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기술

tech001; ‘It’s a Moral Imperative:’ Archivists Made a Directory of 5,000 Coronavirus Studies to Bypass Paywalls

by jellyjello 2025. 5. 17.

https://www.vice.com/en/article/archivists-are-bypassing-paywalls-to-share-studies-about-coronaviruses/

 

'It’s a Moral Imperative:' Archivists Made a Directory of 5,000 Coronavirus Studies to Bypass Paywalls

The potentially illegal archive is a 'moral imperative,' said one organizer.

www.vice.com

 

 

 

A group of online archivists have created an open-access directory of over 5,000 scientific studies about coronaviruses that anyone can browse and download without encountering a paywall.
The directory is hosted on The-Eye, a massive online archiving project run by a Reddit user named “-Archivist.”

온라인 아카이브 활동가 그룹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5,0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픈 액세스 디렉토리를 만들었다.
이 디렉토리는 Reddit 사용자 ‘-Archivist’가 운영하는 대형 온라인 아카이빙 프로젝트 The-Eye에 호스팅되어 있다.

단어/표현뜻예문
online archivists 온라인 기록 보관자, 디지털 아카이브 활동가 Online archivists preserve digital history.
open-access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오픈 액세스의 Open-access journals allow free reading.
directory 디렉토리, 목록집 The website has a directory of resources.
scientific studies 과학 논문들 Scientific studies support this conclusion.
browse 훑어보다, 탐색하다 You can browse the archive online.
download 다운로드하다 You can download files for free.
paywall 유료 장벽 (구독이나 결제 없이 접근 불가한 시스템) The article is behind a paywall.
hosted 호스팅되다, 저장되다 The file is hosted on the server.
archiving project 아카이브 프로젝트, 자료 저장 활동 They launched a public archiving project.
Reddit user Reddit 사용자 A Reddit user shared the document.
 

📘 [정보 비대칭과 지식의 공공성]

  •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신속하고 광범위한 정보 접근은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자원이 됩니다.
  • 그러나 주요 과학 연구는 종종 고비용 유료 벽(paywall) 뒤에 숨겨져 있어, 일반 대중이나 저소득 국가의 연구자들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 이런 정보 비대칭은 특히 공중보건 영역에서 윤리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 [디지털 아카이브 운동과 '공유 윤리']

  • ‘The-Eye’와 같은 디지털 저장소는 ‘정보의 자유’와 ‘기록의 민주화’를 추구하는 **디지털 공유 운동(digital commons movement)**의 일환입니다.
  • Reddit, Sci-Hub, Internet Archive 등은 모두 공공재로서의 지식을 지향하며, 법적 경계를 넘나들며 **사회적 도덕성(moral imperative)**을 주장합니다.

📘 [심리학적 개념: 도덕 정당화 (Moral Justification)]

  • 이 사례는 **행위의 위법성(저작권 침해)**을 ‘인류 보건을 위한 정당한 행동’으로 정당화하는 심리적 프레임을 보여줍니다.
  • Bandura(1991)는 도덕 정당화를 **“불법 또는 규범 위반 행동을 자기합리화하는 인지 전략”**으로 설명하며, 이는 개인이나 집단이 규범을 위반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해줍니다.
  • 특히 공공선(public good)에 관련된 주제일수록 사람들은 규범보다 윤리적 직관에 의존해 행동을 선택합니다.

🔹 1문단 심리학·사회적 해설 보강

1. 정보 비대칭 (Information Asymmetry)

  • 정의:
    어떤 주체는 중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지만, 다른 주체는 그렇지 못한 상황.
    특히 건강, 금융, 교육 등 공공에 영향을 주는 정보에서 큰 문제가 됩니다.
  • 본문 맥락에서의 의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핵심 연구 결과들이 학술지 구독 비용이나 논문당 유료 결제 비용 때문에 개발도상국 의사·연구자는 접근이 어려운 반면, 부유한 대학이나 연구소는 쉽게 접근 가능함.
  • 구체 사례:
    •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 라이베리아 의사가 논문 하나를 열람하는 데 **45달러(일주일 급여 수준)**가 들었고, 필요한 정보조차 접근하지 못함.
    • 의료 기술 정보가 제약회사에 의해 독점되어 COVID-19 백신의 제조 및 보급이 지연됨.

2. 공공재로서의 지식 (Knowledge as a Public Good)

  • 정의:
    모든 사람이 소비해도 줄어들지 않고, 누구도 접근에서 배제되어선 안 되는 비경합적·비배제적 자원.
    지식, 정보, 공기, 햇빛 등이 대표적입니다.
  • 본문 맥락에서의 의미:
    바이러스와 같은 인류 보건 위협 상황에서 과학 지식은 국가와 계층을 불문하고 누구나 접근 가능해야 하며, 지식은 인류 공동체가 공유해야 할 자산이라는 주장.
  • 구체 사례:
    • WHO의 글로벌 백신 플랫폼 "COVAX"는 백신을 공공재로 선언하고 국가 간 공유를 시도함.
    • MIT, PLOS 등의 일부 학술지들은 ‘오픈 액세스 운동’에 따라 과학 지식을 유료 장벽 없이 공유.

3. 디지털 공유 운동 (Digital Commons Movement)

  • 정의:
    사적 기업이나 정부에 독점되지 않는, 누구나 접근하고 기여할 수 있는 디지털 자원을 만들어가려는 시민 주도 운동.
  • 본문 맥락에서의 의미:
    Reddit의 “-Archivist”나 “The-Eye”, Sci-Hub 같은 플랫폼은 사적 기관이 독점하고 있는 정보에 대항하거나 우회하여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끔 아카이빙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구체 사례:
    • Sci-Hub: 78백만 개 이상의 논문을 무료로 공유하는 ‘해적 과학 도서관’.
    • Internet Archive: 절판된 책, 미디어, 웹사이트 기록을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무료 제공.
    • Wikipedia: 누구나 기여하고 열람 가능한 글로벌 지식 백과사전.

4. 도덕 정당화 (Moral Justification)

  • 정의 (Bandura, 1991):
    규범적으로 불법이거나 비윤리적일 수 있는 행동을 “더 큰 목적”이나 “공익”을 위한 것으로 해석함으로써, 죄책감 없이 행동하는 심리적 정당화 방식.
  • 본문 맥락에서의 의미:
    Sci-Hub나 The-Eye 활동가들은 자신들의 행위가 불법임을 인지하지만, ‘공공의 건강을 위한 것’이라는 도덕적 당위로 자신을 정당화하고 있음.
  • 구체 사례:
    • 에드워드 스노든: 미국 NSA의 불법 감시 프로그램을 폭로하며, 이는 ‘사적 이익 침해’가 아닌 ‘공공의 알 권리 보장’이라 주장.
    • 환경운동가의 시위 파괴 행위: 법적으론 범죄지만, ‘지구 보호’라는 목적 아래 행동을 정당화함.

5. 공공선 중심 윤리 (Public Good-Oriented Morality)

  • 정의: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이해보다, 전체 사회나 인류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
  • 본문 맥락에서의 의미:
    Reddit 사용자들은 자신이 처벌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한 지식 공유라는 더 큰 윤리적 가치를 선택하고 있음.
  • 구체 사례:
    • 코로나19 백신 기술을 개발한 후, 일부 과학자들이 특허 포기를 주장하며 "백신은 공공재"라고 선언한 움직임.
    • 개발도상국에 약가를 낮춰 공급하거나 로열티를 포기하는 제약회사들.

🔹 2문단

Last week,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a global health emergency amid the spread of the novel coronavirus beyond China, where it originated, into roughly two dozen countries so far.
The organizers of the archive see their project as a resource for scientists and non-scientists alike to study the virus.

지난주,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지인 중국을 넘어 약 20여 개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 아카이브의 조직자들은 해당 프로젝트를 과학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바이러스를 연구할 수 있는 자원으로 보고 있다.

단어/표현뜻예문
declare 선언하다, 발표하다 WHO declared a health emergency.
global health emergency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 The outbreak triggered a global health emergency.
amid ~가운데에, ~하는 중에 Amid fears of the virus, markets dropped.
spread 확산, 전파 The virus spread quickly.
originate 발생하다, 시작되다 The virus originated in China.
roughly 대략, 약 Roughly 25 countries reported cases.
archive 아카이브, 자료 저장소 The archive contains 5,000 studies.
resource 자원, 자료 This site is a helpful resource.
alike ~도, 모두 Scientists and non-scientists alike use it.
 

Global Risk Perception (전 지구적 위험 인식)

  • Definition (정의):
    How individuals or societies perceive the severity and proximity of risks that affect large populations or cross borders.
    (개인이나 사회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국경을 넘는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인식하는지를 말함.)
  • Contextual Application (본문 적용):
    The declaration of a global health emergency by WHO not only marks a formal institutional response but also heightens public psychological awareness of the threat.
    (WHO의 비상사태 선포는 단지 행정 조치일 뿐 아니라, 대중의 심리적 경계 수준을 크게 끌어올리는 역할을 함.)
  • Example (사례):
    • After WHO declared Zika virus a global health emergency in 2016, news coverage and online searches spiked, showing the rise in perceived risk.
      (2016년 지카 바이러스 비상사태 선포 후 뉴스·검색량 급증 → 위험 인식이 급상승한 예)

Scientific Literacy and Public Empowerment (과학 소양과 대중의 역량 강화)

  • Definition (정의):
    Scientific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and processes, empowering them to make informed decisions.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 개념과 과정을 이해하는 능력으로, 대중이 정보 기반의 판단을 내릴 수 있게 함.)
  • Contextual Application (본문 적용):
    The archive is not only for scientists but also for non-scientists, reflecting a democratization of access to data and empowerment through knowledge.
    (이 아카이브는 과학자뿐 아니라 일반인을 위한 것이며, 이는 데이터 접근의 민주화와 지식을 통한 역량 강화를 의미함.)
  • Example (사례):
    • During the early COVID-19 phase, public access to virus data dashboards (e.g., Johns Hopkins Tracker) increased community-level preparedness.
      (존스홉킨스 실시간 데이터 대시보드 → 일반 시민도 데이터 이해, 방역 참여 가능해짐)

Collective Coping and Information Seeking (집단적 대처와 정보 추구 행동)

  • Definition (정의):
    In times of crisis, people turn to shared resources and communities to manage uncertainty and reduce fear.
    (위기 상황에서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공포를 줄이기 위해 공동 자원과 커뮤니티에 의존함.)
  • Contextual Application (본문 적용):
    The open-access archive functions as a collective coping mechanism, allowing people to face a global threat together with shared knowledge.
    (오픈 아카이브는 사람들이 ‘정보’를 매개로 함께 위기에 대응하는 집단적 대처 전략의 한 형태.)
  • Example (사례):
    • Reddit’s r/Coronavirus thread in early 2020 became a hub for mutual support and real-time learning, with scientists and laypeople contributing together.
      (레딧의 코로나 게시판: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정보를 나누고 위협에 대응한 사례)

🔹 3문단

“These articles were always written to be shared with as many people as possible,” Reddit user “shrine,” an organizer of the archive, said in a call.
“From every angle that you look at it, [paywalled research] is an immoral situation, and it’s an ongoing tragedy.”

“이 논문들은 원래 가능한 많은 사람들과 공유되도록 쓰여진 것들이었습니다,”라고 아카이브 조직자 중 한 명인 Reddit 사용자 “shrine”이 통화에서 말했다.
“어느 각도에서 보든 [유료 장벽(paywall) 아래 숨겨진 연구]은 비도덕적인 상황이며, 지속되고 있는 비극입니다.”

단어/표현뜻예문
be written to ~ ~하기 위해 작성되다 The article was written to inform the public.
share with ~와 공유하다 This guide was shared with all students.
as many people as possible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과 We want to reach as many people as possible.
from every angle 모든 관점에서, 어떤 각도에서 보더라도 From every angle, the decision seems wrong.
paywalled research 유료 장벽에 가로막힌 연구 Paywalled research limits accessibility.
immoral 비도덕적인 Hiding vital health data is immoral.
ongoing 지속적인, 계속되고 있는 This is an ongoing issue in science.
tragedy 비극 The lack of access to medicine is a tragedy.
 

4. 심리학·사회적 개념 해설

Moral Disengagement (도덕적 이탈)

  • Definition (정의):
    The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justify unethical behavior, often by minimizing harm or shifting blame.
    (사람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만드는 심리적 메커니즘.)
  • Application (본문 적용):
    “Paywalled research is immoral”이라는 발언은 과학출판 시스템이 지식을 제한하면서도 스스로는 ‘정당하다’고 여기는 도덕적 이탈 상태를 비판합니다.
    (과학자나 출판사는 공공에 필요한 정보를 봉쇄하면서, 이를 비윤리적이라 느끼지 않을 수 있음.)
  • Example (사례):
    • 대형 학술 출판사들이 “품질 관리”를 이유로 접근 제한을 유지하지만, 저소득 국가의 의사들이 생존 정보에 접근 못하는 상황.
    • 의약품 특허를 유지하기 위해 저개발국에 치료제 공급을 제한한 사례.

Moral Outrage (도덕적 분노)

  • Definition (정의):
    A strong emotional response to perceived moral violations, often involving anger and a call for justice.
    (도덕적 위반을 목격했을 때 느끼는 강한 분노와 정의에 대한 요구.)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의 표현(“immoral situation”, “ongoing tragedy”)은 도덕적 분노의 전형적 언어입니다. 그는 정보 봉쇄 자체를 ‘지속되고 있는 공공의 고통’으로 인식합니다.
  • Example (사례):
    • WikiLeaks, Edward Snowden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도덕적 분노는 법과 충돌하더라도 공익을 위해 폭로하게 만듭니다.
    • COVID-19 초기, 백신 정보가 비공개로 유지되자 SNS 상에서 ‘정보 공개하라’는 국제적 분노 촉발.

Information Justice (정보 정의)

  • Definition (정의):
    The ethical principle that access to knowledge and data should be equitably distributed and not restricted by economic or institutional barriers.
    (정보와 지식에 대한 접근은 경제적·제도적 장벽 없이 공평해야 한다는 윤리적 원칙.)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은 "이 논문들은 원래 공유되도록 쓰였다"고 말함으로써, 지식은 공유를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정보 정의의 관점을 강조합니다.
  • Example (사례):
    • UNESCO의 ‘Open Science’ 선언(2021): “과학은 공공재이며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COVID-19 관련 논문을 무료로 공개한 일부 출판사 (Springer, Nature 등)의 후속 대응.

🔹 4문단

In 2015, Liberian public health officials co-authored a New York Times op-ed that lamented the amount of critical Ebola research that was unknown or inaccessible to scientists and health workers at the center of the 2014 epidemic.
“Even today, downloading one of the papers would cost a physician here $45, about half a week’s salary,” the authors wrote.

2015년, 라이베리아 보건 당국자들은 뉴욕타임스에 공동 기고한 칼럼에서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 가장 중심에서 활동하던 과학자들과 보건 종사자들이 핵심 연구 자료에 접근하지 못했거나 존재조차 몰랐던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그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이곳 의사가 논문 하나를 다운로드하려면 45달러, 즉 일주일 급여의 절반이 필요하다”고 썼다.


public health officials 공중보건 당국자 Public health officials issued a warning.
co-author 공동 저자 They co-authored a scientific paper.
op-ed 기고 칼럼 (opposite the editorial page) She wrote an op-ed about climate change.
lament 안타까워하다, 탄식하다 They lamented the lack of access.
critical research 핵심 연구 Critical research was behind paywalls.
inaccessible 접근 불가능한 Many journals were inaccessible.
epidemic 전염병, 유행병 The Ebola epidemic spread rapidly.
salary 급여 His monthly salary is $500.
 

Structural Inequality (구조적 불평등)

  • Definition (정의):
    Systemic disparities in access, opportunity, or resources embedded in institutions and global systems.
    (제도와 구조 속에 내재된 자원, 기회, 접근성의 불균형.)
  • Application (본문 적용):
    라이베리아 의사들이 논문 하나를 보려면 일주일 급여 절반을 내야 한다는 사실은 지식 접근권이 경제적 지위에 따라 구조적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냅니다.
  • Example (사례):
    • 아프리카 연구자가 국제 학회에 참가하려면 비자·항공·등록비 등으로 월급 수십 배가 드는 경우.
    • 세계은행, IMF 등 글로벌 기구가 규정한 보건 기준이 현지의 접근 여건과 맞지 않아 실현 불가한 현실.

Knowledge Poverty (지식 빈곤)

  • Definition (정의):
    A condition where individuals or societies lack access to essential information, limiting their ability to act effectively.
    (핵심 정보에 접근하지 못해 실질적인 대응 능력이 제한된 상태.)
  • Application (본문 적용):
    현장에 있는 의사들이 치료법과 감염 경로를 설명하는 논문조차 볼 수 없다면, 그 사회는 구조적으로 지식 빈곤 상태에 놓인 것입니다.
  • Example (사례):
    • 농촌 지역의 교사가 최신 교육 커리큘럼이나 연구에 접근하지 못할 때 학생의 학습 기회가 줄어드는 것.
    • 팬데믹 초기에 WHO 가이드라인을 모르던 의료진들이 감염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사례.

Digital Divide in Scientific Publishing (과학 출판에서의 디지털 격차)

  • Definition (정의):
    The gap between those who can afford access to scientific journals and databases, and those who cannot.
    (과학 지식이 디지털화되었음에도, 여전히 접근 가능한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 사이의 격차.)
  • Application (본문 적용):
    디지털 아카이브가 존재하더라도, 고가의 유료 구독제를 유지하는 과학 출판 구조는 지식의 민주화를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 Example (사례):
    • Elsevier, Springer 등 주요 출판사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유료 논문 판매 시스템을 유지하는 반면, 일부 대학은 구독료 부담으로 계약을 중단.
    • 인도, 아프리카 대학들이 Sci-Hub 같은 플랫폼에 의존하는 현실.

🔹 5문단

Shrine, who is in his late 20s, said he was inspired to assemble the archive when, last week, he clicked on a new research article about the coronavirus and encountered a $39.95 paywall.
He and a few friends started to brainstorm solutions around paywalls like the one he had run into.

20대 후반인 shrine은, 지난주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새로운 연구 논문을 클릭했다가 **39.95달러의 유료 장벽(paywall)**에 가로막힌 경험을 한 후, 아카이브를 만들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몇몇 친구들과 함께 자신이 겪은 것처럼 유료 장벽을 넘을 수 있는 해결책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be in one's late 20s 20대 후반이다 She is in her late 20s.
be inspired to ~할 영감을 받다 He was inspired to start the project.
assemble 모으다, 조립하다 They assembled a collection of papers.
encounter (문제 등을) 마주치다, 경험하다 He encountered a $40 paywall.
paywall 유료 장벽 The article is behind a paywall.
brainstorm 브레인스토밍하다, 아이디어를 모으다 We brainstormed ideas to solve it.
run into (문제 등을) 겪다 I ran into a technical issue.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좌절-공격 가설)

  • Definition (정의):
    Frustration arises when a goal is blocked, often leading to aggression or reactive action.
    (어떤 목표 달성이 막혔을 때 생기는 좌절이 공격적 행동이나 행동적 반응으로 이어진다는 이론.)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이 논문 접근을 시도했다가 유료 장벽에 막혔을 때, 단순한 포기가 아닌 대안적 행동(아카이브 구축)을 선택한 것은 이 가설과 유사한 반응 패턴으로 볼 수 있습니다.
  • Example (사례):
    • 공공서비스에 접근이 막힌 시민들이 자발적 단체나 캠페인을 시작하는 경우.
    • 정부의 무대응에 분노한 사람들이 청원이나 정보 공개 운동을 벌이는 사례.

Problem-Focused Coping (문제 중심 대처 전략)

  • Definition (정의):
    A coping strategy that involves taking direct steps to address or eliminate a stressor.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 직접 해결하려는 행동 중심의 대처 방식.)
  • Application (본문 적용):
    단순히 불편함을 감정적으로 표출하는 대신, Shrine은 친구들과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문제 해결형 대응을 선택했습니다.
  • Example (사례):
    •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의 품질 문제를 느끼고 자체 학습 자료 플랫폼을 만들거나,
    • 개발자들이 사용료가 높은 소프트웨어의 오픈소스 버전을 만드는 활동.

Participatory Innovation (참여형 혁신)

  • Definition (정의):
    Innovation that emerges from grassroots, user-driven initiatives rather than top-down institutions.
    (정부나 기업이 아닌, 일반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에서 출발한 혁신.)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과 그의 친구들이 “시민-과학자”로서 주도한 정보 공유는, 기존의 출판사 시스템 외부에서 발생한 참여형 디지털 혁신입니다.
  • Example (사례):
    • Wikipedia: 전통 백과사전이 아닌 사용자 주도형 지식 플랫폼.
    • Ushahidi: 아프리카에서 시민들이 직접 재난 상황 정보를 수집한 지도화 프로젝트.

🔹 6문단

1. 영어 원문

They came up with the idea of searching for coronavirus-related papers on Sci-Hub, a free scientific research repository sometimes called “the Pirate Bay of science.”
Sci-Hub’s site says it provides free access to over 78 million research articles by downloading HTML and PDF pages off the web, in some cases bypassing paywalls.


2. 한글 번역

그들은 과학 논문 공유 사이트인 Sci-Hub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논문을 검색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Sci-Hub는 종종 ‘과학계의 해적베이(Pirate Bay)’라고 불리는 무료 과학 연구 저장소이다.
이 사이트는 웹에서 HTML과 PDF 형식으로 논문을 다운로드하여, 때로는 유료 장벽을 우회해 7,800만 편 이상의 논문에 무료 접근을 제공한다고 밝히고 있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come up with (생각·아이디어 등을) 떠올리다 They came up with a solution.
repository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This site is a scientific repository.
coronavirus-related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Coronavirus-related research is growing.
Pirate Bay of science 과학계의 해적베이 (불법 공유 플랫폼의 비유) Sci-Hub is called the Pirate Bay of science.
provide access 접근을 제공하다 This site provides access to free papers.
bypass paywalls 유료 장벽을 우회하다 Some tools can bypass paywalls.
in some cases 어떤 경우에는 In some cases, access is still restricted.
 

4. 심리학 및 사회적 개념 해설


Hacktivism (해크티비즘, 해킹+행동주의)

  • Definition (정의):
    The use of digital tools, especially hacking, for political or social activism.
    (정치적·사회적 목적을 위해 디지털 수단(특히 해킹)을 활용하는 행동주의.)
  • Application (본문 적용):
    Sci-Hub의 방식은 저작권을 회피하며 논문을 공유하는 것으로, 법적 테두리를 넘어서지만 공익성을 주장하는 전형적 해크티비즘 사례입니다.
  • Example (사례):
    • Anonymous가 정부 검열에 대응해 특정 사이트를 디도스 공격한 사례.
    • Aaron Swartz가 JSTOR 논문을 대량 다운로드하다가 기소된 사건.

Information Liberation (정보 해방)

  • Definition (정의):
    The belief that knowledge should be freely accessible to everyone, particularly when it pertains to public welfare.
    (지식은 특히 공공의 복지를 위한 것이라면 누구에게나 자유롭게 열려 있어야 한다는 신념.)
  • Application (본문 적용):
    Sci-Hub는 지식을 가두는 paywall 구조를 부정하고, 과학 지식을 전 인류가 공유해야 할 공공재로 보는 입장입니다.
  • Example (사례):
    •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를 통한 정보 공개.
    • 코로나 사태 당시 일부 출판사들이 전염병 관련 논문을 임시 무료로 공개한 것.

Legality vs. Legitimacy (합법성과 정당성의 긴장 관계)

  • Definition (정의):
    Legality refers to what is allowed under law; legitimacy refers to what is perceived as right or ethical by society.
    (법적으로 허용되는 것과, 사회적으로 ‘정당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항상 일치하지 않음.)
  • Application (본문 적용):
    Sci-Hub의 활동은 불법이지만 정당하다고 여겨지는 영역에 놓여 있으며, 이는 사회적 갈등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 Example (사례):
    • 국가 간 불법 다운로드 사이트를 폐쇄하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정보 불균형이 해소된다며 지지하는 목소리도 존재.
    • 공익적 폭로자의 경우, 법 위반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영웅’ 취급받는 사례 (예: 스노든, 아산지).

🔹 7문단

1. 영어 원문

Because of this, majo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ies—most prominently Elsevier—have repeatedly sued Sci-Hub for copyright infringement.
Similarly, by disseminating PDFs from Sci-Hub, the coronavirus archive is in questionable legal territory.


2. 한글 번역

이러한 이유로, 주요 과학 학술 출판사들—가장 대표적으로 Elsevier—은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반복적으로 Sci-Hub를 고소해 왔다.
마찬가지로, Sci-Hub에서 가져온 PDF 파일들을 공유한 코로나 아카이브 프로젝트법적으로 논란이 되는 영역에 속한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major publishing companies 주요 출판사 Major publishing companies control access.
prominently 두드러지게, 특히 Elsevier is prominently involved.
repeatedly 반복적으로 They repeatedly filed lawsuits.
sue 고소하다 The company sued for copyright violation.
copyright infringement 저작권 침해 Downloading without permission is infringement.
disseminate 퍼뜨리다, 유포하다 They disseminated research PDFs.
questionable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의심스러운 It falls into a questionable legal area.
legal territory 법적 영역,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This is a gray area in legal territory.
 

4. 심리학 및 사회적 개념 해설


Legal Gray Area (법적 회색 지대)

  • Definition (정의):
    A situation or practice that is not explicitly legal or illegal, and thus lacks clear regulation.
    (명확히 합법도 불법도 아닌 상태로, 법적 판단 기준이 모호한 영역.)
  • Application (본문 적용):
    코로나 아카이브가 Sci-Hub에서 내려받은 논문을 배포한 행위는, 아직 법적으로 명확히 판결이 내려진 적 없는 회색 지대에 해당하며, 사회적 정당성과 법적 처벌 가능성 사이에서 긴장을 형성합니다.
  • Example (사례):
    • 유튜브 내 학습 자료의 일부 편집물이 페어 유즈(Fair Use)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되는 경우.
    • VPN을 이용해 국가별 콘텐츠를 우회 접속하는 행위.

Power Asymmetry in Knowledge Systems (지식 체계 내 권력 비대칭)

  • Definition (정의):
    Structural imbalances in who controls, owns, or profits from knowledg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지식의 생산과 배포를 누가 통제하고 수익화하는가에 따른 구조적 권력 불균형.)
  • Application (본문 적용):
    Sci-Hub에 대한 출판사의 반복적 소송은, 지식의 ‘공유’보다는 ‘소유’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기득권 중심 구조를 반영합니다.
  • Example (사례):
    • 학술 논문을 작성한 연구자에게는 수익이 거의 없지만, 출판사만 수익을 얻는 구조.
    • 개방형 연구 결과(오픈 사이언스)를 선호하는 젊은 과학자들과, 유료 구독 모델을 고수하는 출판사 간의 갈등.

Cognitive Dissonance in Institutional Ethics (제도 윤리와 인지 부조화)

  • Definition (정의):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experienced when institutional practices contradict moral values or public good.
    (기관이나 기업이 도덕적 가치 또는 공익과 충돌되는 행위를 할 때 발생하는 심리적 불일치 상태.)
  • Application (본문 적용):
    과학은 공익을 위해 존재한다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핵심 정보에 접근 장벽을 설정하고 수익을 추구하는 출판사의 행태는 내부적 윤리 기준과 인지 부조화를 유발합니다.
  • Example (사례):
    • 대학이 ‘사회 정의’를 표방하면서도 저소득 학생들의 등록금을 인상하는 경우.
    • 병원이 ‘생명을 최우선’이라 말하면서 보험 미가입자를 거부하는 정책을 유지하는 상황.

🔹 8문단

1. 영어 원문

“It’s illegal, but it’s also a moral imperative,” shrine said.


2. 한글 번역

이건 불법이지만, 동시에 도덕적 의무이기도 합니다,”라고 shrine은 말했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illegal 불법의 The action is technically illegal.
moral imperative 도덕적 의무, 윤리적 당위 Helping during crises is a moral imperative.
 

4. 사회심리적 개념 해설


Moral Imperative (도덕적 당위)

  • Definition (정의):
    A principle that compels a person to act ethically, regardless of laws or consequences.
    (법이나 결과와 상관없이 윤리적으로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고 믿는 행동 원칙.)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은 법적 제재 위험에도 불구하고 과학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공익과 생명을 위한 절대적 윤리 행위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행동을 '도덕적 당위'로 정당화합니다.
  • Example (사례):
    • 2차 세계대전 당시, 불법적으로 유대인을 숨긴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옳은 일이라고 믿은 것.
    • 전염병 유행 시기, 의사들이 방호복 없이 일하는 것을 '도덕적 책무'로 받아들인 경우.

Civil Disobedience (시민 불복종)

  • Definition (정의):
    The deliberate and non-violent violation of laws perceived as unjust, often to raise moral or political awareness.
    (부당하다고 여겨지는 법이나 제도를 의도적으로 위반하면서 비폭력적으로 저항하는 시민 행동.)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은 법을 위반했음을 인정하면서도, 도덕적 이유에 기반해 이를 정당화하고 있으며, 이는 지식 공유를 위한 시민 불복종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Example (사례):
    • 마틴 루터 킹 목사의 흑인 인권 운동: 인종분리법 위반 → “도덕적 정당성”을 기반으로 한 저항.
    • 환경운동가들이 불법 점거나 체인 시위를 하며 기후정책 변화를 요구한 사례.

Ethical Dissonance (윤리적 불일치)

  • Definition (정의):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d when laws or rules contradict personal ethical beliefs.
    (법적 규범과 개인의 윤리적 신념 사이에서 내면적 갈등이 발생하는 심리 상태.)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은 '불법이지만 옳은 일'이라는 판단을 내리고 있으며, 이는 제도와 양심 사이의 갈등에서 윤리적 자기결단을 택한 사례입니다.
  • Example (사례):
    • 병원이 낙태 불가 규정을 두었지만, 생명 위협 상황에서 의사가 내부 지침을 거부하고 수술을 결정하는 경우.
    • 회사 내부고발자가 윤리적 이유로 비밀 유출을 감행했을 때의 양심적 충돌.

🔹 9문단

1. 영어 원문

Shrine and his collaborators searched Sci-Hub for papers from 1968 to 2020 whose titles or abstracts referenced coronaviruses, a group that contains pathogens that cause the common cold as well as MERS and SARS.
They then compiled the resulting 5,200 papers, and -Archivist, who previously told Motherboard that his first name is John, uploaded the resulting archive to The-Eye.


2. 한글 번역

shrine과 그의 협력자들은 1968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제목이나 초록(abstract)에 코로나바이러스가 언급된 논문들을 Sci-Hub에서 검색했다.
이들은 그렇게 수집된 총 5,200편의 논문을 정리하였고, ‘John’이라는 이름의 -Archivist가 이 아카이브를 The-Eye 사이트에 업로드했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collaborators 협력자들 The project was done with several collaborators.
search for ~을 검색하다, 찾다 They searched for relevant articles.
abstract 초록 (논문의 요약 부분) Read the abstract before the full article.
reference (verb) 언급하다, 인용하다 The article references previous studies.
pathogen 병원체, 질병 유발균 The virus is a respiratory pathogen.
common cold 일반 감기 The common cold is caused by various viruses.
compile 편집하다, 모아서 정리하다 We compiled a list of all related research.
upload 업로드하다 He uploaded the data to the server.
 

4. 사회심리적 개념 해설


Citizen Science (시민 과학)

  • Definition (정의):
    Scientific work undertaken by non-professionals, often collaboratively and in the public interest.
    (공익적 목적을 위해 비전문가 또는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과학 활동.)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과 그의 협력자들은 연구자가 아니지만, Sci-Hub를 활용하여 수천 개의 논문을 직접 수집·분류·배포함으로써 시민 과학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Example (사례):
    • 조류 관찰 시민들이 생태계 데이터를 수집하는 "eBird" 프로젝트.
    • 코로나19 유전자 데이터를 시민들이 분석하는 "Folding@home"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

Open Knowledge Movement (지식 공유 운동)

  • Definition (정의):
    A global initiative promoting open access to research, data, and educational resources.
    (연구와 데이터, 교육 자료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지지하는 전 세계적 지식 해방 운동.)
  • Application (본문 적용):
    이들은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논문 5,200편을 정리해 온라인에 무료 공개함으로써, 오픈 지식 운동의 핵심 가치인 비배제적 접근성과 공공 활용성을 실현했습니다.
  • Example (사례):
    • OpenStreetMap: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전 세계 지도 데이터.
    • MIT OpenCourseWare: MIT 강의를 무료로 공개한 교육 자원 플랫폼.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 지성)

  • Definition (정의):
    The shared or group intelligence that emerges from the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f many individuals.
    (다수의 개인들이 협력 또는 경쟁하면서 나타나는 공동의 문제 해결 능력.)
  • Application (본문 적용):
    shrine과 -Archivist 등 여러 온라인 사용자들이 힘을 합쳐 정보 수집–정리–공유까지 집단적으로 실행한 과정은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인 집단 지성 사례입니다.
  • Example (사례):
    • Wikipedia의 항목 작성 및 편집.
    • Reddit의 AMA(Ask Me Anything)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들이 함께 정보를 축적해가는 과정.

🔹 10문단

1. 영어 원문

“We are on the first step towards compiling a complete open-access Coronaviridae research catalog for the world’s scientists, journalists, and virology experts to draw from to fight the virus and save lives,” shrine wrote in a Reddit post on R/DataHoarder, a subreddit for digital archivists.

2. 한글 번역

“우리는 지금 전 세계 과학자, 기자, 바이러스 전문가들이 코로나바이러스와 싸우고 생명을 구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완전한 오픈 액세스 코로나바이러스 연구 카탈로그를 구축하는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라고 shrine은 디지털 아카이브 커뮤니티인 Reddit의 r/DataHoarder에 썼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compile 수집하다, 정리하다 They compiled all the research.
open-access 오픈 액세스,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Open-access resources are crucial.
catalog 목록, 카탈로그 They created a research catalog.
draw from ~을 활용하다, 끌어오다 Experts can draw from the archive.
save lives 생명을 구하다 This knowledge can save lives.
 

4. 개념 해설

  • Distributed Collaboration (분산 협업)
    전 세계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연결된 사람들끼리 분업적으로 지식을 생산하는 협업 방식.
    이 문장은 ‘지식 저장소’가 연구자나 전문가뿐 아니라 디지털 기록 수집자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현대의 참여 기반 과학 생태계를 상징합니다.

🔹 11문단

1. 영어 원문

Some scientific publishers, including Elsevier, Wiley, and Springer Nature, have removed their paywalls to recent studies related to the new coronavirus in late January.

2. 한글 번역

Elsevier, Wiley, Springer Nature를 포함한 일부 학술 출판사들은 1월 말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최신 연구들에 대한 유료 장벽을 제거했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remove 제거하다 They removed the restrictions.
paywall 유료 접근 장벽 The journal lifted its paywall.
recent studies 최근 연구 Recent studies on COVID-19 were released.
 

4. 개념 해설

  • Reactive Transparency (사후적 투명성)
    비판이나 위기 상황 이후에야 투명한 조치를 취하는 경향.
    출판사들이 초기에는 폐쇄적이다가,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자 뒤늦게 오픈 액세스를 허용한 것은 위기 대응으로서의 제한적 개방입니다.

🔹 12문단

1. 영어 원문

Elsevier Director of Communications Chris Capot said in an email statement that the publisher will also be arranging for open access to over 2,400 research articles on multiple strains of the coronavirus through ScienceDirect.

2. 한글 번역

Elsevier의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Chris Capot는 이메일 성명에서, 자사 플랫폼 ScienceDirect를 통해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에 관한 2,400편 이상의 논문을 오픈 액세스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arrange for 준비하다, 마련하다 They arranged for access.
strain (virus) 변종, 바이러스 유형 This is a new strain of the virus.
ScienceDirect 과학 논문 제공 데이터베이스 ScienceDirect offers many journals.
 

4. 개념 해설

  • Institutional Legitimacy Management (제도적 정당성 관리)
    사회적 비판을 완화하고, 공적 이미지를 유지하려는 조직의 전략적 대응.
    이는 정보 공개의 윤리적 신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이미지 회복 및 규제 회피를 위한 조치일 가능성이 큽니다.

🔹 13문단

1. 영어 원문

While shrine said that he respects the publishers’ decisions to take down paywalls to their research, he questioned the timing of the announcements, weeks into the outbreak.

2. 한글 번역

shrine은 출판사들이 연구 논문에 대한 유료 장벽을 해제한 결정 자체는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그 발표 시점이 발병 몇 주 후에야 이루어졌다는 점에는 의문을 제기했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respect 존중하다 I respect the decision.
take down 철거하다, 없애다 They took down the restrictions.
question (v) 의문을 제기하다 He questioned their motives.
outbreak 발병, 발생 The outbreak started last month.
 

4. 개념 해설

  • Crisis Response Delay (위기 대응 지연)
    위험이 충분히 알려진 이후에야 조치를 취하는 경향.
    정보 접근의 ‘타이밍’은 생존과 직결되며, 늦은 공개는 실질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14~15문단

1. 영어 원문

-Archivist said in an email that the archive is for the thousands of people who do not have subscriptions or institutional access to scientific journals, especially if they come from less-developed regions.
Shrine added that public health researcher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could all make use of the archive to contribute useful and productive findings to science.

2. 한글 번역

-Archivist는 이메일에서, 이 아카이브는 정기 구독이나 기관 접근권이 없는 수천 명의 사람들, 특히 저개발 지역 출신 연구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shrine은 공공보건 연구자, 학생, 일반 대중 모두가 이 아카이브를 활용해 과학에 유익하고 생산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3. 단어 정리

단어/표현뜻예문
subscription 구독 Many journals require a subscription.
institutional access 기관 접근 권한 He had institutional access to journals.
less-developed regions 저개발 지역 People in less-developed regions lack access.
contribute to ~에 기여하다 They contributed to medical knowledge.
 

4. 개념 해설

  • Knowledge Democratization (지식 민주화)
    모든 계층, 국가, 개인이 지식에 접근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가치.
    이 아카이브의 존재 자체가 비서구권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지적 자율성’을 부여하는 행위입니다.
  • Epistemic Justice (인지 정의)
    지식의 생성, 접근, 분배에서 특정 집단이 배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윤리적 개념.
    특히 공공보건과 같이 인류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서는, 누구든 연구를 수행하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