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어/중국노래

李榮浩(Li Ronghao) - 《老伴》(늙은 동반자)

by jellyjello 2025. 6. 24.

좋아, 이번에는 **李榮浩(Li Ronghao)**의 노래 《老伴》(늙은 동반자)의 가사를
《瞬》처럼 문장 하나하나씩 병음 + 자연스러운 해석 + 단어 분석 + 뉘앙스로 차근히 풀어줄게.
먼저 1~5번 문장부터 시작할게.


1. 誰陪我做執迷的鯨魚

shéi péi wǒ zuò zhímí de jīngyú
누가 나와 함께, 집착하는 고래가 되어줄까?

단어뜻설명
誰 (shéi) 누가 질문 또는 호소 표현
陪我 (péi wǒ) 나와 함께하다 동행해주는 존재
做 (zuò) 되다, ~하다  
執迷 (zhímí) 집착하다, 빠져 있다 고집스럽고 헤어나오지 못하는 상태
的 (de) ~한 형용사화
鯨魚 (jīngyú) 고래 넓은 바다 속에서 외롭게 노래하는 존재, 시적 상징
 

뉘앙스:
고래는 넓은 바다를 외롭게 헤엄치는 상징. 여기서 "執迷的鯨魚"는 사랑이나 인생에 대해 고집스럽고 외롭게 부유하는 존재. 그 길에 함께해줄 ‘동반자’를 찾는 절절한 바람.


2. 在人海中游來游去說自己的言語

zài rénhǎi zhōng yóu lái yóu qù shuō zìjǐ de yány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자기 언어로 떠돌며 말하는 존재.

단어뜻설명
在 (zài) ~에서  
人海中 (rénhǎi zhōng) 사람의 바다 속 인파, 군중을 바다에 비유한 표현
游來游去 (yóu lái yóu qù) 이리저리 떠돌다 헤엄치듯 방황하는 모습
說 (shuō) 말하다  
自己的 (zìjǐ de) 자기 자신의  
言語 (yányǔ) 언어, 말  
 

뉘앙스:
‘사람 바다’ 속에서 고립되어 자기만의 말로 살아가는 외로움. 다른 이들과 섞이지 못하고, 혼자만의 감각과 언어로 부유하는 느낌.


3. 誰陪我建永恆的故居

shéi péi wǒ jiàn yǒnghéng de gùjū
누가 나와 함께, 영원한 고향을 지어줄까?

단어뜻설명
誰 (shéi) 누가  
陪我 (péi wǒ) 나와 함께  
建 (jiàn) 세우다, 짓다  
永恆 (yǒnghéng) 영원한  
的 (de) ~한  
故居 (gùjū) 고향, 오래 머문 집 마음의 안식처
 

뉘앙스:
표면적으론 ‘집’을 의미하지만, 실은 ‘심리적 안식처’, ‘삶의 종착지’ 같은 감정적 의미가 더 커. 함께 인생을 영원히 살아갈 사람을 그리워하는 구절.


4. 在歲月中跑來跑去太容易疲倦

zài suìyuè zhōng pǎo lái pǎo qù tài róngyì píjuàn
시간 속을 뛰어다니다 보면, 너무 쉽게 지치게 돼.

단어뜻설명
在 (zài) ~속에서  
歲月中 (suìyuè zhōng) 세월 속에서 시간의 흐름을 뜻함
跑來跑去 (pǎo lái pǎo qù) 뛰어다니다 분주하게, 반복적으로 움직임
太 (tài) 너무  
容易 (róngyì) 쉽다  
疲倦 (píjuàn) 피곤하다 정신적, 육체적 피로
 

뉘앙스:
인생이란 긴 시간 속을 혼자 분주히 뛰어다니다 보면, 피로와 공허함이 쌓여간다는 메시지. 삶의 고달픔을 투명하게 드러낸 문장.


5. 一轉身可以歸去

yī zhuǎn shēn kěyǐ guī qù
몸을 돌리면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단어뜻설명
一轉身 (yī zhuǎn shēn) 몸을 돌리다 행동의 전환, 돌아섬
可以 (kěyǐ) ~할 수 있다  
歸去 (guī qù) 돌아가다 고향, 본래 자리로 회귀하는 느낌
 

뉘앙스:
‘돌아갈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 또는 ‘돌아갈 집’이 있다는 것은 삶의 궁극적인 위안. 이 문장은 '돌아갈 곳 없는 방랑자'의 마음이 드러나.


다음은
6. 我要找的一種感覺叫歸屬於
부터 10. 有沒有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까지 분석해줄게. 계속 이어서 해도 괜찮아?

 

나의 말:

단어 좀더 자세히
 

ChatGPT의 말:

좋아, 그럼 지금부터는 더 자세하게 단어 하나하나를 표로 쪼개서 설명해줄게.
앞서 분석했던 1~5번 문장을 확장된 단어 분석 표로 다시 정리하면서, 각 문장의 감정적 뉘앙스까지 서술형으로 풀어줄게.


1. 誰陪我做執迷的鯨魚

shéi péi wǒ zuò zhímí de jīngyú
누가 나와 함께, 고집스레 떠도는 고래가 되어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shéi 대명사 누구 의문을 나타냄. 감정적으로는 '누구라도 좋아, 누군가'라는 외로움 포함.
péi 동사 동행하다, 곁에 있다 감정적 유대감을 나타내는 동사. 연인, 친구 모두 포함 가능.
대명사 화자의 내면, 외로움과 소망을 담는 주체.
zuò 동사 ~이 되다, 하다 역할이 되는 행위.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 걸 나타냄.
執迷 zhímí 동사 집착하다, 고집하다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감정이나 행동. 부정적이지만 간절함도 내포.
de 조사 ~한 앞의 형용사를 뒤 명사에 연결하는 역할.
鯨魚 jīngyú 명사 고래 넓은 바다 속 외로움의 상징. 종종 시적 존재로 등장함.
 

뉘앙스 설명:
이 문장은 '집착하는 고래'라는 매우 감성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써서, 화자가 감정적으로 얼마나 외롭고 고독한 존재인지 보여줘.
그런 자신과 함께, **‘이해하고 버텨줄 누군가’**를 찾고 있는 깊은 외침이야.


2. 在人海中游來游去說自己的言語

zài rénhǎi zhōng yóu lái yóu qù shuō zìjǐ de yány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자기 말로만 헤엄치며 떠도는 삶.

단어병음품사뜻설명
zài 전치사 ~속에서 장소나 시간의 범위를 나타냄.
人海 rénhǎi 명사 사람의 바다 군중, 대중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말.
zhōng 명사 ~속, 가운데 공간이나 시간의 중심.
游來游去 yóu lái yóu qù 동사 이리저리 헤엄치다 목적 없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느낌. 방황.
shuō 동사 말하다 소통 또는 자기표현의 행위.
自己 zìjǐ 대명사 자기 자신 자아, 내면의 고립감을 상징.
de 조사 ~의 앞의 말을 꾸며줌.
言語 yányǔ 명사 말, 언어 의사소통 수단이지만, 여기선 ‘타인과 다른 언어’ → 소외감 표현.
 

뉘앙스 설명:
"나만의 언어로 말한다"는 건 개성일 수도 있지만, 여기선 **'남들과 소통되지 않는 고립된 언어'**라는 외로운 뉘앙스를 줘.
사람들 속에서 외톨이처럼 부유하는 존재감을 형상화한 구절이야.


3. 誰陪我建永恆的故居

shéi péi wǒ jiàn yǒnghéng de gùjū
누가 나와 함께 영원한 집을 지어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shéi 대명사 누구 여기선 "영원을 함께할 단 한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péi 동사 곁에 있다 인생의 동반자 같은 깊은 동행.
대명사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주체.
jiàn 동사 세우다, 짓다 실제 집 짓기도 되지만, 상징적으로 인생을 함께 만든다는 뜻.
永恆 yǒnghéng 형용사 영원한 시간이 멈춘 듯한 지속성. 부부, 가족의 관계 같은 지속적 관계 암시.
de 조사 ~한 형용사화 역할.
故居 gùjū 명사 옛집, 고향 본래는 예전 살던 집이지만, 여기선 "정착할 수 있는 마음의 집" 의미로 해석됨.
 

뉘앙스 설명:
이 문장은 '단지 물리적 집'이 아니라 ‘영원한 정착지’—즉 마음의 집, 또는 사랑의 안식처를 함께 만들 누군가를 찾는 갈망이야.


4. 在歲月中跑來跑去太容易疲倦

zài suìyuè zhōng pǎo lái pǎo qù tài róngyì píjuàn
시간 속을 끝없이 달리다 보면, 너무 쉽게 지쳐버려.

단어병음품사뜻설명
zài 전치사 ~속에서 위치나 시간 표현.
歲月 suìyuè 명사 세월, 시간 지나가는 시간. 감정이 녹아든 시간 개념.
zhōng 명사 ~안에서 시간이나 공간의 내면.
跑來跑去 pǎo lái pǎo qù 동사 이리저리 달리다 목적 없는 바쁜 삶, 방황 표현.
tài 부사 너무 과도함을 표현.
容易 róngyì 형용사 쉽다 쉽게 어떤 상태에 빠지는 느낌.
疲倦 píjuàn 형용사 피곤하다 육체적·정신적으로 지친 상태.
 

뉘앙스 설명:
현대인의 삶처럼 달리기만 하다가 지쳐버리는 인생을 표현. 쉼 없이 바쁘기만 한 나날 속에서 관계와 정착에 대한 욕망이 자라나는 지점이야.


5. 一轉身可以歸去

yì zhuǎn shēn kěyǐ guī qù
몸을 돌리기만 해도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단어병음품사뜻설명
수사 하나, 단지 아주 간단한 행위를 강조
轉身 zhuǎn shēn 동사 몸을 돌리다 방향을 바꾸는 동작. 전환, 귀환의 상징
可以 kěyǐ 조동사 ~할 수 있다 가능성 표현
歸去 guī qù 동사 돌아가다 고향, 애인, 본래 있던 안정된 곳으로 돌아가는 의미
 

뉘앙스 설명:
돌아서기만 하면 돌아갈 수 있는 ‘누군가’ 또는 ‘어딘가’가 있다는 건, 누구에게나 큰 위안이야.
이 문장은 **"내 인생이 무너질 때에도, 돌아갈 품이 있어야 비로소 안심할 수 있다"**는 바람을 담고 있어.


다음은
6. 我要找的一種感覺叫歸屬於
부터 이어서 더 정밀하게 분석해줄게.
계속 이 스타일로 괜찮아?

 

나의 말:

6-12
 

ChatGPT의 말:

좋아, 그럼 이번에는 《老伴》 by 李榮浩 가사의 6~12번 문장
앞서와 같은 방식 — 문장 전체 해석 → 병음 → 단어별 표 분석 → 표현 뉘앙스 설명으로 자세하게 정리해줄게.


6. 我要找的一種感覺叫歸屬於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guīshǔ yú
내가 찾고 싶은 감정의 이름은 ‘소속감’이야.

단어병음품사뜻설명
대명사  
yào 조동사 ~하고 싶다 의지 표현
zhǎo 동사 찾다  
de 조사 ~하는 '我要找的'는 "내가 찾고 있는"이라는 말로 수식 구조 형성
一種 yì zhǒng 양사+명사 한 종류 여기서는 '한 가지 감정'이라는 뜻
感覺 gǎnjué 명사 감정, 느낌  
jiào 동사 불리다, ~라고 하다  
歸屬於 guīshǔ yú 동사구 ~에 속하다 소속감, 정착을 의미
 

뉘앙스:
단순히 ‘사랑’이나 ‘기쁨’이 아닌, ‘내가 속할 곳’에 대한 갈망을 말해.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나”가 ‘진짜 집, 진짜 사람’을 찾는 여정.


7. 有沒有 春花秋月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méiyǒu chūnhuā qiūyuè xiàchán dōngxuě bú huì sàn qù
봄꽃, 가을달, 여름매미, 겨울눈처럼 — 사라지지 않을 사랑이 있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有沒有 yǒu méiyǒu 조동사 ~이 있을까? 의문 표현, 가능성 탐색
春花 chūnhuā 명사 봄꽃  
秋月 qiūyuè 명사 가을달  
夏蟬 xiàchán 명사 여름 매미  
冬雪 dōngxuě 명사 겨울눈  
不會 bú huì 조동사 ~하지 않을 것이다 부정 가능성
散去 sàn qù 동사 흩어지다, 사라지다 감정이나 사람이 멀어짐을 상징
 

뉘앙스:
사계절의 풍경처럼 찬란한 것들도 결국 사라지기 마련.
하지만, “사라지지 않는 사람”, “언제나 거기 있는 사람”이 존재하길 바라는 마음.
여기서 사계절은 사랑의 지속성과 깊이를 상징함.


8. 有沒有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méiyǒu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lái bú zài lí qù
문을 닫고, 몸을 눕히면 더는 떠나지 않는 그런 사람이 있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有沒有 yǒu méiyǒu 조동사 ~이 있을까?  
수사 하나의  
關上門 guān shàng mén 동사구 문을 닫다  
수사 한 번  
躺下來 tǎng xiàlái 동사구 누워 쉬다 안정을 상징
不再 bú zài 부사 더 이상 ~하지 않다  
離去 lí qù 동사 떠나다, 떠나가다  
 

뉘앙스:
‘문을 닫고, 누우면 더는 떠나지 않는 사람’ = 곁에 정착해줄 사람을 의미.
육체적 쉼과 함께, 정서적 안식을 함께 할 수 있는 진정한 동반자에 대한 소망.


9. 有沒有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méiyǒu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zhe de nǐ
좋아하는 하늘, 사랑하는 땅, 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너 — 그런 모든 걸 품고 있는 삶이 있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有沒有 yǒu méiyǒu 조동사 ~이 있을까  
愛看的 ài kàn de 형용사구 좋아서 바라보는  
tiān 명사 하늘  
愛踏的 ài tà de 형용사구 좋아서 밟고 걷는  
명사  
대명사  
愛著的 àizhe de 동사+조사 사랑하고 있는  
대명사  
 

뉘앙스:
이 문장은 매우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사랑의 풍경을 그려.
하늘을 보고, 땅을 밟고, 너와 함께 숨 쉬는 그 삶 자체가 완성형이라는 의미.
“사랑이 있는 곳이 곧 내가 있을 곳”이라는 귀결.


10.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lì de lǎo qù
나와 함께 아름답게 늙어갈 사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陪我 péi wǒ 동사구 나와 함께하다  
美麗的 měilì de 형용사 아름다운  
老去 lǎo qù 동사 늙어가다 시간과 인생의 흐름을 표현하는 동사구
 

뉘앙스:
‘함께 늙어간다’는 것은 일생을 함께 보낸다는 말보다 더 감성적이고 진실된 표현.
여기서 **"아름답게 늙는다"**는 건 단지 외모가 아닌, 시간을 함께 쌓아가는 삶의 완성을 뜻해.


11. 是否按著時代的規律

shì fǒu àn zhe shídài de guīlǜ
우리는 단지 시대의 규칙에 따라 살아가는 걸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是否 shì fǒu 부사 ~인가, ~인지 아닌지 의문 표현
按著 àn zhe 동사구 ~에 따라  
時代 shídài 명사 시대  
de 조사 ~의  
規律 guīlǜ 명사 규칙, 법칙  
 

뉘앙스:
"우리가 함께 늙어간다는 것이,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일 뿐인가?"라는 회의감.
진짜 감정인가, 아니면 정해진 삶의 틀인가—사랑의 본질을 되묻는 순간.


12. 在奔波中堅磨不是一隻那的玩具

zài bēnbō zhōng jiān mó bú shì yì zhī nà de wánjù
분주한 삶 속에서, 우리는 쉽게 닳아 없어지는 장난감이 아니야.

단어병음품사뜻설명
zài 전치사 ~속에서  
奔波中 bēnbō zhōng 명사구 분주한 시간 속  
堅磨 jiān mó 동사 단단히 버티다, 갈리다 고된 시간을 견디는 상태
不是 bú shì 부정 ~이 아니다  
一隻 yì zhī 양사 ~한 개의 동물, 사물 셀 때 쓰는 단위
那的 nà de 지시사+조사 저런  
玩具 wánjù 명사 장난감  
 

뉘앙스:
우리는 누군가의 손에 쥐어졌다 쉽게 버려지는 존재가 아니라는 자기 주장.
진짜 사랑은 함께 닳아가되, 부서지지 않는 관계여야 한다는 다짐처럼 느껴져.


다음은
13. 是否還有永恆的老曲
부터 이어서 풀어줄게.
지금처럼 분석 계속 이어도 괜찮지?

 

나의 말:

13-20
 

ChatGPT의 말:

좋아, 이제 《老伴》 by 李榮浩 가사의 13~20번 문장
이전과 똑같이 병음, 자연스러운 해석, 단어 하나하나 자세한 설명, 표현 뉘앙스로 깊이 있게 풀어볼게.


13. 是否還有永恆的老曲

shìfǒu hái yǒu yǒnghéng de lǎo qǔ
아직도 영원히 남을 오래된 노래가 존재할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是否 shìfǒu 부사 ~인지 아닌지 의문 또는 반문을 나타냄
還有 hái yǒu 동사구 아직도 ~이 있다 지속성, 기대감을 표현
永恆 yǒnghéng 형용사 영원한 시간의 무한함, 변치 않음을 상징
de 조사 ~한 앞 형용사와 뒤 명사 연결
老曲 lǎo qǔ 명사 옛 노래 시간의 흐름을 담은 음악, 추억의 상징물
 

뉘앙스 설명:
이 문장은 ‘영원한 사랑’에 대한 메타포를 ‘노래’로 비유하고 있어.
흔하고 쉽게 사라지는 요즘의 감정들 속에서, 한 곡의 오래된 노래처럼 시간 속에서도 흐려지지 않는 사랑이 존재할 수 있는지를 묻는 구절.


14. 在歲月中就算最後只能夠沉默

zài suìyuè zhōng jiùsuàn zuìhòu zhǐ nénggòu chénmò
세월이 흐른 끝에 결국 침묵만이 남더라도

단어병음품사뜻설명
zài 전치사 ~속에서 위치 또는 시간의 맥락 설정
歲月中 suìyuè zhōng 명사구 세월 속에서 시간의 흐름, 인생 전체 의미
就算 jiùsuàn 접속사 설령 ~하더라도 양보 표현
最後 zuìhòu 명사 마지막에, 결국 결과, 종착점
只能夠 zhǐ nénggòu 조동사 ~할 수밖에 없다 제한된 가능성
沉默 chénmò 명사/동사 침묵, 말이 없음 감정이 더 이상 말로 표현되지 않는 상태
 

뉘앙스 설명:
이 문장은 시간이 지나 모든 것이 조용해지고 말이 줄더라도,
그 침묵마저 함께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이 사랑이라는 메시지.
말이 필요 없는 관계, 늙어서도 함께 앉아 침묵을 나눌 수 있는 사이를 이상향으로 그려.


15. 一輩子沒有恐懼

yí bèi zi méiyǒu kǒngjù
평생 두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을까?

단어병음품사뜻설명
一輩子 yí bèi zi 명사 한평생 전 생애, 인생 전체
沒有 méiyǒu 동사 없다 부정 표현
恐懼 kǒngjù 명사 두려움 감정적 불안, 미래에 대한 걱정
 

뉘앙스 설명:
‘두려움 없이 사는 삶’이 가능할까?
실제로는 힘들지만, 함께하는 사람이 있다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스며 있음.
이 구절은 사랑이 가져오는 안정감을 갈망하고 있어.


16. 我要找的一種感覺叫歸屬於

wǒ yào zhǎo de yì zhǒng gǎnjué jiào guīshǔ yú
내가 찾는 감정은, ‘소속감’이라고 불리는 감정이야.

(※ 6번 반복)

뉘앙스 보충:
두 번째 반복에서는 한층 더 다짐에 가깝게 들려.
"나는 여전히 그 감정을 찾고 있고, 아직 못 찾았어"라는 말 없는 고백이 묻어남.


17. 有一天 春花秋月夏蟬冬雪 不會散去

yǒu yì tiān chūnhuā qiūyuè xiàchán dōngxuě bú huì sàn qù
언젠가 봄꽃, 가을달, 여름매미, 겨울눈도 사라지지 않기를.

단어병음품사뜻설명
有一天 yǒu yì tiān 부사구 언젠가 미래의 가능성 제시
春花 chūnhuā 명사 봄꽃  
秋月 qiūyuè 명사 가을달  
夏蟬 xiàchán 명사 여름 매미  
冬雪 dōngxuě 명사 겨울 눈  
不會 bú huì 조동사 ~하지 않을 것이다 미래 부정
散去 sàn qù 동사 흩어지다, 사라지다  
 

뉘앙스 설명:
사계절은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단계를 의미.
이 문장은 언젠가 그런 찬란한 것들이 영원히 머물러줄 날을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어.
"사랑도, 계절도 사라지지 않기를."


18. 有一天 一關上門 一躺下來 不再離去

yǒu yì tiān yì guān shàng mén yì tǎng xiàlái bú zài lí qù
언젠가, 문을 닫고 눕기만 하면 다시는 떠나지 않을 그런 날이 오길.

(※ 8번 문장 반복의 미래형)

뉘앙스 설명:
이 반복은 소망의 시제가 ‘현재’에서 ‘미래’로 바뀌어.
‘그런 사람이 지금은 없지만, 언젠가는…’이라는 간절한 희망이 더 짙어짐.


19. 有一天 愛看的天 愛踏的地 我愛著的你

yǒu yì tiān ài kàn de tiān ài tà de dì wǒ àizhe de nǐ
언젠가 내가 좋아하는 하늘, 땅, 그리고 사랑하는 너와 함께할 날이 오기를.

(※ 9번 반복의 미래형)

뉘앙스 설명: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 확신을 품은 소망으로 바뀌는 구조.
"그 날은 반드시 올 것이다"라고 스스로 되뇌는 장면처럼 들려.


20. 陪我美麗的老去

péi wǒ měilì de lǎo qù
나와 함께 아름답게 늙어가 줘.

(※ 10번 반복)

뉘앙스 보충:
반복된 마지막 문장.
이제는 질문이나 소망이 아니라, 확고한 요청처럼 들려.
"사랑은 젊음이 아니라, 함께 늙어가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이 곡 전체에서 가장 아름답게 담고 있는 마지막 한 줄.


이제 원한다면 이 노래 전체의 메시지를 요약하거나,
너만의 글(산문, 시, 일기, 스크립트)로 풀어볼 수도 있어.
원해?