 감정 억압(emotional suppression) 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 과거를 떠올릴 때, 우리는 후견적 편향 때문에 자신이 옳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 또한, 억눌린 감정 은 나중에 더 강하게 표출되며,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즉시 해결하려는 노력이 관계의 질을 높인다.
결론
✔ 과거를 반복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문제 해결의 핵심은 미래 지향적(future-oriented) 태도 이다.
✔ 감정을 억누르지 말고 즉시 소통하는 것이 건강한 관계 유지의 핵심 이다.
22단락
Instead, couples may find it more productive to focus on the future.
In situations where relationships are the priority, research shows that constructive co-reflection—working toward a shared understanding and meaning— is more effective than brooding over one’s own perspective.
대신, 연인들은 미래에 집중하는 것이 더 생산적일 수 있다.
관계를 우선순위로 삼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연구에 따르면 건설적인 공동 반추(constructive co-reflection), 즉 상호 이해와 의미를 함께 구축하는 방식 이 개인적인 시각에만 brooding over 집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단어 정리
- productive (생산적인, 효과적인)
- Having an open discussion is more productive than arguing.
(열린 토론을 하는 것이 말다툼하는 것보다 더 생산적이다.) - She had a very productive day at work.
(그녀는 직장에서 매우 생산적인 하루를 보냈다.)
- Having an open discussion is more productive than arguing.
- constructive co-reflection (건설적인 공동 반추, 함께 고민하며 해결책을 찾는 과정)
- Constructive co-reflection helps couples understand each other.
(건설적인 공동 반추는 연인들이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Instead of arguing, they engaged in constructive co-reflection.
(그들은 다투는 대신 건설적인 공동 반추를 했다.)
- Constructive co-reflection helps couples understand each other.
- brooding over (곱씹다, 계속 생각하다)
- Brooding over past mistakes won’t help you move forward.
(과거의 실수를 곱씹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He spent the whole night brooding over her words.
(그는 그녀의 말을 곱씹으며 밤을 새웠다.)
- Brooding over past mistakes won’t help you move forward.
- shared understanding (공유된 이해, 상호 이해)
- A shared understanding strengthens relationships.
(상호 이해는 관계를 더욱 강화시킨다.) - They reached a shared understanding about their future.
(그들은 미래에 대한 상호 이해를 이루었다.)
- A shared understanding strengthens relationships.
심리학적 배경
이 단락에서는 공동 문제 해결(collaborative problem-solving) 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연구에 따르면, 한쪽의 관점만 고집하기보다는 서로의 시각을 공유하는 것이 갈등 해결에 더 효과적 이다.
-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핵심 요소 는 "내가 옳다" 가 아니라 "우리는 어떻게 함께 나아갈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23단락
Couples are also more likely to reach forgiveness if they work to reaffirm the values on which their relationship is based, attempting to find agreement on what is required for a shared future together.
연인들은 또한, 그들의 관계가 기반하고 있는 가치(values)를 다시 확인하고, 함께하는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합의하려 할 때, 화해(forgiveness)에 이를 가능성이 더 높다.
단어 정리
- reach forgiveness (화해하다, 용서에 도달하다)
- It takes time to reach forgiveness after betrayal.
(배신 후 화해에 이르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 They finally reached forgiveness after months of talking.
(그들은 몇 달간의 대화 끝에 마침내 화해했다.)
- It takes time to reach forgiveness after betrayal.
- reaffirm values (가치를 재확인하다)
- They reaffirmed their values and commitment to each other.
(그들은 서로의 가치와 헌신을 다시 확인했다.) - Reaffirming values strengthens a relationship.
(가치를 재확인하는 것은 관계를 강화한다.)
- They reaffirmed their values and commitment to each other.
-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
- They talked about their shared future and dreams.
(그들은 함께하는 미래와 꿈에 대해 이야기했다.) - Planning for a shared future requires compromise.
(함께하는 미래를 계획하려면 타협이 필요하다.)
- They talked about their shared future and dreams.
심리학적 배경
연구에 따르면, 연인들이 관계의 근본적인 가치를 다시 확인할 때 화해 가능성이 높아진다.
✔ 즉, 과거를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를 고민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관계의 장기적인 목표를 공유하는 커플이 더 행복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24단락
For a defensive offender, this forward orientation focuses attention on what they can do to show that they are indeed a good relationship partner, rather than taking account of relationship failures.
방어적인 가해자(defensive offender) 에게 미래 지향적 사고(forward orientation)는 관계에서 실패했던 점을 되돌아보기보다, 어떻게 하면 좋은 연인이 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방향으로 집중하게 만든다.
단어 정리
- defensive offender (방어적인 가해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람)
- Defensive offenders struggle to accept responsibility.
(방어적인 가해자들은 책임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She tried to talk to him, but he became a defensive offender.
(그녀는 그와 대화하려 했지만, 그는 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 Defensive offenders struggle to accept responsibility.
- forward orientation (미래 지향적 사고)
- A forward orientation helps in solving conflicts.
(미래 지향적 사고는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된다.) - Forward-oriented couples tend to be more resilient.
(미래 지향적인 연인들은 더 회복력이 강한 경향이 있다.)
- A forward orientation helps in solving conflicts.
- taking account of (~을 고려하다)
- Taking account of each other’s feelings is essential in a relationship.
(서로의 감정을 고려하는 것은 관계에서 필수적이다.) - The company is taking account of customer feedback.
(그 회사는 고객 피드백을 고려하고 있다.)
- Taking account of each other’s feelings is essential in a relationship.
심리학적 배경
✔ 방어적인 태도(defensiveness) 는 갈등을 악화시킨다.
✔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가해자는 관계를 더욱 위태롭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 해결책은 과거 실수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 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25단락
After all, keeping score is only useful when you are in a competition.
결국, 점수를 매기는 것은 경쟁 상황에서나 유용한 것이다.
✔ 연애는 경쟁이 아니다.
✔ 과거를 비교하며 승패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결론
1️⃣ 과거 실수를 들추며 점수를 매기는 것은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다.
2️⃣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누가 더 잘했나"가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함께 성장할 것인가"이다.
3️⃣ 미래 지향적 사고가 건강한 관계 유지의 핵심이다.
💡 과거가 아닌 미래를 바라보며, 함께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